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제조되어 유통되는 식물성 대체육을 대상으로 일반성분(수분, 단백질, 지방), 지방의 산패도, 지방산의 조 성, 아플라톡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번 익힌 후 건조된 형태의 식물성 대체육보다 익히지 않고 수분이나 지방에 의해 성형과정을 거친 냉동제품에서 상 대적으로 많은 양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지방 함량이 1 g을 넘는 시료를 대상으로 지방 의 산패도(산가, 과산화물가)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일부 시 료에서 높은 산가 및 과산화물가가 측정되었으나 식품공 전상에 대체육에 대한 정확한 분류가 되어있지 않아 산패 도에 대한 안전성을 판단하기 위한 규격이 필요해 보인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 과 대부분은 불포화지방산이 차지하고 있지만, 일부 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시료가 있었다. 포화지방산 및 불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식물성 대체육을 식물성 유지 를 사용하여 가열조리를 거쳐 섭취하게 된다면, 많은 양 의 지방을 섭취하게 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또 가 스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지방산 분석법을 통해 식물성 대체육에 동물 유래 지질이 함유되어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후에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영양표시 성분 및 실제성분의 대조 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 다. 식물성 대체육에 대하여 아플라톡신을 분석한 결과 현 재 식품공전에 제시된 농산물 중 아플라톡신 기준규격에 대하여 적합인 수준이나 미량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금속의 분석 결과 모두 불검출이었으나 환경요인 및 원 재료에 따라 중금속의 오염이 의심될 시에 중금속 분석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통 해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일부 식물성 대체육에 대한 안 전성을 확인하였으나 산가, 과산화물가, 아플라톡신, 중금 속은 대체육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류 및 적합 규격이 마 련되어 있지 않아 적합 판정시에 비슷한 성향을 가진 식 품군에 대조하여 판단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기준에 대하여 검토 또는 변경을 거쳐 식물성대체 육에 대한 관리기준이 설정한다면 유사한 식품군의 건전 성 및 적합성을 유지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well known that the world population is increasing at an incredible pace; subsequently, worldwide food production without compromising the ecosystem is an enormous challenge for the global community. From the beginning of human civilization, meat plays a vital role in acquiring proteins and other nutrients. Despite the indispensable part of the meat in the human diet, it is also considered a critical factor in environmental alterations, greenhouse gas emissions, animal welfare, and land water usage. The excessive use of natural resources and extensive animal production causes greenhouse gas emissions, which triggered reduced meat consumption and the need for more novel meat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extraordinary demand for red meat, the phenomena of meat alternatives or meat substitutes evolved. Subsequently, meat analogs express a higher trend with low cost, safe consumption, and meaty structure and texture. Meat substitutes are predominantly vegetable centered food products that comprise proteins from pulses, cereal, microorganisms, and other fillers and flavorings mediators. Moreover, Meat products with texturized vegetable protein, mushroom, wheat gluten, pulses are considered an excellent source of as a substitute for animal protein. Additionally, mycoprotein had an impressive profile, including higher protein, low fat, health-promoting agents, with good taste and texture. However, there remains a gap in research articles focusing on the regular consumption of meat substitutes. In the current review, an attempt has been made to summarize various types of meat substitutes, different protein sources, production preparation methods, nutritional, functional properties, including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s of meat alternatives.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