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backfat thickness (BT)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Sixty crossbred sows were allotted to four groups in a 2×2 factorial arrangement by environmental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HT], 27.5±1.76℃; low temperature [LT], 23.3±0.89℃) and BT (<20 mm, average 17.70 mm; ≥20 mm, average 23.20 mm) from July to August 2019. Sows in the HT group experienced a greater change in BT and a lower feed intake. Losses in body weight and BT were lower in sows with <20 mm BT than in those with ≥20 mm BT. Sows with low BT had a lower weaning-to-estrus interval than sows with high BT (5.20, 4.93 d vs. 5.87, 5.60 d, respectively). Piglet survivability was lower in the HT group (90.31%) than in the LT group (94.87%). Piglet weaning weight and average daily weight gain were greater in sows with <20 mm BT (5.75 kg and 201.46 g, respectively) than in those with ≥20 mm BT (5.49 kg and 188.41 g, respectively). Sows in the HT group had higher cortisol concentrations than those in the LT group (post-farrowing: HT 7.86 μg/mL vs. LT 6.04 μg/mL; weanling: HT 5.48 μg/mL vs. LT 4.40 μg/mL). In conclusion, environmental temperature adversely influenced sow performance and cortisol levels. Moreover, sows with low BT had a greater weaning-to-estrus interval when subjected to heat stres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barn or cycle of grazing on changes of biochemical metabolites in prepartum and changes of milk composition in postpartum of dairy cow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sixteen 25 months old Holstein primiparous dairy cows were allocated in two groups (n=8)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571.61 ± 35.30 kg (Barn) and 578.10 ± 39.20 kg (Grazing).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2018 to October 2018. Results revealed that barn raised dairy cows had a higher increase in their serum albumin and calcium level on day 14 prepartum. However, the level of palmitic acid, saturated fatty acid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level of fat, oleic acid, γ-linoleic acid, arachidon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decreased significantly in barn raised dairy cow’s milk on day 14 postpartu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with respect to all other biochemical metabolites, fatty acids and minerals between barn raised and cycle grazing dairy cows during prepartum and postpartum. Our study results could serv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barn raised cow with respect to changes of biochemical metabolites in prepartum and changes of milk composition, fatty acids and minerals content in grazing dairy cows in postpartum for estimating their physiological status.
본 실험은 포유기 사료 급여 기간의 변화가 포유 모돈의 생리적 변화와 번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256.15 ± 4.39kg의 F1 모돈(Yorkshire × Landrace) 30두를 공 시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법에 따라 3처리구에 배치하였다. 각 처리구는 1) L0-5: 임신기 110일령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2) L0: 분만일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3) L0+5: 분 만 5일 후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모돈 사료를 급여 하였다. 포유기에는 모돈들에게 사료를 무제한 급여 하였으며, 실험결과 사료의 변화 시기는 모돈의 체중 및 등지방 두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 다. 사료섭취량에 있어서 분만일부터 이유시까지 포유돈 사료를 섭취한 모돈이 수치적으로 가장 높았지 만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산자수, 자돈의 체중 및 유성분에 있어서도 처리구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분만 5일전부터 5일후 사이에 포유돈 사료로 교체하는 것은 모돈 의 번식능력 및 포유능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rmented potato protein (FPP, Lianol® ferity) during gestation and lactation on productivity of sows. A total of 50 crossbred sows (Landrace×Yorkshire) in their 3 to 5 parities were allotted to one of two treatments (n=25) including control and FPP groups. FPP tablets applied in sows in two stages. Stage one involved applying FPP daily from 3 days before farrowing to 2 days after for 5 consecutive days. The second stage also involved a 5 day period around weaning time from 3 days before to 2 days after. After farrowing, the amount of feed offered 3 times per day gradually increased from about 3.6 kg at farrowing to 8.4 kg at late lactation. During the first lactation FPP tended to increase backfat thickness (BFT) at weaning at the first (p=0.069) whereas FPP increased BFT (p<0.05) at weaning in the second lact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FPP on body weight changes and daily feed intake of sows. Decreased weaning to estrus interval was associated with applying lianol tablet at the second lactation (p<0.05). Weight of born alive piglets, weaned piglets and total weight gain were greater in FPP group at the second lactation (p<0.05). Applying FPP tended (p=0.062) to increase insulin like growth factor-Ⅰ(IGF-I) at the weaning time in the first lactation. The effect of FPP on IGF-I was significant at the second lactation, revealing a higher concentration in blood at post farrowing and weaning time (p<0.05). This study shows the benefit of using FPP tablets in sows to increase blood IGF-I and both initial and final litter size to improve piglet weaning weights.
반추위 pH 조정제로서 일반적으로 중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사료에 중조의 첨가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료의 기호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반추위 완충효과를 나타내도록 개발된 액상형 완충제의 젖소사료 첨가제로서의 이용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축으로 착유 중기 젖소 27두를 공시하였으며, 처리는 대조구와 중조 첨가구, 그리고 액상형 완충제 첨가구로 하여 처리별 9두씩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착유우용 자가배합 TMR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중조 첨가구는 대조 사료에 중조를 두당 1일 150g 추가하여 급여하였고, 액상형 완충제 첨가구는 같은 방식으로 액상형 완충제를 두당 15㎖ 추가하여 사양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산유량은 대조구, 중조 및 액상형 완충제 첨가구의 경우에 각각 23.82, 23.91, 24.91kg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액상형 완충제 처리구에서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처리 간에 뚜렷한 유의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았다. 처리에 따른 유성분 변화에서는 유단백질 및 무지고형분에서 액상형 완충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조구에 비해 유의 있는 증가(p < 0.05)를 보여주었고, 유지율에서도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성분 중 포도당과 콜레스테롤은 대조구에 비해 액상형 완충제의 첨가구에서 다소 증가하였으나, 처리 간에 유의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개발된 액상형 완충제의 추가급여 시 생산성 증대, 특히 유성분 증가 효과가 있어 반추위 pH 조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중조를 대체하여 반추동물의 사료첨가제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ing additional sucrose, in the form of black sugar (BS), into the diet of Holstein dairy cows on dry matter intake (DMI),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Eight Holstein dairy cows (741 ± 65.8 kg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and BS groups.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were offered a total mixed ration (TMR) ad libitum, and the BS group was offered TMR with 300 g of BS/head/d. After two weeks of adaptation period, the animal performance, including DMI, milk yield and milk composition, was measured. Cows supplemented with BS appeared to consume more feed than that by the controls (i.e., 17.08 and 18.28 kg/d for the control and BS group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 Milk yield or milk composition, such as milk fat, milk protein, lactose, solids-non-fat, total solids and pH, did not differ between treatmen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concentration of milk urea nitrogen (MUN). The MUN concentration of the BS group was approximately 15%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e., 18.75 vs. 16.05 mg/dL for the control and BS groups, respectively), which suggests improved nitrogen metabolism in the animals. The somatic cell count was numerically lower in the cows of the BS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d due to the substantial amount of variation among cows. In terms of the trace mineral composition for milk, the concentration of Cu from BS animals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animals. In summary, supplementing the diets of dairy cows with BS marginally affected animal performance and improved nitrogen metabolism. The level of supplementation and other factors, such as animal variation were discussed.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와 품질평가를 위해서 신속하고 경제적인 비파괴 검사법에 대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분광된 빛을 이용하여 내부 품질평가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석 대상체의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분광분석을 이용하여 원유의 성분분석 과정에서 분광된 빛이 원유의 성분 및 체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원유는 일본 시가현 소재 낙농가에서 채취된 것으로 유지방, 유단백질, 유당, 무지고형분, 총고형분, 유요소, 구연산 및 체세포수를 화학적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분광된 빛은 5가지 영역대로 구분하여 원유에 각각 1분, 5분, 10분간 주사하였다. 연구결과, 400 nm이하 파장대인 자외선 영역에서 유지방이 2.6%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고, 체세포수도 9.0%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다른 원유 성분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외선 영역의 빛을 원유 품질 평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원유 시료에 대한 추가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시험은 포도부산물의 첨가가 젖소의 산유량, 유성분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비유중기 젖소 8두(평균 월령: 89.8, 평균 유기: 164.4, 평균 산차: 2.8산)를 공시하였으며, 포도부산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1일 1 kg을 첨가한 시험구로 두 처리구를 설정하여 3주간 급여하였다. 유지방, 유단백, 유당 및 총 고형물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산유량은 포도부산물 을 첨가한 처리구가 23.13 kg/d으로 대조구의 21.16 kg/d에 비해 높은 반면(p<0.05), 체세포 수는 대조구가 포도부산물 처리구에 비해 높았다(p<0.05). 혈중 glucose, alanine aminotransferase, total protein 및 blood urea nitrogen 함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AST와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 (123.75 IU/L, 200.82 mg/dl)가 포도부산물 처리구(95.34 IU/L, 180.63 mg/dl)에 비해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포도부산물은 젖소를 위한 기능성 사료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반추위 보호 choline의 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특성과 착유우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 배치는 기초사료 첨가구(T1), 기초사료 +23 g/일 보호처리를 하지 않은 choline과 부형제 첨가구(T2) 및 기초사료+ 25.56 g/일 보호 choline 첨가구(T3)의 3처리로 하였다. 보호 choline의 첨가가 in vitro 배양액의 pH에 미치는 영향은 3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Accuracy of dietary assessment depends on correct estimation of quantity as well as correct data on composition of the products. Milk and soymilk were considered quite homogeneous in items of package size and composition. One serving size of fluid milk and soymilk is considered 200 mL but there are products with different amounts on the marke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variations of amounts and composition of fluid milk and soymilk products of one portion siz on Korean market. Twenty-nine milk products were purchased and categorized into 8 groups-regular, low-fat, skim, chocolate, strawberry-flavored, banana-flavored, and black soybean-added. Sixteen fluid soymilk products were purchased and categorized into 4 groups-regular, infant, black sesame or black soybean added and others. Actual volume of each product was measured by mass cylinder and compositions of major nutrients on the package were compared to the values in the most widely used nutrient DB in Korea. Amounts of milk specified on the package of purchased products were 182.3-318.5 ml, the largest being banana-flavored milk. Amounts of soy milk were 184.3-240.5 mL, the largest being regular soymilk. Measured amount of each products were close to the amount on the package (<5%). Contents of macronutrients on the package were different from the food composition table in several products. The amounts of calcium varied greatly among the products due to the popularity of adding calcium to milk and soymilk products recently. These variations in the amount and contents of major nutrients in milk and soymilk products can lead to considerable error to the results of dietary assessment unless the amount and the composition of each product are regularly updated in the food composition table whenever the new products are introduced in the market.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삭제가 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4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개방형 깔짚 우사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 17두를 대상으로 처리구 9두 및 대조구 8두를 공시하였고 삭제는 분만 후 20일을 전후하여 1회에 한해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기에 따른 두당 1일 유량은 100일 이하의 경우 대조구 및 삭제구가 각각 및 , 일의 경우 및 , 201일 이상의 경우 및 으로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인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8 : 0, 10 : 0, 18 : 0, 20 : 0, 22 : 0 등의 지방산들이 유의하게 높았다. 18 : 2Ω6은 조제 분유가 인유에 비하여 2.3배나 많은 18% 수준을 유지하였다. 대체로 보아 Ω9계, Ω6계 및 Ω3계 대사산물들은 조제 분유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인유에 비하여 시유도 조제 분유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지방질의 함량은 인유(성숙유), 조제 분유 및 시유 다같이 비슷한 수준치를 보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인 지방질,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에스터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시유와 인유는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에서는 비슷하였지만 기타 지방질 성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조제 분유의 인 지방질/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콜레스테롤/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총토코페롤 그리고 총토코페롤 / 총지방질의 비 모두 인유는 물론 시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총토코페롤 / 18 : 2 Ω6의 비는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인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인유, 조제 분유 및 사유의 비타민 E 함량은 미국 유아 식이의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조제 분유의 포화 지방산 중에서 탄소수 8개 이하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10개 이상의 탄소수를 갖고 있는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들이었다. 시유에서도 역시 탄소수 10개 이하의 것들과 18 : 0 등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 그리고 직쇄 및 측쇄의 기수 지방산들이 높은 경향이었고 12 : 0 은 낮았다. 불포화 지방산의 경우 인유의 18 : 2Ω6은 조제 분유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인 반면 시유의 그것에 비하여 4.5 배 높은 수준이었고 탄소수 20개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낮은 수준치를 갖고 있었다.
본 연구는 지방산 함량 및 배합사료와 조사료 비율을 기초로 한 유기농 사료 급여가 홀 스타인 착유우에서 생산된 원유의 CLA 및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연구를 조사하기 위한 목 적으로 실시하였다. 총 290두의 홀스타인 착유우를 산차 및 유량에 따라 3개 group으로 나 누었다. 대조구는 C16:00, C18:2 그리고 SFA를 높게 설계하였고, 처리구 1은 C18:1, C18:2 그리고 UFA 함량을 높게 설계하였으며 처리구 2는 MUFA, C18:3 그리고 PUFA 함량을 높 게 설계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농 원유 내 C16:0 함량은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 이유는 반추위 내 미생물의 de novo 생합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처리구 2의 C18:0 함량은 7.92%로 대조구(11.39%)와 처리구 1(10.88%)보 다 높았다(p<0.05). CLA 함량도 처리구 2가 처리구 1이나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p<0.05). 원유 내에서 검출된 대부분의 CLA는 착유우 유선조직내의 △9-desaturase에 의하여 합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n-3/n-6 비율도 처리구 2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착유우에게 혼합 목건초 등을 급여하면 CLA, n-3 농 도는 증가하며 C18:0 농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유기농 인증된 조사 료 및 농후사료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유기농 사료를 사용할 경우에만 원 유 내 CLA 및 n-3 농도는 증가한다고 볼 수 없다. 원유 내 고농도의 CLA 및 n-3 지방산 생 산을 위해서는 반추위 미생물 및 유선세포의 지방 대사를 통한 CLA 생산 메커니즘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급여 사료 내 지방산 구성 등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 of dietary protected amino acid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in dairy cow using meta-analysis. Total 21 research papers were employed in analysis, and mixed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effects. Effect of protected methionine (PM) and combination of protected methionine and lysine (PML) were investigated under two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CP, <18% and >18%). For performance of dairy cow, milk yield, milk composition including milk fat and protein content and yield and 4% FCM (fat corrected milk) production were used for analysis. In case of milk yield, a trend of increment was found at PM supplementation at low CP (P=0.055). However, the effect of PM at high CP was detected as not significant (P>0.05). In case of milk protein, inclusion of PM at low CP showed significant decrement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MP on milk protein at high CP (P>0.05). Supplementation of MP at high CP level showed significant increment of milk fat (P<0.05). MP supplementation represented significant increment of 4% FCM production (P<0.05) regardless of dietary CP levels. Effects of PML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 at both of low and high dietary CP were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However, it seem to be that there was a possible positive effect of MPL application at high dietary CP on performance of dairy c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