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레저활동 인구증가 및 관련 산업의 급성장으로 인해 레저 선박을 접안하는 계류시설과 부유체를 기반으로 하는 해상부유 식 펜션 등 레저시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안에서 사용되는 부유체는 대부분 경량 부유체로서 중량이 상대적으로 경량이므 로 연안으로 유입되는 파(Wave)와 상재 하중에 의해 쉽게 경사가 발생하여 안정성이 낮아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 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부유체의 운동저감장치를 연구하여 알리고자 한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부유체에 운동저감장치(기압차를 이용한 운 동저감장치)를 부착하여 운동저감효과를 부착하지 않은 부유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분석은 전산해석시험으로 분석하여 부유체의 안정성 증가방법을 연구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시험결과 분석결과 기압차를 이용한 운동저감장치를 부착한 부유체가 운동저감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부유체보다 파랑에 대한 운동량이 저감되어 부유체의 안정성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 한 부유체의 운동저감 장치는 무동력 선박뿐만 아니라 동력선, 반잠수식 선박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 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4,0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atients who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RCR) require management to control pain and prevent re tear and stiffness. Thoracic mobilization has been applied for the improvement of vertebra and shoulder movements and pain reduction. Also, core stability exercise is an intervention necessary for rehabilitation after shoulder surgery. Objectives: To examine the short term benefits of thoracic mobilization and core stability exercise for patients after RCR.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multi arm parallel group and single blind assessor. Methods: 30 participants after RCR wer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CPT) group, thoracic mobilization (TM) group, and core stability exercise (CSE) group according to the randomization program. Each treatment,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i (TENS), TM, and CSE was applied to each group. 3 physical therapists only conducted evaluations; VAS (visual analogue scale), ROM (range of motion), and Korean version of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Results: VAS and SPADI were statistically reduced, and ROM was statistically improved in all 3 groups. In between three group comparisons of changes in outcome variable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and SPADI. In the post hoc test, ROM and SPAD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M and CSE compared to CPT. Conclusion: TM according to Maitland concept and CSE had beneficial effects compared to CPT in patients after RCR.
        4,0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의 적용과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전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대 남성 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연령, 22.3±2.1세; 신장, 173.89±4.51cm; 체중, 72.61±4.13kg; 신체질량지수, 24.03±1.31kg/m2), 필라테스 브릿지는 소도구 적용(도구 없음, 링, 짐볼)과 발의 불안정성(기본 바닥, 폼롤러, 보수볼) 차이에 따른 9 가지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표면전극 부착 부위는 신체 우측의 상복직근, 하복직근, 외복사근, 장내전근, 대 퇴직근, 외측광근, 전경골근, 및 대퇴이두근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짐볼의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에 효과적인 소도구로 검증되었고, 보수볼의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에 가장 높은 발의 불안정성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짐볼과 보수볼의 적용이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 근력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필라테스 브릿지 운동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houlder stabilization commonly involves two components: the glenohumeral stabilization exercise (GSE) and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SSE). Despite the fact that the shoulder stabilization has advantageous merit, to our knowledge, only a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superior of the GSE and the SS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GSE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shoulder pain. Methods: Thirty subjects with nonspecific shoulder pain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with 15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an GSE,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SSE. All subjects were measured in shoulder stability, scapular symmetric alignment, pain, muscle power, and range of mo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GSE resulted in significantly better shoulder stability (p=.046, from 8.67±7.54 score to 13.93±9.40)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S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for scapular symmetric alignment including the angles of inferior scapular distance (p=.829) and inferior scapular height difference (p=.735), pain (p=.113), muscle power including shoulder flexion (p=.723) and abduction (p=.897) and range of motion including shoulder flexion (p=.853) and abduction (p=.472).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SE may be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houlder stability than the SSE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shoulder pain, probably through a centralization effect on the shoulder mechanism.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