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8

        43.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매개충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에 대하여 무인항공기(무인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유인항 공용 방제 약제의 약효 및 약해를 조사하였다. 약효는 소나무와 잣나무의 수간을 3등분한 곳에 대상 곤충을 케이지에 넣어 매달아 두어 살충효과 를 조사하였다. 시험약제로는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아세타미프리드 미탁제, 플루피라디퓨론 액제를 각각 33배로 희석하여 살포하였고, 감수지를 이용하여 살포 약제의 낙하입자를 측정하고 피복도를 조사하였다. 약제 살포에 의한 주변 비산거리 및 비산량을 조사하였다. 세 약제 모 두 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에 대하여 96%이상의 우수한 살충 효과를 보였다. 낙하입자 분석 결과 낙하입자는 균일한 양상을 보였다. 주변 비산 현상 분석 결과, 약제 살포시 무인헬리콥터 진행방향으로 20 m의 비산을 보였고, 좌우, 후방으로 10 m의 비산이 확인되었다. 낙하입자수에 의한 비산량 조사 결과, 모든 방향에서 5 m내에서 낙하입자지수 6-7이였고, 10 m지점에서는 낙하입자지수 2를 기록하였다.
        4,000원
        5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species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 is described from intertidal sediments of the East Sea, Korea. Phanoderma koreense sp. nov. i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well-developed pharyngeal and cephalic capsule, six inner labial sensilla present as minute papillae around with circular groove, long and slender spicules with 4-5 serrated distal end, located at the base of the precloacal supplement, a series of eight to nine stout and short setae on the ventral cloacal region and conico-cylindrical tail with two pairs of blunt setae. In this study, we provide taxonomic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a new species by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microscope and a pictorial key to the valid species of Phanoderma Bastian, 1865.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genus Phanoderma in the East Sea, Korea.
        4,000원
        54.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industrialization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EPN) isolated in Korea,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infective juveniles. Since the conversion to infective juveniles in the end of solid culture is important against the outside environment, it has a great influence on insecticidal efficacy and shelf life. We investigated whether the concentration of CO2 and NH3 at the end of the solid culture was artificially increased to affect the infective juvenile induction rate. Optimal exposure time for conversion to infective juveniles was 5 minutes for CO2 and 3 minutes for NH3. Optimal treatment time was 9 days after EPN inoculation for both CO2 and NH3. And optimum concentration was 80~90% for both CO2 and NH3 for EPN infective juveniles stage conversion.
        5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are the insect vector of the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mostly in the mid-northern areas of South Korea. In 2017, we installed sentinel logs to lure efficient parasitic wasps of the vector and to evaluat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itoids i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control strategy for the PWN transmitting insect vector. As a result of the survey, we found Spathius verustus Chao (Hymenoptera: Braconidae) as a predominant parasitoid with the highest parasitism rate among six species of larval parasitoids. The parasitism rate was higher along the edge (0m of the forest depth) of the survey sites than the inner sides (20m and 40m of the forest depth). Also, the parasitoid showed highest parasitism rate in late-May at one of Gapyeong_sites, where was supposed to be the oldest infected areas. Lastly, the parasitism rate along the trap heights was higher at height of 0m than the 1.8m above the ground.
        56.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Hope)와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 Gebler) 암수 성충의 더듬이 감각기를 주사전자현미경로 관찰하여 형태적 특성과 분포를 조사하였다. 두 매개충의 암수 성충 더듬이는 자루마디(scape), 팔굽마디(pedicel)와 9개의 채찍마디(flagellum)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더듬이 표면에 있는 감각기의 종류에는 종 간, 암수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Chaetica 3 종류, Trichodea 2 종류, Basiconica 3 종류, Coeloconica 1 종류로 구분되었다. 이 중 Basiconica 3 종류는 모두 후각 수용체, Trichodea는 미각 수용체, 나머지는 기계적 감각기로 추정되었다. 감각기의 더듬이 내 분포를 보면 전체적으로 Chaetica 감각기가 가장 많았다. Basiconica 감각기는 채찍마디에만 존재하였으며 끝으로 갈수록 수가 많아졌다. Trichodea 감각기와 Coeloconica 감각기는 각 마디별로 밀도가 일정하였다.
        5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선충포식성 곰팡이는 선충을 포획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특수한 기관을 사용한다. 국내 성주지역의 참외 경작지 뿌리 주변의 토양에서 3차원 접착 고리를 형성하여 선충을 포획하는 곰팡이를 분리하였다. 곰팡이의 미세형태 구조를 관찰한 결과 분생포자병은 직립형으로 길이는 290~528 (342.8) μm으로 길었으며, 계란형의 30.5 × 20.3 μm 크기를 가진 1~3개의 분생포자를 형성하였다. 균주의 rDNA의 5.8 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rthrobotrys속의 계통군에 속하였으며, 특히 Arthrobotrys sinensis와 99%의 유사성을 보였다. 형태적 특징과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석을 바탕으로 본 균주는 A. sinensis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국내 미기록종으로 식물기생성선충의 생물학적 조절을 위한 하나의 자원이 될 수 있다.
        4,000원
        58.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클로버씨스트선충(Heterodera trifolii)은 우리나라 고랭지에서 배추에 피해를 주는 주요 씨스트선충으로 최근에 분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온도와 접종밀도에 따른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5~30℃ 온도조건에서 클로버씨스트선 충이 증식되었으며 20℃에서 암컷 성충 수, 알 수, 씨스트 수 모두 가장 많았다. 접종밀도에 따른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증식은 접종밀도가 높아질 수록 암컷 씨스트선충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토양 1 g당 16개의 알 처리 시 증식량, 알 수, 씨스트 수 모두 가장 많았다. 암컷 씨스트 수와 알 수는 접종밀도에 상관없이 배추가 케일에 비하여 많이 형성되어 배추가 케일보다 클로버씨스트선충의 증식에 유리한 기주였다.
        4,000원
        59.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재배지에서 콩씨스트선충(Heterodera glycines)과 반짝이씨스트선충(Heterodera sojae)의 지리적 분포에 관한 조사를 강원도와 충청북도 지역에서 수행하였다. 강원지역 10개시군, 67개 포장에서는 콩씨스트선충이 13개소, 반짝이콩씨스트선충이 5개소에서 검출되었고, 두 선충 혼 재하는 포장도 2곳이었다. 충북지역 9개 시군에서는 84개 조사 포장 중 27개소에서 콩씨스트선충이 검출되었고, 반짝이콩씨스트선충 4개소, 두 선충 혼재 발생지 5곳이었다. 강원, 충북 지역에서 콩씨스트선충류 검출 여부에 따라 발생하는 다른 식물기생성선충 속의 다양성과 우점도 지수 는 콩 재배지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콩씨스트선충과 토양 화학성 사이의 관계 분석에서는 결정계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콩씨스 트선충의 밀도가 높은 토양에서는 pH와 가용성 인산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씨스트선충이 검출된 토양의 토성은 사질토가 전체 샘플의 60%를 차지하였다. 점토와 미사의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는 콩씨스트선충의 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모래 함량이 높은 토양에서 밀도는 높게 나타났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