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bfamily Eumeninae, also known as the potter wasp, constructs mud cells and lays a single egg in each cell. The adult female potter wasp hunts lepidopteran larvae and paralyzes them then brings them back to the nest for its offspring.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behavioral study of Euodynerus nipanicus nipanicu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nesting behavior, predatory behavior, and parasitoids are represented. The rate of occupancy of the nest holes was 70.83%, with 5.4 cells per nest hole. The average length of cells was 12.11mm long, and they were filled with 4.23 larvae respectively. Also, the time period from egg to adult of the wasp was 36.27 days, on average. By analyzing the prey hunted and stored inside the nest cell, 4 different species in minimum were found to be hunted. Additionally, hymenopteran parasitoid and lepidopteran kleptoparasite are newly discovered. The research suggests that providing nest traps to potter wasps can increase the natural biological control held by the potter wasp species and could support the conservation of the potter wasps.
        2.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금속은 생체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 축적되는 특성으로 도시의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는 위험한 오염물질 중 하나이다. 도시지역의 대기 중 중금속오염을 평가하기 위해 중금속 노출 정도에 따라 생물 체내의 축적농도 를 비교하는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서 둥지 재료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중금속이 박새과 조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 대학교 캠퍼스 내 녹지공간(14개), 도시산림(11개), 도시공원(29개)으로 총 54개의 인공새집이 설치되었다. 조류 이용률은 도시공원 6/29개(20.68%), 캠퍼스 내 녹지공간 11/14개(78.57%), 도시산림 8/11개(72.72%)로 나타났다. 수거한 둥지로부터 이끼 재료를 채취하였고 중금속 분석을 통하여 도시녹지 유형별 중금속축적특성과 중금속이 박새과 조류의 이소 성공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아연의 평균 농도는 228.08±209.62㎍/dry g, 납의 평균 농도는 17.67±6.72㎍/dry g로 나타났다. 도시녹지 유형별 아연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Kruskal- Wallis test, p-value=0.28) 납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Kruskal-Wallis test, p<0.05*). 중금속 분석을 진행한 21개 의 박새과 조류 둥지 중 11개(52.38%)의 둥지에서 조류의 이소가 관찰되었다. 각 도시녹지 유형에서 관찰된 조류의 이소는 캠퍼스 내 녹지공간 7개(77.78%), 도시산림 6개(85.71%), 도시공원 1개(20%)로 주로 도시산림과 캠퍼스 내 녹지공간에서 이소가 확인되었다. 박새과 조류의 이소 성공 여부에 중금속 축적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중금속 농도를 비교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Zn : W=44, p-value=0.74, Pb : t=0.64676, df =7.2422, p-value =0.54). 본 연구는 박새과 둥지 재료를 중금속 모니터링 시료로 사용한 기초 연구로 비침습적인 생물학적 모니터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 세계적으로 진행된 급속한 도시화는 조류를 비롯한 야생동물 서식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하였다. 도시에 정착한 야생조류는 변화한 주변 환경에 적응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박새과 조류는 도시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를 이용하여 둥지를 만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도시에 설치된 인공새집을 이용하는 박새과 조류의 둥지 재료를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연구진은 충남 천안시에 있는 도시공원(22개)과 산림(11개) 내 총 33개의 인공새집을 설치하였다. 도시공원에서 4개(18.19%), 도시산림에서 5개(45.46%)의 인공새집이 이용되었으며, 둥지를 수거해 둥지 재료를 둥지별, 종별, 도시녹지 유형별로 비교했다. 이소 전 둥지를 포기한 박새 한쌍을 제외한 8개의 둥지가 재료 분석에 활용되었고 수거한 둥지는 건조과정을 거친 후 자연재료(식물성재료, 동물성재료, 이끼, 흙)와 인공재료(솜, 종잇조각, 플라스틱, 비닐 및 합성 섬유)로 분류한 뒤 각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분류 결과, 모든 둥지에서 이끼(50.65%)의 구성 비율이 높았고 흙(21.43%), 인공재료(13.95%), 식물성재료(5.78%), 동물성재료 (4.57%), 기타(3.59%) 순서로 파악되었다. 도시녹지 내 모든 둥지에서 인공재료가 사용된 특징이 있었다. 또한, 박새는 곤줄박이보다 식물성 재료를 약 5.16% 더 사용했으나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t=2.17, p=0.07). 도시산림에서는 식물성 재료와 흙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도시공원은 이끼, 동물성, 인공 재료 순으로 이용되었다. 이 중 식물성 재료 사용은 도시공원과 도시산림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07, p<0.05*). 도시지역과 같이 인공재료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서식환경에서는 일부 자연재료의 역할을 인공재료가 대체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생태계 인공새집 내 둥지 재료 유형을 분석한 기초연구로 박새과 종 보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머리뿔가위벌을 사과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중생종 ‘홍로’와 만생종 ‘후지’에서 머리뿔가위벌의 영소활동과 화분매개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후지’에서의 영소활동이 ‘홍로’보다 2.5배 많았다. 영소율과 증식률에서 ‘후지’가 ‘홍로’ 보다 각각 1.5배, 3.8배 높았다. 품종 에 따른 화분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 중심화결실률에서 ‘후지’가 ‘홍로’보다 1.6배 높았다. 과실의 품질에서 사축과율은 ‘후지’가 ‘홍로’보다 2.5배 낮았고, 사과종자의 수는 1.9배 많았다.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기 위해 개화기 기상환경과 머리뿔가위벌의 활동량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머리뿔가위벌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는 온도로 나타났다 (R2 = 0.578). ‘후지’(평균 17.4 ~ 최고 24.1°C)의 개화기 기온은 ‘홍로’(평균 12.5 ~ 최고 20.2°C)보다 4 ~ 5°C 높았기 때문에 ‘후지’에서 영소활동과 화분매개효과가 ‘홍로’보다 큰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조생종 ‘홍로’에서는 머리뿔가위벌보다 기상환경에 영향을 적게받는 뒤영벌과 같은 화분매개곤충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며, 만생종 ‘후지’에서는 머리뿔가위벌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과 재배 농가에게 사과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기후변화에 인하여 머리뿔가위벌의 화분매개활동이나 증식률이 변할 수 있다는 결론은 식생과 곤충상에 변화에 대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mpact of vertical grid-nesting on the tropical cyclone intensity and track forecast was investigated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WRF) version 3.8 and the initialization method of the Structure Adjustable Balanced Bogus Vortex (SABV). For a better resolu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numerical domain, where the tropical cyclone of interest is located, a horizontal and vertical nesting technique was employed. Simulations of the tropical cyclone Sanba (16th in 2012) indicated that the vertical nesting had a weak impact on the cyclone intensity and little impact on the track forecast. Further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of forecast was quite sensitive to the horizontal resolution, which is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improvement is due to the fact that horizontal resolution can improve forecasts not only on the tropical cyclone-scale but also for large-scale disturbances.
        4,000원
        7.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번식기 동안 광주광역시에서 제비의 영소지 선택과 번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 여 이루어졌다. 모든 둥지는 건물의 수직 벽과 지붕에 붙어 있었으며, 둥지의 외측 직경은 18.2±3.2㎝, 깊이는 9.8±3.1 ㎝, 둥지 내측 직경은 11.2±1.5㎝, 내측 깊이는 3.4±0.5㎝로 지면에서 평균 2.9±0.3m 높이에 위치하였다. 번식 둥지는 시멘트 벽(44.9%), 목재(23.1%), 벽돌(21.8%), 전등(6.4%)에 부착되어 있었다. 한배 산란수는 2~5개 범위로 평균 4.5개이었다. 평균 알 장경은 18.23±0.73㎜, 단경은 13.11±0.25㎜, 알 부피는 1.60±0.11㎤, 알 형태지수는 1.39±0.05, 알 무게는 1.69±0.15g이었다. 부화 및 이소 성공률은 각각 89.1%와 84.5%이었다. 번식 실패의 주요 원인은 미수정란과 포식, 둥지훼손, 번식포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제비의 서식지 보존 및 종 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
        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비(Hirundo rustica)는 인간 가까이에서 스스로 둥지를 짓고 생활하는 친숙한 조류로서 국내의 전역에서 흔히 관찰 되는 대표적인 여름철새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급속한 도 시화로 인한 서식지 감소와 과도한 농약 살포 등의 환경오 염으로 인해 제비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제비의 영소지 특성과 번식행동을 조사하 여 서식지 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2년 3월~2013년 8월까지 광주광역시 도 심근교지역인 서구 유덕동의 덕흥마을과 유촌마을의 번식 집단을 대상으로 영소지 특성과 번식행동(둥지짓기, 포란, 급이)을 조사하였다. 제비는 3월 말경에 도래하여 4월 중순경부터 둥지를 짓 기 시작하였고 4월 말경에 첫 산란을 하였다. 조사지역의 제비 번식지 토지이용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농경지 (논, 밭, 과수원, 묘포원)의 분포가 넓게 나타났으며, 도시 근교지역인 특성상 상업․공업․혼합․공동지역 및 교통시설지 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번식지 주변으로 하천이 10~15% 의 비율로 분포하며, 제비가 번식할 수 있는 주거지역(단독 주거, 취락지)은 대략 5~10% 비율을 차지하였다. 조사기간 중 번식중인 78개 둥지의 건물은 주택 (residential house)이 89.7%로 번식지로써 가장 선호하였 으며, 다음으로 창고(barn) 7.7%, 마을회관(village hall) 2.6%로 나타났다. 둥지의 부착 위치는 벽면(wall) 37.2%, 처마(eaves) 24.4%, 출입문(front door) 23.1%, 창문 (window) 11.5%, 대문(gate) 3.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둥지의 부착면 재질은 콘크리트(concrete) 44.9%, 목재 (wood) 23.1%, 벽돌(brick) 21.8%, 전등(lighting) 6.4%, 기 타(호수 등) % 순으로 나타났다. 제비 둥지의 방향은 남쪽 이 21.8%, 서쪽이 15.4%, 북동쪽 및 남동쪽이 각각 12.8%, 남서쪽이 11.5%, 동쪽이 10.3%, 북쪽 및 북서쪽이 각각 7.7%로 나타났다. 번식기간 동안 이용한 둥지의 이용율을 보면, 묵은둥지는 36개(39.0%), 생성둥지는 23개(61.0%)로 나타났다. 제비는 4월 중순경에 둥지를 짓기 시작하였다. 둥지의 재료는 진흙과 마른 풀, 가지로 수액을 섞어 밥그릇 모양으 로 수직의 벽에 만드는 경우가 많지만, 평평한 곳이나 전등 위 등에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 암․수 공동으로 둥지를 만들 며, 새로운 둥지를 만들 때에는 재료를 모아 약 8일 정도 걸려서 외부 모양새를 만들고 그 후에 알을 낳을 곳에는 깃털 등을 깔아 완성시켰다. 조사기간 중 번식에 이용된 34 개 둥지를 대상으로 크기를 측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장축 의 외측 길이(A) 181.6±32.2㎜, 장측의 내측 길이(B) 112.0±15.0㎜, 깊이의 외측 길이(C) 98.4±31.0㎜, 깊이의 내측 길이(D) 33.8±5.2㎜, 둥지 두께(E) 13.5±3.6㎜, 폭의 길이(F) 94.3±21.6㎜, 둥지와 천장 길이(G) 46.0±53.5㎜로 조사되었다. 또한 둥지와 출입문 또는 창문과의 길이는 평균 45.0±53.5㎝, 둥지의 지면에서의 높이는 평균 286.9±30.5㎝ 로 조사되었다. 번식중인 35개 둥지를 ‘closed' (4면이 벽으 로 되어 있음)와 ‘half-open' (한쪽이 개방되어 있음)으로 구분하여 노출정도를 조사한 결과, ‘half-open'이 62.9%, ‘closed'이 37.1%로 나타났다. 둥지 무게는 144.5~577.5g 범위로 평균 306.7±102.7g(n=30)으로 조사되었다. 진흙이나 마른 풀 등의 둥지 재료를 물러다 나르는 행동 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평균 174.8회(수컷: 122.0회 ; 암컷: 52.8회 ; N=5둥지) 이루어졌다. 주간의 둥지 재료를 나르는 행동은 주로 오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성별 로는 수컷이 시간당 평균 11.1회로 암컷(평균 4.8회/1H)보 다 2배 이상 비행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소행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오전(8-12시)의 경우, 둥지 재료를 물 러다 나르는 비행 횟수는 수컷(평균 14.3±7.3/1H)이 암컷 (평균 9.2±6.2/1H)이 현저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 둥지에 서 재료를 둥지에 붙이거나 보수하는 행동을 하는데 보내는 시간은 평균 6분 31초/1H이며, 수컷(평균 6:38±2:27/1H)과 암컷(평균 6:24±3:58/1H)간의 차이는 없었다. 산란 후 부화시까지의 포란기간은 평균 13.1±1.0일(n=56) 로 최소 12일부터 최대 16일로 나타났다. 제비의 번식둥지 에서 암컷의 산란이후 포란기간 동안 교대 없이 암컷이 지 속적으로 포란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컷은 포란을 하 지 않고 단지 둥지와 알을 확인하거나, 휴식을 위해 방문하 였다. 번식중인 5개 둥지를 조사한 결과 주간(6-18시)에 포 란 횟수는 평균 30.4회, 시간당 포란 횟수는 평균 2.5회이었 다. 포란시간은 평균 8시 53분±1시 10분, 1시간당 포란시간 은 평균 45분으로 산란 후 6~10일인 둥지의 암컷들은 주간 에 약 74%를 포란하는데 보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추기간 동안 새끼에게 먹이를 주는 급이(Parental feeding) 횟수는 오전 6시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시에 최대치를 보였고 그 이후로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급이행동은 암․수가 공동으로 실시하였으며 주간 (6~18h) 동안 육추기간 부모의 급이 횟수는 평균 374.0±83.5 회, 시간당 급이 횟수는 평균 32.1회로 나타났다(N=5). 새 끼에게 먹이를 공급해 주는 급이간격은 오전 6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대략 3분 정도였으나 오후 4시이후로는 약 6분 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es of the genus Osmia are cavity-nesting solitary species that play important roles as pollinators. Nest traps are one of the most common methods to study Osmia bees. To elucidate the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nesting sit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ocation, direction, altitude, and sites of nest traps on the rate of trap-nesting Osmia spp. During the collection period, the average rate of trap-nesting Osmia spp. collected within 90 days after the installation of traps was 17.0±20.0%. This percentage was 2.7-fold higher than that of trap-nesting bees in 30 days after the installation of traps. The Jeongseon location exhibited the highest rates of trap-nesting Osmia spp. collected in 30 and 90 days, representing 11.1 ±17.6% and 23.2±22.5%, respectively. The direction of the nest traps did not affect the rate of trap-nesting Osmia spp. The altitude ranges of the traps were 0-199 m, 200-399 m, 400-599 m, 600-799 m and over 800 m. Interestingly, the altitude range of 600-799 m showed the highest rate of trap-nesting bees, which was 40.4±3.9%. Higher altitudes seemed to correspond to higher rates of trap-nesting bees. With regards to the sites where the nests were placed, the rate of trap-nesting bees in a mud wall of an old house was 45.1±25.2%, which was 3-fold higher than that of a nest in an apple orchard. The flowering plants collected at different locations during the trap-nesting activity of Osmia bees belonged to 18 families and 34 species. In conclusion, the rates of trap nests colonized by Osmia spp. were affected by altitude, site, and plant diversity.
        1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tingless bees are restricted to the tropical regions of the world and are considered as important pollinators of various wild and cultivated plants. In the recent investigation, fourteen species of stingless bees are recognized in the dry season from Cambodia and Laos, which are congeners to the species from adjoining country Thailand. In this study, four species in each country Cambodia and Laos are found for the first time: Lisotrigona cacciae (Nurse, 1907), Pariotrigona pendleburyi (Schwarz, 1939), Tetragonula sirindhornae (Michener and Boongird, 2004) and Tetrigona melanoleuca (Cockerell, 1929) from Cambodia, and Homotrigona anamitica (Friese, 1909), Lepidotrigona flavibasis (Cockerell, 1929), Lisotrigona furva Engel, 2000 and Tetragonula fuscobalteata (Cameron, 1908) from Laos. Morphological images, identifying key to genus and species, discussion on the various types of nest and biology for each species are provided.
        11.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orldwide studies on Apis cerana variation for biogeography and genetic diversity depended largely on a 86~93 bp-long mitochondrial non-coding region (internal spacer region) located between tRNALeu and COII (named as NC2), possibly due to higher variability among available markers. In order to incorporate the A. cerana occurring in South Korea into world extensive data, we also sequenced the NC2 from 118 A. cerana samples collected over nine Korean localities and 66 A. cerana samples over seven Asian localities, such as China, Vietnam, and Thailand. These data were combined with preexisting world data to scrutinize genetic relationships of A. cerana in South Korea to outside distributional range. Sequencing of 184 samples provided a total of ten haplotypes: five from Korea, six from China, one from Vietnam, and two from Thailand. Among them eight were new, whereas two were previously reported ones. Phylogenetic analysis of A. cerana NC2 haplotypes so far found including ours has confirmed the presence of four major groups of A. cerana (Asian mainland group, Sundaland group, Palawan group, and Luzon-Mindahnao group) and all haplotypes found in this study also were included in the Asian mainland group. In order to find further variable regions that can be used as sequence-based marker several mitochondrial non-coding regions and nuclear intron regions are in the middle of testing.
        12.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nesting and foraging behavior of Korean mason bees, Osmia cornifrons Radoszkowski, during apple orchard pollination. When O. cornifrons was nesting, the oviposit and store pollens were taken an average 118.54±15.88 second and constructing cell partition was an average 109.33±62.09 second. At foraging, collecting pollens was timed at an average 699.89±81.87 second, and carrying mud was measured an average 464.88±151.17 second. Nesting and foraging behavior of O. cornifrons were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especially, temperature, luminance and wind. When the luminance was more than 20,000lux and temperature was more than 20℃, O. cornifrons was more actively nesting and foraging. But, nesting and foraging of O. cornifrons were rapidly dropped when the wind blew at the speed more than 5m/s.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foraging behavior is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luminance, temperature and nesting. On the other hand,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ind and the behavior of O. cornifrons. The most effective factor was luminance among the factors affecting the weather condition by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if weather conditions is low luminance, low temperature and strong wind, it will be better not to use O. cornifrons during apple pollination.
        13.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improve mass rearing methods of hornfaced bee, Osmia cornifrons, in different field condition, a series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apple orchard in Geochang province, eco-park in Suwon and botanical park in Yongin. 1,000 individuals and 2,000 individuals of Osmia cornifrons were released apple orchard and eco-park and botanical park respectively. Nesting rate of Osmia conifrons was most effective in case of releasing in botanical park in Yongin with 38.2% and lowest in eco-park in Suwon with 21.7%. And also number of cocoons nested in bamboo tube traps was highest in botanical park in Yongin with 3,494 individuals. Sex ratio in 3 different areas was also most effective with 58:42 in botanical park, 50:50 in apple orchard and lowest with 43:57 in eco-park. Nesting activity was shown starting point in 20th day, peak point in 38th day and ending point in 46th day after releasing of adults. This result shows nesting efficacy in botanical park designed with various species of plant sources pollinating insect, Osmia cornifrons, to increase the multiplication rate in field condition is more effective than other areas. General type of nest shows same tendency in efficacy of nesting rate compared with specific type of nest designed with dark thick cover in apple orchard. But it's result needs some further examination in same condition.
        1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ptimal nesting system for a board. A hybrid method is used to search the optimal solution for rectangular nesting problem. This method is composed of heuristic approach algorithm. An engineer's experience of board nesting in which a loss occurred to sheet because of various individual error and diffidence. So, item layout at resource sheet were evaluated in engineering algorithm logic in which specially designed was installed. The nesting system consists of Lisp and Visual Basic. The system was controlled by AutoCAD so as to best item batch path test.
        4,000원
        16.
        200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ptimal nesting system for a board. A hybrid method is used to search the optimal solution for rectangular nesting problem. This method is composed of heuristic approach algorithm. An engineer's experience of board nesting in which a loss occurred to sheet because of various individual error and diffidence. So, item layout at resource sheet were evaluated in engineering algorithm logic in which specially designed was installed. The nesting system consists of Lisp and Visual Basic. The system was controlled by AutoCAD so as to best item batch path test.
        4,000원
        17.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breeding seasons in 2017 to identify nesting habits and breeding biology of barn swallows in Daejang-dong village, Bucheon city, suburban Seoul. Among the 77 barn swallow nests studied, there were 34 breeding nests -27 in the first and 12 in the second. The reuse rate of old nests was 51.6%. In addition to tile-roofed houses (20.6%), breeding nests were most common in brick houses (38.2%) and in slate-roofed houses (26.5%). Most breeding nests were in eaves (58.8%) and front doors (32.3%). The average clutch size was 4.8±0.9 in the first and 4.3±0.5 in the second. The breeding success rate was 75.0% in the first and 58.1% in the second, considering the hatching rate and the fledgling rate. It was found that the rainy season was affected by a lack of food. At least 27 pairs of nestling barn swallows and 127 young barn swallows successfully fledged were estimated to be 181. These results show that Daejang-dong village is an important suburban habita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at it can be used to verify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of rice fields of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