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질소시비량 차이(0, 50, 100, 150, 200, 250kg/ha)에 따른 제주조의 생육반응, 수량 및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5월 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92일에서 98일로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출수기까지의 일수는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초장은 무비구에서 96cm였던 것이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200kg, 250kg/ha 시비
        4,000원
        3.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가축분뇨의 시용수준과 이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화학비료 시용수준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이에 의한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으로써, lysimeter에서 옥수수에 대한 액상발효우분 시용수준과 추가적인 요소N의 시용수준에 따라 질소의 이용효율과 함께 NO의 용탈에 의한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규명, 가축분뇨의 자원화는 물론 가축분뇨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대책 수립을 하고자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
        4,000원
        4.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nitrogen (N) absorption and partition of the rice plants are important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N use efficiency (NUE) of the plants. Improving the plant NUE can help to avoid nutrient waste that ma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o investigate the N absorption and partition of the rice plants, Hwaseongbyeo (Japonica) and Dasanbyeo (indica/japonica) were applied with N fertilizers at the rates of 60, 120, and 180 kg N per ha in paddy field. Also micro plots of 0.81m2 were established inside each plot for application of 15N-labeled fertilizer. The differences in N utilization of the rice plants were associated with the total N absorption and partitioning after the heading stage. In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increase of nitrogen content in the total and leaf blades of Dasanbyeo was higher than that of Hwaseongbyeo. Soil N was the main contributor for the increase of total N of Dasanbyeo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N fertilizer uptake rate of Hwaseongbyeo rapidl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N fertilization rate. In Dasanbyeo, N fertilizer uptakes were similar under all rates and times of N application. From heading stage to harvest, Dasanbyeo continued accumulating nitrogen, whereas Hwaseongbyeo had small changes. In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nitrogen absorption and partition after heading of the two cultivars was caused by the ability of Dasanbyeo to accumulate and remobilize soil nitrogen to the grains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5.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ce yield and plant growth response to nitrogen (N) fertilizer may vary within a field, probably due to spatially variable soil conditions. An experiment designed for studying the response of rice yield to different rates of N in combination with variable soil conditions was carried out at a field where spatial variation in soil properties, plant growth, and yield across the field was documented from our previous studies for two years. The field with area of 6,600 m2 was divided into six strips running east-west so that variable soil conditions could be included in each strip. Each strip was subjected to different N application level (six levels from 0 to 165kg/ha), and schematically divided into 12 grids (10m ~times10m~;for~;each~;grid) for sampling and measurement of plant growth and rice grain yield. Most of plant growth parameters and rice yield showed high variations even at the same N fertilizer level due to the spatially variable soil condition. However, the maximum plant growth and yield response to N fertilizer rate that was analyzed using boundary line analysis followed the Mitcherlich equation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approaching a maximum value with increasing N fertilizer rate. Assuming the obtainable maximum rice yield is constrained by a limiting soil property, the following model to predict rice grain yield was obtained: Y=107651-0.4704*EXP(-0.0117*FN)*MIN(I-clay,~;Iom,~;Icec,~;ITN,~; ISi) where FN is N fertilizer rate (kg/ha), I is index for subscripted soil properties, and MIN is an operator for selecting the minimum value. The observed and predicted yield was well fitted to 1:1 line (Y=X) with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0.564. As this result was obtained in a very limited condition and did not explain the yield variability so high, this result may not be applied to practical N management. However, this approach has potential for quantifying the grain yield response to N fertilizer rate under variable soil conditions and formulating the site-specific N prescription for the management of spatial yield variability in a field if sufficient data set is acquired for boundary line analysis.
        6.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제주도에서 쇠무릎의 뿌리와 포과의 생산을 위한 적정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재식밀도(50, 100주/m2, 1주 2본)와 질소시비량(0, 6, 12, 18, 24, 30 kg/10a)에 따른 생육, 건물수량, 지상부 질소 함량 및 수량 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한 모든 형질에 대하여 재식밀도와 질소시비량 간에는 상호작용이 없었다. 100주/m2 재식구에 비하여 50주/m2 재식구에서 주근장 및 뿌리수는 각각 5%와 52%증가되었고 경엽의 질소함량은 다소 낮았으나 다른 형질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질소시비량은 주경직경, 주당 화서수, 화서당 포과수, 주근장, 주근직경, 포과 질소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질소시비량이 10a당 0 kg에서 30kg으로 증가함에 따라 SPAD 값은 35.0에서 40.5로, 경엽의 질소함량은 1.09%에서 1.38%로 직선적으로 증가되었다. 질소시비량은 초장, 주당 분지수, 포과 뿌리 건물수량, 주당 근수, 경엽질소수량에 대해서는 2차함수식으로, 주당 화서수에 대해서는 3차함수적인 관계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포과 및 뿌리 건물수량이 최대가 되는 질소시비량은 21kg/10a로 추정되었다.
        7.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을 위한 기상재해 경감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중부지역 벼 주요 장려품종의 포장 도복저항성 정도를 질소 보비와 다비 조건에서 검토하여 도복발생 상 습지역이나 질소과비 우려지역에서 벼 재배시 내도복성 품종의 선택 기준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다비시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은 오봉벼, 대진벼, 내풍벼, 농안벼, 일품벼의 5품종, 중 정도인 품종은 대안벼 등 14품종, 약한 품종은 진부벼 등 11품종이었다. 2. 질소다비시 도복정도별 직접효과가 큰 형질은 도복정도가 9로 심했던 품종은 간장과 중심고, 도복정도 5에서는 간장, 도복정도 3이하로 도복에 강했던 품종은 간장, 제3절간으로 나타났다. 3.쌀 수량은 질소보비에 대한 다비의 수량지수로 볼 때 조생종은 수량차가 5% 이내로 적었으나, 중생종 및 중만생종은 도복시기 및 도복저항성 정도에 따라 수량차가 크게 나타났다. 4. 이상에서와 같이 우리나라 중부지역 적응 벼 주요 장려 품종 중 도복저항성이 강한 품종을 도복발생 상습지역이나 질소 과비 우려지역에 재배함으로서 도복발생을 경감하여 쌀의 지속적 안정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8.
        198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퇴비시용량 (0, 1,500kg/10a) 및 질소시비량 (0, 5, 10, 15, 20kg/10a)과 질소반양추비(1982년, 15, 20kg/10a의 경우)에 따른 단옥수수 Sun glow(1982년 공시) 및 Honey Bantam-9 (1983년 공시)의 생육 및 수량성은 다음과 같다. 1. 퇴비시용은 이삭의 크기를 증대시켰고 10a당이삭무게를 약 10% 증가 시켰다. 2. 10a당 이삭수는 10a당 질소 10kg까지 증비할 때는 크게 증가하였고 이삭무게는 무퇴비구에서는 10a당 질소 20kg까지도 증수되었으나 퇴비시용구에서는 10a당 질소 10kg 까지만 큰 증수를 보였다. 3. 10a당 지상부 건물수량은 무퇴비구에서는 10a당 질소 15kg, 퇴비시용구에서는 질소 10kg까지 크게 증가 되었다. 4 지상부 질소흡수량은 무질소에서 8.1kg였고 10a당 질소 20kg 시용에서 18.8kg로 질소시비량 증가에 따라 직선적인 증가 경향이었다. 5 10a당 이삭수, 이삭무게, 건물중 등을 고려한 적정 질소시비량은 10a당 10-15kg로 보여진다. 6, 질소추비의 효과는 이삭크기, 10a당 이삭수 및 이삭무게 등에서 인정되지 않았다.
        9.
        197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자추작의 알맞는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6년 천안에서 시마바라(도원)품종을 대상으로하여, 7월13일 4절종서를 GA2 ppm과 Ethrel 250ppm의 혼합액에 60분간 처리하여 노지의 최아상에 파종하고, 7월 24일 몇가지 재배처리를 하여 정식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식당시의 아장(아경)을 4cm(3.5mm), 7cm (4.5mm) 및 10cm(6.0mm)로 구분한즉 싹이 크고 굵은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 되었다. 2. 질소시용량을 10a당 요소 10, 20 및 30kg으로 구분한즉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3. 질소를 정식기(7월24일)에 전량기비로 주는 것 보다 정식기와 8월15일 또는 8월15일과 9월5일로 분시하는 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4. 재식거리 60 20cm 또는 70 17cm이상의 밀식은 도장을 유발하여 수량 품질이 저하되었다. 5. 정식후에 밀짚을 4, 8, 12cm로 피복한즉 피복이 두꺼울수록 성하기의 최고지온을 낮추고 추냉기의 최저지온을 높이는 효과가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