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우세안 검사법 중 하나인 Hole-in-the-card법을 이용하여 우세안을 검출하고 대비도에 따른 우세안 및 비우세안의 시력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안과적 질환이 없는 20대 성인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Hole-in-the-card법을 시행하였고, 100% 고 대비시표와 10% 저대비시표를 이용하여 각 대비도에서의 시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평균 고대비시력(대비도 100%)은 각각 0.07±0.05 logMAR, 0.11±0.13 logMAR이며, 평균 저대비시력(대비도 10%)는 평균 저대비시력의 각각 0.31±0.09 logMAR, 0.27±0.08 logMAR로 고대비시력은 우세안이 비우세안에 비해 우수하게 측정되었고(p=0.049), 저대비시력은 비우세안이 우세안에 비해 더 우수하게 측정되었다(p=0.003). 고대비시표와 저대비시표에서 같은 방향의 눈의 시력이 우수하게 측정된 경우의 양안의 시력 차는 0.16±0.23 logMAR였고, 고대비시표와 저대비시표에서 우수하게 측정 된 눈의 방향이 달라진 경우의 양안의 시력 차는 0.05±0.00 logMAR로 나타났다. 결론 : 우세안은 비우세안에 비해 고대비시력이 우수하게 측정되었지만 고대비에서 양안의 시력 차이는 저대비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교정 시 환경 및 시생활의 목적에 따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결정 요인들을 조사하고, 성인 남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방 법 : 성인 92명을 대상으로 Hole-in-the-card method로 우세안을 결정하였고, 안압, 등가구면굴절 력, 난시도, 카파각을 측정하여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차이를 성별로 비교하였다. 결 과 : 성별에 따른 안압(p=0.570), 등가구면굴절력(p=0.465)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우세안 에서 남자의 난시도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으며, 양안 난시도에서도 남자의 난시도가 유의하게 크게 나타 났다(p=0.012). 카파각은 우세안과 비우세안에서 여자의 카파각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양안 카파각도 여 자의 카파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2). 결 론 : 우세안과 비우세안의 요인을 성인 남녀의 성별로 비교하였을 때, 남자의 난시도와 여자의 카파각 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