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ways to develop the Korean optometrists to meet the diverse and growing social demand for eye health services. Methods : We analyzed the optometrist qualification system, scope of practice, educational qualifications, and types of qualifications in 38 OECD countries based o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the European Union (EU) national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of health care professions, data from World Council of Optometry (WCO) member countries, International Orthoptics Association (IOA), and databases of laws and occupational regulations in each country. Results :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of the WHO and EU was classified into optometrists and dispensing opticians systems at the same level as medical personnel. However,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in Korea is operating in a lower and monotonous structure. More than 78% of OECD countries operated optometrists system, and more than 67% of optometrists performed Category 3 or higher tasks, includ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bnormal visual function and primary screening and diagnosis of eye health. The educational level of optometrists was found to have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education than a bachelor's degree in more than 72% of countries. In addition, major overseas countries appeared to be developing into a system of subdivided qualification types such as orthoptist, advanced optometrist, therapeutic optometrist, independent prescribing optometrist, and ophthalmic medical technicians based on the optometrists system, essential clinical experience, and additional specialized education. Conclusion : The Korean optometrists system should introduce the international level as a national qualification, expand the scope of work to Category 3, and develop more specialized and subdivided qualifications. In conclusion, Korean optometrists need to have a standardized curriculum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a bachelor's degree or higher, and certification with required clinical experience. Key words : Korean optometrist, Optometrist, Vision care Authors
        4,200원
        2.
        202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부 안경사를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관리 지식 및 관리 교육의 실천 수준을 알아보고,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21년 3월부터 6월까지 국내 안경원에서 1년 이상의 근무 경력을 가지고 있는 122명의 안경사를 대 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75명, 여자가 47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9.80±6.92세였다.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코로나19에 대한 지식(0~2점) 및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의 관리에 관한 지식(0~2점), 그리고 감염예방을 위한 관리 교육의 실천(0~3점)에 대한 항목으로 총 27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의 코로나19 지식의 평균 점수는 1.61±0.30점, 콘택트렌즈 관리에 대한 지식의 평균 점수는 1.69±0.29점, 관리 교육의 실천은 2.45±0.45점이었다. 코로나19의 지식에서 ‘코로나19의 증상’(1.93±0.34점) 문항이 가장 높은 지식수준을 보였고, ‘코로나19의 병원체는 SARS-CoV-2’(1.18±0.70점)에서는 가장 낮은 점 수를 보였다. 콘택트렌즈 관리에 관한 지식 문항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콘택트렌즈 세척과 헹굼은 필수적인 관리지침’(1.98±0.13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실천 문항에서는 일반적인 콘택트렌즈의 관리 수칙은 잘 지키고 있었지만 ‘독감, 발열, 기침 등의 증상이 있으면 렌즈 착용을 중단하도록 교육한다’(1.71±1.10점)에서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부 안경사들의 일반적인 콘택트렌즈 관리 수칙은 높은 지식 및 실천 점수를 보였 으나, 일부 항목은 낮은 점수를 보여 감염예방을 위한 전문적인 항목의 개발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200원
        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도수 안경 온라인 판매 정책화에 따른 안경사의 인식을 분석해보고, 향후 안경시장 변화에 따른 대응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 대상은 2021년 8월 13일부터 8월 17일까지 현재 안경원을 운영하고 있는 안경사 대상으로 구글 서베이(Google survey)를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040명의 응답을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안경사의 인구통계적 변수를 바탕으로 안경원 운영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교차 분석, 독립 표본 t-검증,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결과 : 도수 안경 온라인 판매정책이 안경원 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안경원 운영에 있어 부정적인 입장을 확인하였다. 도수 안경 온라인 판매 정책은 안경원의 주요 취급품목, 월별 발주량, 연간 매출 액, 고용 인력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묻는 문항은 5점 Likert 스케일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에서 평균 4.7점 이상으로 영향을 많이 받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수에 따른 안경원의 주요 취급품목, 월 별 발주량, 연간 매출액, 고용 인력에 영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요 취급품목, 연간 매출액, 고용 인력에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도수 안경 온라인 판매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고, 도수 안경 온라인 판매 정책에 관한 문제점을 근거로 향후 정부의 정책적 방향을 수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수 안경 온라인 판매정책에 관한 안경업계에 대응 전략을 제시하였다.
        4,800원
        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안경사 직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사회적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안경사의 위상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일반인 172명과 안경사 70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경사의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였다. 사회적 인식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각 항목별로 질문지를 분류하여 세부항목을 만든 후 온라인 설문지(Goggle)를 통해 배포하였다. 결과 : 일반인 172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분포는 남자 73명(42.4%), 여자 99명(57.6%)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20대 22명(12.8%) 30대 42명(24.4%) 40대 37명(21.5%) 50대 이상 70명(40.7%)이었고, 그들의 학력은 고졸 37명(21.5%) 대졸 99명(57.6%) 대학원이상 36명(20.9%)의 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안경사 70명의 응답분포는 남자 43명(61.4%), 여자 27명(38.6%)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20대(12.8%) 30대(24.4%) 40대(21.5%) 50대 이상 (40.7%)이었고, 그들의 학력은 고졸 9명(21.5%) 대졸 56명(57.6%) 대학원이상 5명(20.9%)의 분포를 이루고 있었다. 안경사의 주요업무에 대한 질문에서 일반인과 안경사 두 그룹 모두 시력보건 전문 의료기사로서의 업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안경 및 콘택트렌즈 판매원으로서의 업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었다. 일반인이 안경사의 주요업무를 시력보건 전문 의료기사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시력검사 필요성을 느낄 때는 안경원방문(36.0%)보다 안과방문(61.6%)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 안경원을 방문 했을 때 방문자의 대부분은 처방에 만족(78.5%)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불만족(14.0%)을 느낀 고객들의 불만족 사항은 검안에 대한 전문지식 부족(48.2%), 고객응대(14.1%)의 순으로 나타났다. 안경사를 대상으로 전문 안경사가 되기 위한 요건으로 무엇이 필요한지 알아 본 결과 굴절검사에 관한 전문지식과 양안시검사에 관한 전문지식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일반인이 불만족을 느끼는 부분과 안경사가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하다고 느끼는 부분이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안경사가 국가고시를 통과한 전문가임을 알고 있는지 조사 한 결과 일반인 172명 중 33.7%의 응답자가 안경사 국가고시 시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또한 응 답한 일반인들의 절반이상인 50.6%가 안과에서 근무하는 시력 검사자가 안경사임을 모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 안경사에 대한 일반인의 사회적 인식을 알아 본 결과 응답자의 45.9%가 안경사를 시력 보건 전문 의료 기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에 반해 안경 및 콘택트렌즈 판매사(41.3%)라고 생각하는 응답자도 높게 나타났다. 일반인과 안경사 모두 안경사가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굴절검사나 양안시검사에 있어서 지식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가고시 시험을 통해 양성된 전문 안경사가 단순 판매사가 아닌 전문가로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경사 스스로의 노력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지원 또한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
        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를 활용하여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중요요인을 이원비교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은 일관성 확보를 위해 일관성 비율 0.1 미만일 때 분석하였다. 결 과: 계층화 의사결정방법 분석 결과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Level 2항목 중요도는 상품/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별 중요도는 Level 3(01)은 전문안경사, Level 3(02)는 학교 에서 가까움, Level 3(03)은 홍보(전단지, 신문광고), Level 3(04)는 안경사의 신뢰성, Level 3(05)는 가격 의 적정성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 우선순위는 안경사의 신뢰성(0.2552)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특정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던 안경원 경영을 좀 더 합리적이고 과학적 방법인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적용함으로써 합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안경사의 신뢰성(0.2552)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300원
        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이 연구는 안경사의 1일 근무시간이나 정기휴무 등의 복지관련 실태를 조사하여 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부산시안경사회에서 2012년 4월 보수교육시 533명(남자 379명, 여자 154명)의 안경사를 대상으로 안경사 복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사항 10문항과 복지증진관련사항 20문항의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안경사 실무자들이 휴직이나 이직을 고려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장시간의 근무시간(38%)과 정기 휴무제 미흡(17%) 때문이었다.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는 안경사의 절반 이상(56%)에서 스트레스 정도가 높거나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에서 가장 가치를 두고 있는 것이 정기 휴무제 실시(36%)와 1일 근무시간 단축(34%)이지만, 실제 정기휴무를 실시하는 안경원은 33%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안경사의 72%가 현재 1일 11시간 이상을 근무하고 있고, 대부분의 안경사인 95%에서 희망하는 1일 근무시간은 8~10시간이었다. 안경사의 91%가 정기 휴무제 실시를 찬성하고 있고, 또한 휴무제 시행에도 적극 동참할 의사를 밝혔다. 결론: 장시간의 1일 근무시간과 정기 휴무제 미흡으로 인한 열악한 근로조건은 고용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모두가 동참하여 안경사의 복지를 향상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4,800원
        9.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한국 안경착용자의 대부분이 안경처방을 안경원에서 안경사에게 받는데도 불구하고, 현행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2조1항은 안경처방에 필요한 타각적 굴절검사 중 자동굴절검사기기 이외에는 안경사가 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경사가 안경처방을 함에 있어서 타각적 굴절검사의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타각적굴절검사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방 법: 국내에서 사용되는 타각적굴절검사와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각각의 특성을 알아보고 한국 안경원의 상황에 있어서 안경처방을 위한 이들 방법들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알아 보았다. 결 과: 국내 안경착용자의 대부분은 안경원에서 안경사에게 안경처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경처방에 필요한 굴절검사 장비는 다양하고 이들 장비를 이용한 검사법에는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까지 출시된 여러 가지 타각적굴절검사 장비를 이용한 검사방법은 자각적굴절검사가 불가능한 안경착용 대상자에게 유용하며 또한 일반 안경착용대상자에게도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안경을 처방을 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각적 굴절검사기기들은 식약청고시에 의하면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어 1등급 또는 낮은 2등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따라서 안경사가 안경처방을 위해 이들 장비의 선별적인 사용은 전혀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과학적이고 보다 정확한 안경을 처방하는데 있어서 피검사자의 굴절이상도, 안기능, 안경착용 환경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 인체에 해가 거의 없는 타각적 굴절검사 기기의 사용은 안경을 처방하는 전문가에게 사용의 제한이 없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제조물책임법(PL법)에 관한 안경사 인식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남도 나주시, 함평군, 목포시, 강진군, 해남군에 개설한 안경원 50곳에 근무하는 개설 안경사와 종사 안경사 중 설문지를 성실히 응답해주신 117명에 대해서 조사했고, 조사결과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17.0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개설 안경사 및 종사 안경사의 PL법에 대한 인식도가 2003년 조사보다 향상되었으나, 2009년 조사에서도 62%가 인식전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PL법의 시행 여부, 안경사 인식전환 및 숙지사항 등에 대해서 모르거나, 관심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PL법에 대한 상담 사례가 있었느냐 물음에 2003년 조사 당시는 없다고 응답했었다. 그러나 2009년 조사 결과 상담사례가 13명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설 안경사가 종사 안경사 보다 PL법의 대처방안에 대한 교육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PL법에 대비한 제품의 결함 사례 분석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안경사들의 소비자에 대한 태도변화 및 인식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