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High string instrument (violin, viola) players are at high risk for developing musculoskeletal problems. In particular, a higher prevalence of shoulder problems has been reported. However,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exercise for musicians with this condition is lacking until now. Objects: This case serie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specific exercise program on shoulder pain, dysfunction, and posture of professional orchestral high string musicians. Methods: Five professional orchestral high string players with shoulder pai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ix-week specific exercise program focus on scapular stability for shoulder pain consisted of scapular muscle exercise. Physical examinations for pain and dysfunction, posture were performed, were identified among all subjects before starting the exercis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houlder pain decreased by 67.86% and the effect of pain on instrument play decreased by 63.33%.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nd the performing arts module-quick disability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scale decreased by 71.72% and 51.61% respectively. The exercise program improved function and posture. Conclusion: A specific exercise program for high string players was effective in managing shoulder pain. This case series is intended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the effectiveness of an exercise program aimed at assessing the effect of exercise on pain, dysfunction, and posture of professional orchestra musicians associated with specific instrument groups.
        4,300원
        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900원
        3.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을 통한 음악활동 경험이 학생들의 자아개념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 구체적 요인들 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D도시의 초등학교에서 관현악 오케스트라가 있는 세 개의 학교를 선정하고,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58명의 자료를 연구에 사용하 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 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은 참여유무, 참여기간, 참여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은 전체자아개념과 성격자아개념, 신체자아개념, 오케 스트라활동에의 참여, 성별(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초등학생들은 오케스트라활동 경험에 따라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으며, 오케스트라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성격에 영향을 미 침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예측요인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학교 에서는 학생들이 실제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