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 ovarian germline stem cells (OGSCs) that have the abilities to self-renew and differentiate into functional gametes can be used in various researches and applications. A main issue to be solved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fish OGSCs is the development of their stable in vitro culture condition, but only few researches about fish OGSC culture have been reported so far.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the clues to develop the culture condition for OGSCs from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we tried to establish somatic cell lines as a candidate for the feeder cells and evaluated its supporting effects on the culture of ovarian cell populations from O. latipes. As the results, the somatic cell lines could be established only from the embryonic tissues among three tissues derived from embryos, fins and ovaries. Three embryonic cell lines were tested as a feeder cell for the culture of ovarian cell population and all three cell lines induced cell aggregation formation of the cultured ovarian cells whereas the feeder-free condition did not. Furthermore, a significant cellular proliferation was observed in the ovarian cells cultured on two of three cell lines. As a trial to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cell lines as a feeder cell that supports the proliferation of the cultured ovarian cells, we subsequently established a stable line that expresses the foreign O. latipes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2) from an embryonic cell line and evaluated its effectiveness as a feeder cell. The ovarian cells cultured on FGF2 expressing feeder cells still formed cell aggregates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cellular proliferation compared to those cultured on non-transformed feeder cell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in vitro culture of medaka OGSCs.
        4,000원
        2.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부유토사로 인한 탁도 증가가 어류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험실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 강 또는 호소에서 출현 비율이 높은 붕어, 잉어, 송사리를 대상으로 수정란 부화율 평가를 수행한 결과 붕어, 잉어는 4,040 NTU 수준까지 수정란 부화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지만, 송사리는 254 NTU 이상의 구간에서 부화율이 저해되는 영향을 보였다. 붕어, 잉어, 송사리 치어의 4일간 노출 결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 반면 성장률 결과에서 잉어와 붕어는 7일, 14일, 21일 모두 143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송사리는 14일 노출 시 254 NTU, 21일간 노출 시 501 NTU 구간부터 성장저해 영향을 보였다. 따라서 강 또는 호소에서 143 NTU 이상의 탁도가 발생할 경우 붕어, 잉어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고, 250 NTU 이상의 탁도는 송사리와 같이 민감 어종의 부화율이 저해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imate the possibility for toxicity test and compare acute toxicity of potassium dichromate in the larva stage of Neocaridina denticulata, Daphnia magna and the juvenile stage of Oryzias latipes. N. denticulate, a freshwater shrimp lives in Korea, is an indigenous species and considered to be useful for toxicity test. D. magna and O. latipes were recommended as a test species for the OECD test guideline. The 96 h-LC50 potassium dichromate value was 0.62 mg L-1 for the larva stage of N. denticulata and 168.44 mg L-1 for the juvenile stage of O. latipes. The 48 h-EC50 value was 1.27 mg L-1 for the D. magna. The study was confirmed higher sensitivity of the larva stage of N. denticulata to potassium dichromate compared to the D. magna and the juvenile stage of O. latipes.
        4,000원
        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logical effects of carcinogenic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cPAHs) including benzo[a]pyrene (BaP), dibenzo[a,h]anthracene (DBA), benzo[a]anthracene (BaA), benzo[b] fluoranthene (BbF), benzo[k]fluoranthene (BkF), and indeno[1,2,3-c, d]pyrene (
        4,000원
        5.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lterations in whole proteome expression patterns in the head of Japanese medaka (Oryzias latipes) was investigated following acute or chronic exposure to benzo(a)pyrene (BaP) (25 μg L-1) for 48 hrs and 15 days, respectively. The
        4,000원
        6.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초제 alachlor에 대한 송사리 및 지렁이 독성시험을 실시하고 국내 잔류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 위해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송사리 독성시험 결과, 96시간 LC50는 1.8 mg L-1이었으며, 수정란을 사용한 초기생장단계 독성시험에서는 부화율에 대한 NOEC가 100 μg L-1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렁이 급성독성시험에서 LC50(14일)는 94.1 mg kg-1, NOEC는
        4,000원
        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송사리(Oryzias latipes)는 한국, 일본 및 중국 등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에 분포하는 어종으로. 주로 담수계 독성 실험용 표준시험생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담수에 주로 분포하는 송사리가 marine receiving water, 공극수 또는 해양투기물질과 같은 해수의 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생물로서 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염분 내성 및 표준독성물질을 이용한 민감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송사리의 염분 내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염
        4,200원
        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monitor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embryos, larvae, and juveniles of Oryzias latipes (Temminck and Schlegel), Oryzias latipes was caught in river of Shinduck-dong, Yeosu-si, Jeollanam-do, on May 2011,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Ichthyology laboratory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blastodisc step was the first level for natural spawning. The optic vesicle, Kupffer's vesicle, myotome began to appear 75 hours 57 minutes later. After blastodisc development, the pectoral fins were made at 143 hours 37 minutes and the tail was separated started at the same time. Hatching was observed at 167 hours 27 minutes after blastodisc. The total length of the hatched larvae was 4.95~5.10 mm (mean, 5.01 mm), the mouth and anus were opened. Larvae used yolk completely after 3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larvae was 5.45~5.56 mm (mean, 5.52 mm) after 8 days after hatching, and appeared the stems for tail. The stems pectoral, anal fin were showed after 14 days and the stems dorsal, ventral fin were appeared after 19 days. For 35 days after hatching, the total length of larvae 13.95~15.30 mm (mean, 14.64 mm), and at this time, fins and body were transferred like the adult Oryzias latipes.
        10.
        2012.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료에 첨가한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의 saponin이 송사리(Oryzias latipes)의 생식소 성숙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귀나무(A. julibrissin) 껍질의 n-BuOH 추출물로부터 Diaion HP 20, Silica gel과 Sephadex LH-20 chromatography들을 이용하여 조 사포닌 분획(HaBC)을 분리하였다. 실험 어류들은 순환여과 장치 시스템의 수조에서 사육하였으며, HaBC를 첨가한 사료를 급여하여 암컷의 생식소 성숙 억제 및 산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미성숙 어류들에 대한 실험에서 사료에 HaBC를 20 mg/g-feed과 40 mg/g-feed로 첨가한 사료를 급이한 어류들은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을 개시하는 시기가 지연되었다. 그리고 성숙중인 어류들에 대한 실험에서 실험 3개월 후 HaBC를 16 mg/g-feed와 32 mg/g-feed로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유의하게(p<0.05) GSI가 대조구와 8 mg/g-feed 처리 실험구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송사리에 대한 길이 성장이나 체중에 대한 변화는 HaBC의 첨가량에 관계가 없었으나, 비만도(CF)에서는 사료에 HaBC를 20 mg/g-feed과 40 mg/g-feed로 첨가한 사료를 급이한 어류들이 대조구와 8 mg/g-feed 처리 실험구에 비해 유의하게(p<0.05)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자귀나무(A. julibrissin)의 껍질로부터 분리한 사포닌 분획물은 송사리의 성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니 않으면서 암컷의 성숙과 산란을 저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