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ISA의 두 번째 주기에 해당되는 PISA 2003에서는 문제해결 영역에 대한 평가가 새로이 도입되었다. PISA 2003 본검사 문제해결 영역에서는 (1) 의사결정, (2) 체제 분석 및 설계, (3) 문제점 해결 등의 세 가지 문제해결 유형에 따라 학생들의 범교과적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ISA 2003 본검사에 포함된 문제해결 영역문항들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을 살펴보고, 문제해결 문항들 중 개방형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답안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림이나 그래프로 표상하는 과제에 취약하며, 긴 문장으로 제시된 지문 해석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 나라 학생들에게는 다소 낯선 맥락이나 소재를 활용한 과제의 경우 낮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PISA 2003 문제해결 영역을 분석한 결과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도 논의하였다.
        4,000원
        2.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주요한 변인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음에 도 불구하고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학생들과 관련 있는 학교생활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OECD에서 만 15세 학생의 읽기․수학․과학 소양(literacy)을 평가하는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 (PISA)의 2012년 자료 중 한국 학생들의 수학 성취점수와 경제 및 사회문화적 지위(ESCS) 지수를 활 용하여 역경극복학생과 취약계층 저성취 학생 집단을 구분하고 학교생활 특성 변인들과의 관계를 일반화위계선형모형(HGL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역경극복학생이 취약계층 저성취 학생에 비해 학교에서의 학습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교 내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맺 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과 그로 인한 사회계층 간 교육격차를 축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실제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PISA 2012 과학 평가 결과를 우리나라와 과학 성취 정도가 유사한 일본과 핀란드와 비교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OECD PISA 홈페이지에 수록된 PISA 2012 원자료를 사용하여 국가 전체 학생뿐만 아니라 과학 성취 상위 10% 학생 및 과학 성취수준 5수준 이상인 학생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우리나라와 핀란드 사이의 과학 평가틀의 하위영역별, 그리고 문제유형별 평균 정답률 차이에 대한 t 검증 및 효과크기 비교를 실시하였다.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폐쇄형 구성형’ 문항유형을 제외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하위영역별 또는 문항유형별 평균 정답률이 두 나라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개방형 구성형’ 문항유형의 정답률이 크게 낮았다. 더욱이 이러한 차이는 과학 성취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심화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과학 탐구 능력이나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노력과 과학 글쓰기와 토론에 관련된 활동을 통한 자신의 생각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