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반려견 펜션은 사업주의 경험과 직관에 의지해 반려견 놀이터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 보편적인 시설은 반려견 운동장, 수영장, 샤워장이며 사람 위주 시설로 운영되는 곳도 많다. 본 연구에서는 반려견 펜션의 이용자들이 펜션의 일반적 선택속성이 아니라 반려견 놀이터를 중심으로 펜션을 선택한다는 것을 규명하고, 반려견과 보호자의 특성이 시설 선택속성 중요도에 영향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1) 반려견 펜션의 일반 선택속성을 도출하였고, 2) 반려견 펜션의 반려견 놀이터 시설 선택속성이 추출되었으며, 3) 반려견의 특성에 따른 시설 선택속성 중요도를 규명하였다. 또한 4) 반려견 보호자들의 특성이 반려견 놀이터 시설의 선택에 영향하는지, 5) 천연 / 인조 잔디 및 산책로 포장에 중요도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4,000원
        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수변공간 이용자를 대상으로 수변공간의 환경요소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수변공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수성유원지와 동촌유원지로 설정하였으며, 총 410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수변공간 환경요소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수성유원지는 ‘수변공간의 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아름다운 수변경관’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촌유원지의 경우 ‘충분한 그늘’, ‘수변공간의 관리’등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며, ‘수공간의 접근’에 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IPA 분석을 수행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수성유원지는 수성못 북쪽 산책로를 따라 녹음을 제공할 수 있는 가로수, 그늘막 등의 설치가 필요하고 CCTV, 구명튜브, 안전벨 등과 같은 안전시설, 벤치 및 파고라 등 휴게시설의 개선 및 추가설치 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촌유원지는 쓰레기 및 수질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 관리인력 충 원이 필요하며, 장애인과 노약자를 고려한 무장애 시설 등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금 호강 주변으로 안전난간, 구명튜브 등의 안전시설이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3.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가야산국립공원의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및 보행시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가야산국립공원의 해인 탐방로와 백운 탐방로를 이용하고 귀가하는 탐방객 227명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방식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두 탐방로의 탐방객 이용행태에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각 탐방로의 양적 및 질적 상태에 대해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각 탐방로에 설치된 5개 및 4개의 보행시설의 평가는 해인 탐방로의 목재데크, 돌채움형 통나무계단, 목재계단과 백운 탐방로의 데크형 목재계단, 통나무흙막이가 경관조화성, 자원보전성, 탐방편의성 모두 우수한 시설로 평가되었다. 반면에 양 탐방로의 철제계단은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저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자연친화적인 소재로의 대체 등 개선이 요구되는 시설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향후 국립공원의 보행시설의 설치에 있어 자연친화적인 소재의 활용과 함께 경관조화, 탐방편의, 자원보전 측면의 종합적인 개선을 도모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4,000원
        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로 시설물 설치와 유지관리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소백산국립공원 희방사~연화봉 구간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과 전문가의 보행시설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를 방문하고 귀가하는 탐방객(125명)과 전문가 패널(12명)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지 보행시설물 6개 유형에 대한 탐방객과 전문가의 감응성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돌깔기와 목재데크는 3개 속성 모두 비교적 우수한 시설물로 평가되었다. 철교량과 철계단의 경우 자원보전 효과는 있으나 주변과의 경관조화성이 떨어져 특히 개선이 요구되는 시설로 평가되었다.
        4,000원
        5.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연공원시설의 정의와 친환경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자연공원내 시설과 관련된 기본법인 자연공원법과 기타공원시설물의 관련법규들 중에서 용도지구 내 시설설치 허용기준과 공원시설의 정의 시설물의 종류 및 시설물의 설치.관리 등 관련 법제도를 친환경성 측면에서 검토하여으며 미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의 친환경적인 자연공원시설물 관련법규를 살펴보고 국내.외 법제를 비교분석하였다 친환경적 측면에서의 자연공원시설의 설치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종합해 보고 이에 따른 친환경성을 고려한 자연공원시설의 법.제도와 관련하여 공원 시설종류의 일부 삭제 및 추가와 시설기능 변경안이 포함된 공원시설물의 친환경성 증진을 위한 현행 자연공원 법령(법.시행령.시행규칙)의 개정안과 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지구, 취락지구 등의 용도지구 내에서의 허용행위기준과 집단시설지구 내 녹지기준의 개정안을 제시하고 시행규칙상 시설물의 신설을 권고하였다.
        4,800원
        6.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연공원은 국민 누구나 차별없이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는 반면 향유하고 누릴 권리 역시 동등하게 갖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자연공원 보호론자들은 식민통치와 전쟁으로 황폐했던 녹지를 복원하고, 오염됐던 자연생태계를 정화했던 과거의 사고에서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성장과 아울러 국민들의 여가선용과 레저에 관한 욕구가 분출되면서 이러한 과거의 사고와 정책들은 오히려 자연공원을 훼손시키는 또 다른 원인이 되고 있다. 더욱이 외국의 국립공원처럼 주거지에서 멀리 격리된 것도 아닌 세계 십위권 안에 속하는 거대도시 주변에 있는 북한산, 도봉산 등은 더 할 나위도 없고 그 외에도 설악산, 지리산, 계룡산 등의 대도시 주변 산악 공원은 실로 통제가 불가능할 정도의 탐방객이 몰려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보호론자들은 완고한 보전위주의 논리를 견지하며 편의시설 설치를 극력반대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노약자, 장애인 등 사회소외계층의 자연공원을 탐방코자 하는 욕구도 분출되고 있으며, 관광업계의 외국관광객 탐방편의에 대한 민원, 그리고 해당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들의 이해관계도 첨예하게 얽혀 있는 실정이다. 이에 오랜 세월 힘들게 복원시켜놓은 자연공원을 유원지화 하는 훼손의 수단이 아닌,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편의시설 설치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is author made research and analysis on physic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parks in Ik-san provinces and also depending on its potential resources such parks were classified into constructed parks and unconstructed parks and status of use of such parks and level of satisfaction were studied. Through this paper this author strived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forming green track of land for the parks. Required time for visiting community parks either constructed or unconstructed type was within 40 minutes or less. However constructed parks appeared to be more convenient for access in comparison with natural unconstructed parks. Mostly they were used by residents in neighboring community and also residents in the area around it were found as using it frequently. At the time of using community parks either constructed or unconstructed types means of access were mostly by walking or by riding bicycles. Thus considering large number of users of such parks are from neighboring community it appeared that parks with its simplicity and convenience in terms of distance and with rich nature were preferred by users rather than large scale parks at distance. In terms of time frame of use and motivation of visit constructed parks were used mainly for exercise and relaxation in the morning at parks and its facilities whereas unconstructed parks were mostly used in the afternoon for for walking and chatting and rest under with time to spare at shadows of its trees. Time spent at parks were composed mostly of rest and walking more frequently than exercise and leisure activity thus it was different from motivation for visiting parks. As for evaluation of use of parks natural elements, unique environment, trees and lawns featured highly in unconstructed parks in comparison with constructed parks. Thus it seemed visitors are more conscious of forest and landscape in a form of unchanged nature. Thus for community parks first consideration should be heightening accessibility in view of primary concern for convenience by users rather than facilities or environment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