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0

        2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우리나라 논에서 적응성이 우수한 forage pea 품종을 선발코자 2004년부터 2006까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공시 초종은 자운영 1품종(중국 자생품종)과 forage pea 2품종(cv, 'Austrian Pea', 'Livioletta')이었고 파종량은 120kg/ha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화기는 Livioletta 품종이 5월 16일로 빠르고 Austrian Pea품종이 5월 18일로 2일정도 늦
        4,000원
        25.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a weevil was easily observed in the flower and pod of garden pea, but not observed in soybean at various locations in Yeongnam district through 2001 to 2003. Number of pea weevil observed in pea flower was the highest at Milyang (20), followed by Yangsan (15), Sacheon (14) and Changnyong (13), and was the lowest at Pohang (3). On the other hand, number of pea weevil observed in pea pod was the highest at Tongyeong (192), followed by Changnyong (171), Sacheon (157) and Changwon (138), and was the lowest at Pohang (12) which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the result of pea flower. Number of pea weevil occurrence observed in pea pod after one and two times applications of insecticides in pea field were different at harvest day of 30th May whil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harvest day of 5th June. Likewise, number of pea pod damage after one and two times applications of insecticides were different at harvest day of 30th May while was not different at harvest day of 5th June. Thus, control efficacies of insecticides according to application times against pea weevil showed very high with above 95% at harvest day of 6th June while showed variable control efficacies at harvest of 30th May.
        4,000원
        31.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완두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형질전환 방법을 모색하고 형질전환된 개체를 얻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질전환은 발아중인 완두의 생장점(shoot tip)을 제거한 다음 T-DNA내에 GUS gene과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gene이 들어있는 binary vector를 가진 Agrobacterium tumefaciens를 생장점을 제거한 부위에 감염시켰다. 감염 후 새로 형성된 shoot는 개체당 4~5개였으며, 그중 GUS유전자가 발현하는 shoot만을 정상적인 식물체로 분화 시켰다. 감염부위에서 형성된 shoot에서의 GUS유전자의 발현빈도는 10%내외였다. 이들 개체로 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Dot blot hybridization분석 결과 T-DNA가 식물체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수확한 종자를 발아시켜 Sorthern blot hybridization한 결과 T-DNA가 다음세대로 전달되었음이 확인되었으며 형질전환율은 2%이내였다.
        4,000원
        32.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완두엽육세포(葉肉細胞)의 원형질체분리(原形質體分離) 및 융합(融合)에 있어서 효소(酵素)의 처리시간(處理時間), 의 효과(效果), 효소(酵素)의 농도(濃度)와 엽(葉)의 위치(位置)에 따른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분리(分離)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Mole 농도(濃度)에 따른 원심분리효과(遠心分離效果), PEG용액(溶液)의 처리시간(處理時間), 산도(酸度)에 따른 융합효과(融合效果) 그리고 dimethyl sulfoxide 첨가효과(添加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한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분리(分離)에는 4시간(時間)의 산소처리(酸素處理)가 가장 양호(良好)했고 의 첨가(添加)에 따라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분리속도(分離速度)가 늦어졌으며 활성도(活性度)는 4시간(時間)까지 변동(變動)이 없었고 의해서 활성도(活性度)가 장기간(長期間) 유지(維持)되었다. 2. 산소(酸素)의 농도(濃度)는 1% 이상의 처리(處理)에서 거의 동일(同一)한 원형질체분리율(原形質體分離率)을 나타냈으며 상위(上位) 1~2엽(葉)이 가장 좋은 원형질체분리율(原形質體分離率)을 보였으며 원심분리효과(遠心分離效果)는 0.4M, 0.5M에서 양호(良好)하였다. 3. 원형질체융합(原形質體融合)은 PEG 6000용액(溶液) 75분(分) 처리(處理)에서 좋은 융합율(融合率)을 보였다. 그러나 30분(分) 이내(以內)의 처리(處理)가 활성도(活性度)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으며 pH 5.8인 PEG 6000의 0.2M용액(溶液)에서 가장 높은 62.84%의 융합율(融合率)을 나타내었다. dimethyl sulfoxide에 의한 효과(效果)는 융합율(融合率)이 3~7% 감소(減少)하지만 binucleate의 유도(誘道)에 유효(有效)한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4,000원
        33.
        198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카시아진딧물의 생물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83년 4월부러 9월까지 계룡산 지역과 대전근교에서 아카시아 진딧물에 기생하는 기생봉들의 종류와 이에 따른 기생활동 상황(mummy형성)과 이들 제1차 기생봉에 기생하는 중기생봉과의 기생선택관계 및 주요기생봉들의 mummy형성율, 장난수, 생존기간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카시아 진딧물이 기생하는 진디벌은 모두 8종이 채집되었으며 이중 Binodoxys nearctaphidius Mackauer, Lipolexis scutellaris Mackauer, Lysiphlebus salicaphis(Fitch), Trioxys hokkaidensis Takada 등 4종은 한국미기록종이었다.2. 야외에서 채집된 509개의 기생당한 mummy중 진디벌이 , 중기생봉은 를 차지하고 있었다. 3. 아카시아 진디물에 기생하는 주요기생봉으로는 Lysiphlebus ambiguus, Lysiphlebus salicaphis, Lysiphlebia japonica, Lipolexis scutellaris 등이 였으며 이들의 비율은 각각 였다(성비에 있어서는 기생봉들이 높은 편이었으며 특히 L. ambiguus의 경우는 0.72로서 가장 높았다) 4. 중기생봉은 Lygocerus testacemonus Kieffer, Protaphelinus nikolskajae (Jasnosh), Eucoila sp. Gastrancistrus sp., Ardilea convexa(Waler), Asaphes vulgaris Walker 등 6종이 채집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한국산미기록이었으며, 이들중 Eucoila sp., A. vulgaris, A. convexa등 3종은 진디벌레 대한 기생율이 각각 로서 이들은 아카시아 진디벌의 활동에 제어요인으로 작용하였다. 5. 진디벌중 Lipolexis scutellaris는 6종의 중기생봉중 3종에 의해서만 공격을 받고 있었으며 나머지 종들은 거의 모든 중기생봉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6. 주요 진디벌인 Lysiphlebus ambiguus, Lysiphlebia japonica에 대한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을 비교한 결과, L. ambiguus가 기생활동능력이 컸었다. 7. 장난수 조사결과, Lysiphlebus ambiguus와 Lysiphlebia japonica는 각각 272개, 279개로서 차이는 없었으나 mummy형성율에 있어서는 각각 182개, 120개로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8. 진디벌 성충과 중기생봉 성충의 생존기간을 꿀을 먹이로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진디벌의 평균수명은 일인데 비하여 중기생봉은 일로서 중기생봉들이 훨씬 길었다.
        4,000원
        34.
        197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ythium ultimum에 의한 묘립고병에 감수성인 완두품종의 종자는 저항성품종의 종자보다 다량의 환원당이 종자분필물내에 포함되었으며 분필속도도 감수성인 완두품종의 종자에서 더 빨랐다. 묘립고병에 저항성인 완두품종의 종자와 감수성인 품종의 종자분필물에서 모두 Raffinose, Meilbiose, Sucrose, Glucose 및 Fructose가 확인되었으나 Glucose와 Sucrose는 감수성 품종의 종자분필물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다. Pythium ultimum균은 감수성인 종자 및 종자분필물에서 더 잘 자랐다.
        4,000원
        35.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igeon pea (Cajanus cajan) is an important legume species that produces seeds that are rich in phenolic compounds and dietary nutrien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agricultural characters, phenolic and nutritional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seeds from 82 pigeon pea germplasms cultivated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ccessions exhibited compact (24.39%), semi-spreading (74.39%), or spreading (1.22%) growth habits and determinate (89.02%), indeterminate (8.54%), or semi-determinate (2.44%) flowering patterns. Days to 75% maturity ranged from 30 to 72 d, and yield per plant ranged from 6.00 to 148.60 g. Meanwhile, total phenolic, crude protein, crude fiber, and dietary fiber contents ranged from 16.42 ± 0.62 to 29.67 ± 0.43 ㎎ gallic acid equivalent per g of dried extract, from 16.76 ± 6.74% to 22.61 ± 0.05%, from 4.70 ± 0.24 to 8.63 ± 0.02%, and from 12.98 ± 0.71 to 33.19 ± 1.50%, respectively. In addition,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ranged from 1.61 ± 0.10 to 16.04 ± 2.30 ㎎ ascorbic acid equivalent per g of dried extract,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ranged from 3.03 ± 0.86 to 42.24 ± 0.72 ㎎ Trolox equivalent per g of dried extract. Phenolic content was correlated with both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r = 0.63)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r = 0.29). Nine accessions (IT170290, IT170291, IT170270, IT170276, IT170379, IT170386, IT170388, IT170418, and IT170340) exhibited early maturity, compact and erect growth habits, and above average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and protein contents. In addition, accessions IT170290 and IT170291 were especially promising pigeon pea germplasms to grow, owing to various favorable characteristics (e.g., high yield and dietary fiber content). Hence, these accessions could be useful cultivars to the Republic of Korea if considered in future agricultural systems.
        3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rty-eight Pea (Pisum sativum L.) genotypes were screened to identify varieties to be suitable for sprout. Based on seed yield and sprout qualities such as whole length and sprout yield, five genotypes (PI269803, PI343278, PI343283, PI343300 and PI 343307) were primarily selected as candidates for pea sprouts. In order to determin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 for pea sprouting, growth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germination temperature and days for sprouting. Whole length and hypocotyl length were observed to increase as a time dependent manner at each tested temperature (20, 23, and 25°C). However, whole length, hypocotyl length, and sprout yield were highly increased at 23°C compared to 20 and 25°C. Especially, PI269803 and PI343300 showed higher sprout yield than the others.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change of germination temperature on antioxidant properties was estim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ABST activity). TPC and DPPH/ABST activities of PI269803 and PI343300 were higher at 23°C than at 20 and 25°C, while antioxidant properties of PI343278 and PI343283 were decreased in a temperatur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show a high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and suggest that the temperature change for pea sprouting could be responsible for antioxidant properti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s for pea sprouting and suggest that PI269803 and PI343300 with high sprout yield and antioxidant properties could be used for pea sprouts.
        37.
        200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서부지역인 충청지역에서 사료작물의 새로운 작부체계로 보리와 완두를 혼파재배할 때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혼파비율과 예취시기에 따른 사료가치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수량은 보리의 파종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보리와 완두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5월 16일에 예취할 때 가장 많았다. 조단백질, 가급태단백질 및 가소화 단백질은 4월 25일 예취시에는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으나, 5월 2일 예취 이후부터는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보리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ADF와 NDF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RFV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TDN함량은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예취시기별로는 5월 9일 예취시까지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고 그 이후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와 Mg함량은 혼파비율간 유의차가 없었으며,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Ca은 증가하였고, K은 감소하였다. 예취시기별로는 P, Ca 및 K은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으나. Mg은 5월 9일 예취시기까지는 별 변동이 없었고, 그 이후 예취시 부터는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였다. 에너지함량에서 ENE, NEM 및 NEG는 혼파비율과 예취시기 간에 유의성이 있어 완두의 혼파비율이 높을수록,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증가하였다. 건물중에 각 성분의 함량을 적한 수량에서 보면 단백질, P, Ca, K 및 Mg 등의 무기물 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75 : 25% 파종구에서, ENE, NEL, NEM 및 NEG 등의 에너지 수량과 TDN수량은 보리와 완두의 혼파비율이 85 : 15% 파종구에서 가장 높았다. 예취시기별로는 TDN 수량, 모든 무기물 및 에너지수량은 5월 16일에 예취하는 것이 가장 높았다.
        3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se experiments was carried out to get high quality of forage to cultivate mixed barley and winter pea with different seeding rates, 200 and 140 kg/ha in barley, and seeding rates in winter pea were 0, 50 and 100 kg/ha. And these were tested in Iksan from 2006 to 2007 for two years. The results were followed. Dry weight in only barley seeding of 200 kg/ha was 0.9 ton/ha higher than only barley seeding of 140 kg/ha. Fresh and dry weight in barley seeding of 200 kg/ha and mixed winter pea were each 1.4, 0.7 ton/ha higher than barley seeding of 140 kg/ha and mixed winter pea. And crude protein in barley seeding of 200 kg/ha and mixed winter pea was from 0.3 to 0.8 %, and 140 kg/ha and mixed winter pea was from 1 to 1.6 %. The rates of fresh and dry weight to all yield in winter pea were each from 8 to 15, from 4 to 21 % in barley seeding of 200 kg/ha and mixed winter pea, and were from 9 to 20, from 5 to 26 % in barley seeding of 140 kg/ha and mixed winter pea.
        39.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garden pea cultivar, Daehyup 2,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YARI) in 2006. It was selected from the cross between Olwandu and Sachulwandu in 1996. The preliminary, advanced, and regional yield trials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this cultivar were carried out from 2003 to 2006. It has white flower, yellow cotyledon, absent or very weakly curved pod shape and yellow seed color. It was resistant to virus and powdery mildew disease. The 100 green seed weight of Daehyup 2 was 65.5 g, which was 8.9 g heavier than check cultivar. The sucrose and total sugar contents of fresh pod of Daehyup 2 were 11.1% and 12.5%, respectively, which were 3.2% and 4.3% higher than those of Sachulwandu. The fresh pod yield of Daehyup 2 was similar to that of Sachulwandu with 12.16 ton per hectare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carried out in three locations of Korea from 2005 to 2006.
        40.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Rhizobium inoculant, compost, and nitrogen on nodulation, growth, dry matter production, yield attributes, and yield of pea (Pisum sativum) var, IPSA Motorshuti-3 were assessed by a field experiment. Among the treatments Rhizobium inoculant alone performed best in recording number and dry weight of nodules/plant. The highest green seed yield of 8.38 ton/ha (36.9% increase over control) and mature seed yield of 2.97 ton/ha (73.7% increase over control) were obtained by the application of 90 kg N/ha. The effects of 60 kg N/ha, Rhizobium inoculant alone and Rhizobium inoculant along with 5 ton compost/ha were same as the effect of 90 kg N/ha in recording plant height, root length,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both at preflowering and pod filling stages, number of mature pods/plant, number of mature seeds/pod, 1000-seed weight, green, and mature seed yields of pea.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