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최대 간척지인 새만금 방조제 내부에는 간척토지 28,300ha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중 30% 용지를 농업용지로 활용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농업용지의 토지이용 계획이 당초 수도작 운영계획에서 전작 위주 토지이용 계획으로 변경되면서 논과 밭은 영농 및 용수체계가 다르므로 이에 대한 용수체계 및 유입 부하량 변화에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작화에 따라 새만금 농업용지 특성에 부합하는 작부체계를 고려하여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계획 및 이에 따른 작부·용수체계를 반영하기 위해 농업용지의 특성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작부시나리오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적용하여 최신 구축된 HSPF 모델링시스템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전작운영 여건을 고려하여 새만금 지역의 기상조건에 적합한 작부체계 시나리오를 고안하여 채소작물, 사료작물, 식량작물로 구성된 이모작 작부체계 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작부체계를 반영하여 새만금 농생명 용지 전작화에 따른 수도작 대비 오염부하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BOD와 TN 농도는 증가하지만 배출부하량은 감소하고, TP의 경우 농도와 부하량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새만금 농생명용지 토지이용 구상에 따른 오염부하량 산정을 통한 새만금호 수질환경문제와 경제성을 고려한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으며, 새만금호 수질보전을 위한 유역관리대책의 정밀한 평가 보완필요성 검토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500원
        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천수만유역을 대상으로 오염부하량을 산출하고 연안을 관리하는데 Gli의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오염원 관리의 단위인 유역 범위는 하계망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길이, 차수, 유역면적 등을 고려한 후, 수치지도에서 DEM을 이용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천수만 유역은 총 6개의 단위유역과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되었으며, 단위유역과 소유역별 오염부하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각 유역에서 산출된 오염부하략은 오염원 관리 측면에서 유역구분의 효용성을 검토하는 자료로 활용되며, 수질측정 및 환경기초시설의 입지 선정에도 이용 가능하다.
        4,000원
        3.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ischarge load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were analyzed using a Hydrologic Simulation Program-Fortran (HSPF) model for 46 sub-watersheds in order to guide the management plan for water and streams passing through the city. The results using HSPF showed good applicability in comparison to point measurements, which were based on BOD, TP, and TN. The mean value of the BOD loads was 4.08 kg/km2 per day, and the highest level of BOD was 17.75 kg/km2 per day at Namri. Three potential areas of high priority for the installment of constructed wetlands were selected in order to reduce non-point pollution sources based on BOD loads and on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ditions. The results for these scenarios indicated a maximum rate of reduction in BOD of 39.12% within the proposed constructed wetlands.
        4.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nalyzed the estimated values of the daily delivery loads from thirteen major side streams such as Naesung-river, Keumho-river, Hwang-river, Nam-river during five years (from 1999 to 2003), the daily BOD inflow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2003 shows the highest quantity as 31.1 ton and the daily BOD inflows in 1999, 2000, 2001, and 2002 are 26.7 ton, 22.5 ton, 21.0 ton, 25.8 ton, respectively. The daily TN inflow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2003 shows also the highest quantity as 64.9 ton and the daily TN inflows in 1999, 2000, 2001, and 2002 are 55.19 ton, 46.27 ton, 39.5 ton, 53.38 ton, respectively. The daily TP inflow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n 2003 shows the highest quantity as 2.70 ton likewise and the daily TP inflows in 1999, 2000, 2001, and 2002 are 2.17 ton, 1.87 ton, 1.60 ton, 2.10 ton, respectively. The rate of BOD loads from each side main stream in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shows that the BOD loads of Keumho-river are the highest as the values range from 32.8 % (2002) ~ 35.1 % (2003) and the BOD loads of Nam-river, Naesung-river, Hwang-river are high in the order named. The rate of TN loads to the main stream is also similar to the trend of BOD loads. The contribution of the TN loads of Geumho-river to the contamination of the main stream is also the highest having a range from 27.0 % (2002) to 28.8 % (1999) among the main side streams and the TN loads of Naesung-river, Nam-river, and Heachun-river are high in the order named. The rate of TP loads is quite different from the trend of BOD and TN loads. The TP rate of Keumho-river, however, is still the highest as ranging 58.6 % (2002) to 61.7 % (2003) and the river has the biggest portion (over 50%) of the entire pollution 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5.
        200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elivery load data obtained from Nakdong river basin are used for developing the model estimating the daily delivery load on the main side streams of Nakdong River. The developed model assesses the daily contamination loads of the main thirteen side streams that contribute to the main stream of Nakdong river. It is developed that the model using the simplified equation that can estimate the daily delivery loads on the side main streams of Nakdong river for a period of having no data of the water quality and flow. The developed model for estimating the daily delivery loads from the main side streams in Nakdong river basin on each item such as BOD, TN, and TP is expressed as Daily delivery load (kg / day) = Production load (kg / day)×(1−α)×(daily runoff / average runoff per year)γ. The estimated values obtained by using the model are almost fit to the calculated values (real data) that have been acquired from the thirteen main side streams in Nakdong river bas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R, that indic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calculated show over 0.7 that mean the estimated values from the used model are adapted to the real data except TN values of Nam-river, Hwang-river, Gam-river, We-river. Especially, the correlation of TP values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calculated implies quite a creditable data to use.
        6.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충북대학교에서 강수에 따른 습성강하물 중의 TN, TP 및 COD의 농도와 오염부하를 조사하였다 강수사상에 대한 샘플은 1998년에서 2003년까지 채집되었다. 오염물질의 강수량가중평균 농도는 TN이 0.60mg/L, TP가 0.014mg/L, COD는 4.8mg/L이었는데, 이는 각각의 산술평균보다 26, 18, 14% 작게 나타났다. TN, TP 및 COD의 농도는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모든 수질항목
        7.
        200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미국 환경청에서 개발하여 유역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수질모형으로 이용되고 있는 HSPF 모형을 선정하여 발안 HP#6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HSPF모형을 이용하여 HP#6 시험유역에서 모형의 보정기간인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유출량을 모의한 결과, RMSE는 2.1mm, RMAE는 0.4mm, 는 0.92로 모의되었으며, 모형의 검정기간인 1999년부터 2000년의 모의 결과 RMSE는 6.03mm, RMAE
        8.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유역과 강우특성을 통합하여 오염물질 부하량을 계산할 수 있는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기법의 기본적인 개념은 특정유역에서 강우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유량 가중평균 농도, 즉 EMC 변화는 오로지 강우패턴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가정은 적어도 유역의 토지이용에 급격한 변화가 없고(적어도 강우가 집중되는 경작기간동안) 점 오염원이 적은 농촌유역에서는 타당하다. 따라서, 다양한 농촌유역과 강우 패턴 조건에서 조사된 많
        10.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연구의 목적은 강우시 지표수의 흐름을 통해 유출되는 오염부하 산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정상류 흐름의 성격을 띠는 점원오염의 월별, 수기별 오염부하를 산정하기 위한 각종 수질 인자별 발생부하와 배출부하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여 각 지천 소유역의 울별 및 수기별 오염부하를 산정하는 모형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댐 상류 하천 구간에 대한 수질 모델링을 통하여 댐유입부의 오염부하를 산정하는데 있다. 대상유역의 토지 이용분포와 지표수 유출거동에 관련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