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19는 비말을 통해 전염되는 호흡기 질환으로 건물의 실내 공간은 코로나19의 대규모 감염에 매우 취약한 곳이다. 집약된 토지 이용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고층의 건물에 밀집해 있는 도시 환경은 이러한 질병에 더 취약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의 인구 분포는 시간에 따라 역동적인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에 대한 역학 조사의 성공은 도시 인구의 시공간적 변화를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에 달려있다. 하지만 특정 시간대에 특정 건물에 분포하고 있는 현재 인구 밀도를 파악하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시간대의 도시 인구의 수평적, 수직적 분포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리가중회귀(GWR) 모델에 기반한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을 이용하여 건물 단위의 현재 인구를 추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대시메트릭 매핑 기법은 보조 자료를 사용하여 기존의 공간 스케일을 넘어 보다 상세한 수준의 인구 분포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용도와 연면적을 보조 정보로 활용하였으며, GWR 모델을 이용하여 지역적으로 이질적인 인구 분포 특성을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 전체에 걸쳐 집계구보다 상세한 건물 단위 수준의 인구 분포를 추정할 수 있었다. 건물 단위의 현재 인구 추정은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전염병의 역학 조사나 효과적인 방역 대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6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etary exposure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zofurans (PCDD/Fs) of Korean population via milk and meat using a probabilistic exposure assessment model. Total 319 raw milk and meat samples collected in the period 2006-2008 from nationwide Korea wer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17 PCDD/Fs. Distributions of dietary exposure of 7 age subgroups to PCDD/Fs from the commodities were estimated probabilistically using Monte Carlo simulations. Dietary exposure groups were divided as lower, medium and high consumer subgroup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each commodity. The amounts of dietary exposures of Korean population subgroups were compared to the provisional maximum tolerable monthly intake (PTMI) recommend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JECFA). The mean PCDD/Fs concentrations in raw milk and meat of beef, prok and chicken were measured as 0.501, and 0.022~0.150pg WHO-TEQ/g, respectively. Dietary exposure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dults due to their high milk consumption per body weight (BW). Dietary intake of PCDD/Fs of the Korean populations estimated ranged from 0.154 to 1.248 pg WHO- TEQ/kg BW/day for high consumers (the 97.5th percentile) at the upper bound. Dietary intakes of average population of various subgroups were below the half of PTMI, but those of higher consumers were found exceeding or comparable to PTMI at the upper bound level.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estimated PCDD/Fs concentrations in milk and meat are comparable to thos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Probabilistic assessment model for PCDD/Fs exposure in meat and milk commodities could be used to estimate the exposure of PCDD/Fs in Korean popul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isk mangement mesaures for PCDD/Fs in meat and milk.
        4,200원
        7.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SNPP VIIRS DNB 영상자료와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시가지에서 방출된 야간 인공조명 강도가 인구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시가지 피복 또는 모든 피복유형에 해당하는 화소의 인공조명 강도를 각각 도출한 후 이들을 설명변수로 구성한 단순회귀모형에 기반한 남한 광역시도의 인구추정 결과를 비교했다. 시가화 건조지역만을 고려한 모형의 정적 상관성, 모형의 적합도 및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뿐만 아니라 인구예측 결과는 모든 피복유형을 포함한 모형보다 우수했다. 그러나 진단 결과에 따르면 이 모형은 선형성 기본 가정을 충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항식의 적용 또는 변수의 변환에 기초한 모형 정교화를 통해 인구를 예측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4,300원
        8.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미시적 규모의 연구가 증가하며 기존보다 세밀한 공간 단위의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지만, 현재 접근 가능한 대부분의 공간 데이터는 행정구역 단위를 기반으로 집계되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 공간 데이터를 얻기 위해 기존의 공간 데이터를 세밀한 공간 단위로 전환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간 데이터의 융합을 통해 직장인구를 건물 단위로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개별 통행의 목적지를 건물 단위로 추정하는 건물선택 알고리즘은 영역내 삽법과 대시메트릭 매핑을 기반으로 하며, 보조 데이터를 통해 건물별로 가중치를 정의한 뒤 이를 기반으로 통행의 목적지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통행을 기반으로 하며 기존의 내삽법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새로운 인구 추정 모형을 제시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결합하여 고해상도 데이터를 생성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4,600원
        9.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crease of feral cat population due to man-made activities, such as cat-mom activities,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lthough cats have lived with humans for a long time worldwide. Nevertheless, in Seoul City, the effectiveness of Trap-Neuter-Return (TNR) management plan has not been evaluated yet.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population size of feral cats in Seoul City, which is useful information for feral cat management. Seoul City was divided into 196 areas based on 2012 TNR density data. In each group, 3 areas were selected for a total of 9 areas. Out of those, 6 areas (3 apartment and 3 non-apartment areas) that could be clearly separated by mountains, rivers or roads based on Seoul City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y were representative of the two different residential styles (44.21% apartment area and 55.79% non-apartment area). Population size of feral cats was estimated from 3 on-site surveys over 3 day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population of feral cats in Seoul City ranged between 209,772 and 272,816.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develop a policy to control and manage the population of feral cats.
        4,000원
        1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present a new approach to estimating termite populations size. So far, termite researchers have been using the mark-capture-recapture method.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measurement time is long and error range is large. To this end, we built an agent-based model to simulate termite tunneling behavior. Using this model, we made simulated tunnel patterns that are determined by three variables: the number of simulated termites (N), the passing probability of two encountering termites (P), and the distance that termites move soil parcels (D). To explore whether the N value can be estimated with a partial termite tunnel pattern, we generated four groups of tunnel patterns that are partially obscured in complete tunnel pattern image: (1) A pattern group in which the outer area of the tunnel pattern is obscured (I-pattern), (2) a pattern group in which half of the tunnel pattern is obscured (H-pattern), (3) a pattern group in which the inner region of the tunnel pattern is obscured (O-pattern), and (4) a pattern group combining I- and O-pattern (IO-pattern). For each group, 80% of the tunnel patterns were learned through a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and the remaining 20% of the patterns were used for estimating N value. The estim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N estimates for the IO-pattern are the most accurate and are in the order I-, H-, and O-patterns. This means that the termite population size can be estimated based on tunnel information near the center of the colony.
        1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2016 and 2017, population density of Monochamus saltuarius, a vector beetle species of pine wood nematode, was estimated from Korean white pine forests using mark-release-recapture. The beetle was captured by multi-funnel traps with pheromone lure. We collected 1,590, 185, and 268 individuals from Hongcheon (2016), Hongcheon (2017), and Yangpyeong (2017), respectively. Recapture rates in 2016 and 2017 were ranged from 2.38 % to 5.06 %, and estimated population densities during two years were ranged from 4,824 to 13,340 individuals per 1 ha. Because of low recapture rates in both years, population density of M. saltuarius in Korean white pine forests may be over-estimated.
        1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pulation size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Parnassius bremeri) has been reduced because of their habitats destruction and partly climate change. Estimation of metapopulation size and survival day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was made in Samcheok where release was carried for 5 years, Korea, by using the mark-release-recapture method. 421(female: 188, male: 233)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were captured and 177 individuals(female: 89, male: 88) were recaptured and rates of recapture was 42%. Average of survival day was 3.59 and max survival day was 11. The migration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was occurred significantly between short patches. Their max distance of migration was 6.74km. Estimate of P. bremeri was from minimum 125 to maximum 1844.
        1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낙동강과 금호강 합류부에 인접한 대명유수지는 멸종위기종인 맹꽁이의 집단 산란처로 생물서식공간의 보전 필요성 이 높아지고 있으나, 맹꽁이 개체군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가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획-재포획방법에 의해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 개체수를 추정하며, 미지형과 식생분포를 토대로 분류한 서식처별 방형구 배치를 통해 맹꽁이의 공간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2013년부터 2년간 진행된 조사에서 맹꽁이는 5월초 출현하여 7월과 8월에 활동이 증가하고, 10월말에 동면에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군 크기 추정을 위해 실시된 2014년 1차 조사에 98개체를 포획하여 표식 후 방사하였으며, 2차 조사에서는 표지된 5개체를 포함한 68개체를 재포획하여 대명유수지에 서식하는 맹꽁이는 대략 535-2,131개체로 추정하였다. 또한 대명유수지의 맹꽁이 개체군 공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평지 식생군락, 사면부, 저습지 등의 서식처에 57개 함정트랩을 배치하여, 맹꽁이의 이동이 활발한 장마철 전후를 대상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맹꽁이는 대명천과 인접한 사면부에서 출현밀도가 높고, 저지대는 출현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지대의 맹꽁이 출현밀도는 산란철에 상대적으로 높으나 산란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산란 이후 은신처, 월동지로 이동하는 맹꽁이의 행동습성과 더불어 저지대가 지하수위 상승으로 대부분 침수되면서 서식환경이 악화되어 주변 경사지와 평지 식생군락으로 이동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사육되고 있는 한국 제주마의 혈통정보를 이용하여 근교계수 및 유효집단크기를 추정하여 제주마 집단의 구성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집단 유지 또는 개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의 제주마로 등록관리 되고 있는 2,486두의 혈통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세대별 평균 근교계수는 0.6~5.0%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4세대 이후 세대가 증가할수록 근교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균세대간격은 9.22년으로 추정되었으며, 아비에서 아들 8.14년, 아비에서 딸 7.93년, 어미에서 아들 9.83년, 어미에서 딸은 10.66년으로 추정되었다. 출생년도에 따른 유효집단의 크기는 1.03두부터 128.23두까지로 추정되었으며 집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제주마의 안정적인 집단의 유지를 위해서는 태어나는 모든 수말과 암말을 적절히 교배에 활용하여 제주마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5.
        2013.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inbreeding on body weight traits between two breed populations, Hanwoo and Korea Brindle cattle. Birth weight (BW), weaning weight (WW), body weight at 6 months of age (W6) and yearling weight (YW). Records of 1,745 calves (1,513 from Hanwoo, and 232 from Korea Brindle calves) were collected from Livestock Research Institutes in Kangwon, Gyeongbuk and Chungbuk provinces. The least squares means (LSM) and their standard errors for BW, WW, W6 and YW were 25.4±0.1 kg, 81.0±1.8 kg, 146.1±3.7 kg and 291.5±2.4 kg, respectively in Hanwoo calves and 22.6±0.3 kg, 79.9±2.3 kg, 137.6±4.6 kg and 249.3±6.6 kg, respectively in Korea Brindle calves. Pedigree data showed that 14.8% (316 out of 2131) of Hanwoo was inbred and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was 0.0209 (2.09%). Inbreeding coefficients of ten calves out of 316 total inbred Hanwoo calves were 12.5% or higher, whereas those of the other 306 calves were less than 12.5%. In both breeds, calv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inbreeding classes - highly inbred group(F≥ 0.125), lowly to medially inbred group(0<F<0.125) and no inbred group(F=0). In Korea Brindle calf populations, 12.2% of the calves observed (57 out of 467 calves) were inbred and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was 0.1367(13.67%). Forty four calves out of 57 inbred Korea Brindle calves had inbreeding coefficients of 12.5% or higher and the other 13 calves had less than 12.5% of inbreeding coefficients.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and the number of calves with greater than 12.5% inbreeding coefficient were higher in Korea Brindle calf groups than in Hanwoo calf groups. On the average, body weight growth of Korea Brindle calves was slower than that of Hanwoo calves. This would be due to very small breeding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 Brindle cattle as compared to Hanwoo cattle, which would lead to rapid increase in inbreeding coefficients in the population. In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planned mating system is needed to control inbreeding in Korea Brindle population.
        4,000원
        1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tias artemis is a members of the family Saturniidae, also known as wild silkmoths, have impressive color and size. In 2012, estimation of Actias artemis (Lepidoptera: Saturniidae) abundance in HECRI was conducted using the mark-release-recapture (MRR) method (Jolly, 1965) from mid to late May. Seven sampling events were accomplished from 19 May, 21 May, 22 May, 24 May, 26 May, 28 May and on 30 May, during the main flight of the species. Marking was made by writing numbers in the hind wing of each individual moths. Most collections were undertaken by a team of experienced four or six researches of HECRI using light trap (mercury lamp: 250W). Seven female and 58 male moths were captured in study site.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 of Actias artemis was 24.9 and heterozygosity was more than 97%. Seven marked moths were recaptured, resulting in 9.7% of recapture rate. The estimated population size of A. artemis showed a peak by 133 individuals on 22 May and then declined. The estimated adult numbers of A. artemis using MRR method from minimum 168 to maximum 5,332 (p<0.05).
        1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섬진강 중 상류 수계에서 붕어의 자원량 및 자원관리의 기초로 사용되는 붕어의 개체군 생태학적 특성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채집된 붕어의 전장은 95-288mm의 범위를 보였으며, 연령은 비늘의 윤문을 통해 결정하였다. 연령형질로서 비늘은 윤문이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를 통해 확인된 최고 연령어는 5세로 나타났다. 전체 표본에서 2세 연령어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으며(n=38), 다음으로는 3세 연령어가 풍부하였다(n=22). 연변수지수 분석을 통해 매년 단일 윤문이 형성됨이 확인되었다. 체장과 체중 간의 관계식은 BW = 0.0038BL3.73(R2=0.96) (p〈0.01)로 추정되었고, 인경과 체장 간의 관계식은 BL = 2.362R+2.76(R2=0.89)로 나타났다.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된 von Bertalanffy 성장 파라미터들은 이론적 최대체장 33.2cm이었으며, 이론적 최대체중 1,798.4g, 성장계수 0.20년-1, 체장이 0일 때의 연령 -0.51년 등으로 추정되었다. von Bertalanffy에 의한 붕어의 성장식은 Lt = 33.23(1-e-0.20(t+0.51))(R2=0.98)로 확인되었다. 연간 생존율은 0.427년-1로, 순간자연사망계수는 0.784년-1로 추정되었으며, 순간어획사망계수는 0.067년-1로 산출되었다. 생존율로부터 추정된 순간전사망계수는 0.851년-1로 추정되었다.
        4,000원
        18.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osed population of a vulnerable group to high ozone episodes (exceeding 60 ppb/8h) was estim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2000 to 2010. The frequency of high ozone days at monitoring sites and the number of the population aged over 65 were used to calculate the accumulated (total, seasonal, and yearly) number of the exposed older population (EOP) to high ozone episodes during the study period based on administrative areas, by interpolation and zonal mean methods in ArcGIS software. The older population in this city had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000 to 2010 (representing over 10%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10). The vulnerable areas (e.g. the eastern area of the city) of the EOP to high ozone episodes were different from the areas with frequent high ozone episodes (e.g., the western area) due to the increase of the older population in particular areas. The difference was more significant in spring than in any other season, and in 2010 than in previous years (2000 and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