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마치현을 압출성형 및 효소분해 처리할 경우 원료에 비하여 수용성 고분자 다당류 및 아라비노갈락탄 함량이 증가하였다. 마치현 수용성 다당류 중 아라비노스와 갈락토오스의 함량이 원료 마치현보다 1.5배 증가하였으며, 람노스 함량도 2.6배 증가한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압출성형 처리효과로 고분자 분획(I)은 Ext I, Ext II 및 Ext III 시료에서 각각 37, 29 및 26% 정도 저분자 분획(II)으로 분자 재배열이 발생함과 동시에 66,000-74,000 Da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다당체로 구조변형 되었다. 특히, 저분자 분획의 분자량과 조성비에 있어서 압출성형 처리한 마치현은 처리하지 않은 원료에 비하여 9-13% 정도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다. 이같은 다당류의 붕괴 및 변형 정도는 압출성형 처리시 투입된 기계적 소모 에너지와 비례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압출성형 처리를 한 수용성 다당류의 경우 압출성형 처리온도 120oC 및 140oC인 경우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능이 압출성형 처리하지 않은 원료에 비하여 높게 증가하였다. 상기와 같은 마치현 유래 아라비노갈락탄의 항산화 활성 기능의 결과에 비추어볼 때 보다 폭 넓은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분획물 제조 및 생리활성 평가실험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면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기대된다.
        4,000원
        3.
        201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rtulaca oleracea L., a species of Portulacaceae, is ubiquitous. It is a well-know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removing heat, counteracting toxicity, cooling blood, and maintaining hemostasia; it is also used as antidysentery ag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P. olerace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21.08±0.03 mg G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 (5.45±0.76 mg QE/g) of the ethanolic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by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 assay.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75.53%) was higher in those of the water extract (67.03%) at concentration of 1,000 μg/mL.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of the ethanol extrac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 We also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P. oleracea extracts i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production levels of nitric oxide (NO)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e expression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ion (TNF)-α, interleukin (IL)-1β, and IL-6)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thanol extract than in the LPS alone treatm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ethanolic extract from P. oleracea could be an effec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ent.
        4.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치매유발제인 알루미늄(aluminum, Al)에 대한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PO)추출물의 영향을 배양 신경교종세포(C6 glioma)를 재료로 항산화 측면에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염화알루미늄(AlCl3)을 배양 C6 glioma세포에 처리한 결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XTT50값이 100uM 이상으로 나타남으로서 중간독성(mid-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항산화제인 vitamin E는 AlCl3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AlCl3에 의한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 한편, AlCl3의 세포독성에 대한 PO추출물의 영향에 있어서, PO추출물은 AlCl3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AlCl3에 의한 세포독성을 방어하였으며, 또한 superoxide dismutase (SOD)-유사활성(SOD-like activity)과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LP)억제능 및 lactate dehydrogenase (LDH)활성 감소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서 AlCl3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PO추출물은 AlCl3에 의한 세포독성을 항산화 측면에서 유효하게 방어하였다. 따라서 PO와 같은 천연추출물은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매개되는 치매와 같은 병변의 예방이나 치유를 위한 소재로서의 활용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