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난시안의 정확한 교정을 위해 자각적굴절검사에서 크로스실린더렌즈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 법: 근시성 난시를 가지고 있는 경기도 일부지역 대학생 159 안을 대상으로, Phoropter(Topon ACP-8, Japan)와 방사선시표를 이용하여 난시를 교정한 후 잭슨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난시 정밀검 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시표를 이용한 난시축과 난시량 검사결과와 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난시 정 밀검사 후의 난시축과 난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난시량은 방사선시표를 이용했을 때는 1.27±5.58D, 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정밀검사 후 는 1.64±7.86 D 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난시교정 축방향은 방사선시표 이 용했을 때는 122.77±63.85°, 크로스실린더렌즈를 이용하여 정밀검사한 후는 112.37±67.20° 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 난시량과 난시축이 부정확하게 처방된 난시교정안경의 착용은 잔여난시를 생성하게 하여 안정피 로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크로스실린더렌즈를 활용한 난시 정밀검사가 필요하다.
        4,000원
        2.
        2011.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논문은 “소요 오일붐 측정프로그램(OBM Program)”을 실행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OBM Program 운용상 한계를 분석하기 위해 운용자와 운용환경 팩터 간의 관계 분석이 가능한 M-SHEL모델을 이용했다. M-SHEL 모델분석을 통해 얻은 결 과는 첫째, 운용자의 입력 값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감지 시스템 구축, 둘째, 운용자의 프로그램 사용시 운용에 대한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실용적 이고 편리한 매뉴얼 제작, 셋째, 시각화된 프로그램 프레임 구축이다.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운용상의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성능과 더불어 효율적인 방제활동에 기인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