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3.
        201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foundation of the previous research on determinants such as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long with the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on factors related to the service quality element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185 materials by conducting the survey upon the customers who have previously visited the restaura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identified that the elements of restaurant service qual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havioral inten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customer through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by using KANO model, we investigated the qualities that attract the customers of the restaurant in order to establish the measures that will maximize the customer satisfaction. Also,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KANO model, we additionally analyzed the Better-Worse index. The results of the two quality evaluations were identical to each other, showing the need for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restaurant services. Accordingly, more interests and efforts to stimulate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he restaurant are needed.
        4,300원
        4.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주인 소곡주의 주질 개선을 위해 원료인 찰벼 품종에 따른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국내 찰벼 품종 9품종으로 소곡주를 제조하여 그 품질을 비교한 결과, 백설찰벼가 소곡주 원료로서 가장 우수한 기호도 점수를 받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백질 함량은 6.9~7.5% 범위로 눈보라와 설향찰벼가 가장 낮았으며 한강찰벼가 가장 높았다. 단백질 함량과 관계된 백미의 경도 역시 설향찰벼가 가장 약하였고 백설찰벼가 가장 단단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찹쌀의 외관 특성은 품종별로 다소 상이하여 일부 육안으로 차이를 판별할 수 있었다. 호화특성은 품종 간에 차이가 뚜렷하였는데 동진찰벼의 낮은 점성은 아밀로펙틴 중 높은 단쇄 비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한강찰벼의 높은 점성은 아밀로펙틴의 낮은 단쇄 비율과 높은 중쇄비율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소곡주는 알코올 함량은 17.6~19.9%, 당도는 20.5~23.9 brix, pH 4.53~4.60, 총 산도는 4.0~4.8% 분포였으며, 당은 주로 glucose, 유기산은 주로 succinic acid로 이루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품종 중 설향찰벼의 경우 알코올 함량이 높아 알코올 수율은 높고 잔류 당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종별 색 특성은 신선찰벼를 제외하고 품종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찰벼 품종별로 소곡주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백설찰벼 소곡주의 기호도 점수가 가장 높았다. 소곡주 기호도는 포도당 등 당도가 높아 단맛이 강하고 투과율이 높아 맑은색을 갖는 특징과 관련이 높았으며, 발효 정도와 관련된 수율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5.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건부가치평가법 중 이중양분선택형 질문을 사용하여 안양천 유역의 수질개선에 대한 지불의사를 추정하였다. 선형로짓모형에서 전체 응답자의 지불의사액은 4,930원이었으며 서울지역 거주민과 경기지역 거주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조건부 시장을 잘 받아들였으며 가구당 월평균 3,860원에서 5,101원의 지불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값을 전체지역으로 확장하면 연간 약 83.0억원에서 109.7억원에
        6.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21st century is the period that culture and consume are more interdependent than before. And every individual also has his/her own taste. Therefore, in this situation a designer should fit in with their clients' own needs and tastes. With like this trend the times, various and fast changing waves rise floral design area as same as in every other field. Designs for new products are influenced by these kinds of conception. The emotion is an individual philosophy technically on the base of center for clients. Also this emo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ment the value added and competition of designed products. Therefore in this study, jewelry bouquet focuses on improving designs, which head for the future and can be fitted in with every client' more special need, as creative designed products which open the new age in floral art. The jewelry bouquet is a product of new concept that are made with preserved flowers, which keep themselves fresh for a long time, and jewelries. It a special functions which make clients keep and enjoy it for a long time with their happy wedding memory and can be used for clients to decorate their home. This idea satisfies clients' image & preference, which want to have different wedding ceremony from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