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1년과 2013년 중소기업기술통계 조사에 응답한 4,000개 기업 중 본사가 부산에 소재한 중소기업(5인 이상 300인 미만) 481개사를 대상으로 기업의 혁신전략에 따른 민간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다. 기업의 혁신전략과 관련해서는 R&D 포트폴리오, 연구개발조직 및 인력, 조직의 혁신전략 방향 설정자로서의 CEO 역할을 독립변수로 제시하였다. 또한, 산업을 제조업 기술수준별 4개 그룹과 지식서비스업 등 총 5개로 구분하고, 종속변수 민간 연구개발 투자비에 대한 영향을 선형 회귀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는 기업의 혁신전략 중 복합적인 R&D포트폴리오, 체계적인 연구조직 보유, 연구인력 증가는 모두 민간 연구개발비 투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이를 산업별로 구분 하여 분석하여도 연구개발 조직과 연구인력 보유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살펴볼 때, 지역 중소기업의 민간 연구개발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R&D 포트폴리오를 갖추고 체계적인 연구개발 조직과 충분한 연구인력을 확보한 기업을 중심으로 R&D 투자가 확대할 수 있도록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6,400원
        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 글은 기존의 논문을 인용하는 방식이 아닌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에 대한 입법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인이 참여한 공청회 등의 내용에 기초한 현실참여적인 논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각종 민자도로에서 처 음 예측이 잘못되어 부당하게 높은 사용료징수에 대한 비판이 일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익공유제(통행료인하명령)라는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익공유와 같은 핵심적인 사항 을 공익상의 이유로 형식은 계약이지 만 이익이 있다면 자금재조달의 경우에 이익 공유를 하여야 하는 것이라 면 이는 실질적으로는 강제적으로 제한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관이 자의 로 제정·공포할 수 있는 고시 의 형식이 아니라, 법률유보원칙 에 따 라 국회가 정한 형식적 법률로써 규정할 것이 필요하기에 사회기반시설 에 대한 민간투자법 에 이익공유제에 대한 규정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또 한 이익공유의 상한선과 하한선을 규정하여 최소한의 재산권을 보장하면 서 공익을 추구하는 절충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고 보인다. 따라서 구체 적인 비율을 정하거나 현실적으로는 상한선과 하한선을 정하여 예측 가 능한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이고 실제 운영에서 법치주의 핵심 인 예측가능성에 근거하지 않고 공무원의 자의적인 해석의 여지를 두게 한 부분도 문제가 있다고 보다. 그리고 미실현이익에 대한 현행의 제도는 실제 운영해 본 결과 생기는 실현이득에 한하여 공유하는 영국과 달리 문제가 있어 보이나 손싱공유 제가 도입된다면 그 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익공유제의 취지에는 공감하나 이익이외에 손실에 대해서는 규정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은 입법부작위는 위헌의 소지가 있다. 특히 본 사 안에서는 실제는 정부가 투자하여야 하지만 민간자본에 의해서 대신 공 공재투자라는 목적을 달성하려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민간자본의 공공 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사용에 해당하기에 민간자본의 특별한 희생에 의 하여 실질적으로 정부와 국민이 혜택을 보고 있고 그 희생이 일반 기업 으로는 담당하기 어려운 심한 경우에는 손실보상의 필요성이 있고 이는 이익공유제에 대응하는 손실공유제내지는 손실보상제라고 할 수 있을 것 이다. 다만 이익공유제라는 실질적으로 강제적으로 투자이익을 가져가는 경우이기에 실질적 강제적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보여서 이는 법제도적 으로 정비하여야 할 본질적인 입법사항이기에 앞서 본 바대로 이익공유제를 법률에 규정하지 않고 기본계획에 규정한 것도 진정입법부작위이고, 손 실공유제도 같이 규정하지 않은 것도 진정입법부작위로서 법률로 규정하 여야 할 진정입법부작위로서 위헌의 소지가 있다고 보인다.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이익공유제와 손실공유제를 만들어 재정적자시대에 민간자본을 유인하여 soc투자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suggest a validity analysis model that would be helpful for local governments considering u-City construction projects and a methodology for them to promote build-transfer-lease (BTL) u-City projects. This methodology mainly uses quanti
        4,000원
        4.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local governments have difficulties in financing U-City projects very much at once, investment from private sectors is necessary. This paper propose methodologies about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of private investment in U-City construction. They are concrete shapes of feasibility study methodologies of KDI PIMAC to meet U-City construction. They are feasibility study of private investment by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central government, methodologies of financial VFM analysis to cost during a U-City project, methodologies of qualitative VFM analysis of project management, U-City service quality and operation efficiency of U-City infrastructure . They give concrete examples of the Ansan U-City project.
        4,000원
        5.
        202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on private investment with a sample having 49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17 countries) and Africa (32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1990-2017. Unlike previous studies, we split the data into three groups for further analysis, including the Asian, African and the full-panel samples. The results confirm a crowding-in effect which shows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promotes private investment on all three research samples. Besides, the lagged private investment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itself in the next period which reflects the inertia in the trend of private investment in recipient countries. In the full-panel sample, there are some macro factors such as GDP per capita, trade openness, and electricity that also have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private investment. Besides, when more deeply estimate with smaller samples, we find that trade openness and labour force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 Africa, on the other hand, not in Asia. However, the domestic credit variable has a nega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private investment only in Asian developing countries. Furthermore, there is only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f the electricity variable on private investment in Asia.
        6.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oreign remittances on private sector invest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f banking sector development in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The study has used a sample of 15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nd data for the years 1986 – 2017. Data was obtained from the World Bank Development Indicator (WDI) Database. Panel data diagnostic tests were conducted to ascertain the suitability of the data for regression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hile the hypothesis was test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foreign remittances and banking sector development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private investment in Sub-Saharan Africa. Besides, the banking sector developmen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foreign remittances and private sector investment relationship.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concludes that banking sector developmen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foreign remittances and private sector investment nexus. Due to the antagonistic interaction between foreign remittance and banking sector development, the study recommends the use of alternative ways of channeling remittances to private investment such as; issuance of diaspora bonds and appeal for direct investment by citizens living abroad.
        7.
        200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ort Development has been achieved by the Government because it needs large scale of funds. However, since 1994, the Govenment has been implemeting private investments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ports and so on. Although the Government had high expectation that it could expedite the expansion of the port facilities, there were many problems in view of construction, management, financial and social environment. This study figure out that most of the important reasons are the uncertainty of risk allocation between private investors and the Government, using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encourage more private investors to participate in port private investments in the future.
        8.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port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in progress through a private investment project. Incheon North Port functions as an auxiliary port for Incheon Port to solve its chronic demurral and freight congestion and to treat materials such as wood, iron material, feed materials. Service charges is one of important factors in the port choice to treat general goods. In general, service charges can be calculated by two methods such as cost accounting method and market price method. This study will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heon North Port (berth 3), which is under the progress of the private investment project and estimate the reasonable service charges for general goods on the basis of market price. This will help a concessionaire to maximize the operation efficiency.
        9.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의 항만은 정부가 제공해야 할 사회간접자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개발에 많은 재원이 소요되므로 정부에 의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개발정책은 급속히 증가하는 항만수요에 대응하는데 있어서 재정적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근년에 들어 정부는 항만건설에 민간자본을 유치하고 그 기업으로 하여금 투자재원을 회수하기까지 일정 기간동안 항만을 상업적으로 운영하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여러개의 항만이 이러한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머잖아 개장하게 되는 시점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항만들은 현 시점에서 볼 때 원활히 운영되는데 있어서 문제점들이 예상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민자항만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0.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Korea, rural village improvement has mainly been led by goverment investment. This approach, however, has its own limit since there are so many village to be improved while the budgetary sources are restricted, As an alternative, inducement of private investments to these area is considered in order to promote rural village improvement. The possibility of inducing private investments to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depends on the location of the village. The possibility may be highest in the sub-urban area since expected benefits from land development is usually high. One desirable approach to induce private investment to these area is the cooperative development system. Residents, private investors and governments plays its own role, independently and cooperatively, But benifits from the investment to improve rural village in general plain area are so low that it is difficult to induce the private investments to these area. In that case, indirect development system will be a proper strategy which maintaining government-led development method as usual, expanding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developers such as the construction companies. In general, rate of returns from investment to the rural sectors is lower than that to the other sectors, therefore financial support such as the long- term, low loan rate and a partial value-added tax exemption should be given to the investors to the rural village improvement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