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조도가 눈의 굴절력과 동공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과 안과 수술경력이 없고 양안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평균 20세의 남녀 30명(남자 11명, 여자 19명)을 대상으로 조도 100Lux, 300Lux, 500Lux, 800Lux, 1,000Lux에서 각각 눈의 굴절력과 동공의 크기를 측정하여 보였다. 결과: 우안의 평균 구면 굴절력 변화는 500~800Lux 에서 S=0.03±0.24D, 좌안의 평균 구면 굴절력 변화는 100~300Lux에서 S+0.08±0.24D, 우안의 평균 원주 굴절력 변화는 500~800 Lux에서 C+0.02D, 좌안의 평균 원주 굴절력 변화는 500~800Lux에서 C+0.10D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조도에 따른 동공의 크기는 100Lux에서는 6.02㎜, 300Lux에서는 6.04㎜, 500Lux에서는 5.75㎜, 800Lux에서는 4.01㎜, 1,000Lux에서는 3.64㎜로 나타났다. 결론: 조도에 따른 눈의 굴절력 변화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조도변화의 일부구간에서 구면 및 원주굴절력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공크기의 변화는 500Lux부터 동공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검안실 조도의 적절한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Auto Ref-Keratometer(ARK-510A: NIDEK Co.)와 Corneal Analyzer(OPD-SCAN Ⅱ: NIDEK Co.)의 임상성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구 내 질병이 없는 33명의 성인(27.42±3.3세)을 선정하였다. 한 명의 검사자가 자동굴절검사(ARK-510A: NIDEK Co. 및 OPD-SCAN Ⅱ: NIDEK Co.)와 자각식 굴절검사를 최소 1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1차와 2차) 실시하였다. 측정값을 J 벡터(M, J0, J45)로 변환하고 신뢰도와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ARK-510A의 test-retest의 평균 차이와 95% 일치구간은 M=-0.027±0.405D(-0.821~0.767D), J0=0.020±0.138D(-0.250~0.290D), J45=-0.002±0.097D(-0.192~0.188D)였고, OPD-SCANⅡ은 M=0.094±0.495D(-0.876~1.064D), J0=0.026±0.138D(-0.244~0.300D), J45=0.002±0.093D(-0.180~0.184D)였다. ARK-510A의 신뢰도계수는 M=0.992, J0=0.976, J45=0.932였고, OPD-SCANⅡ M=0.989, J0=0.967, J45=0.903이었다. 자각식굴절검사값과 ARK-510A 측정값의 평균 차이와 95% 일치구간은 M=0.258±0.600D(-0.918~1.434D), J0=-0.088±0.116D(-0.315~0.139D), J45=-0.009±0.120(-0.244~0.226D)이었고, 자각식굴절검사값과 OPD-SCANⅡ은 M=0.381±0.624D(-0.842~1.604D), J0=0.022±0.098D(-0.170~0.214D), J45=0.001±0.108D(-0.210~0.212D)이었다. 두 기기의 정확도는 M(p=0.006)과 J0(p=0.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자동굴절계(ARK-510A)가 각막분석계(OPD-SCANⅡ)보다 신뢰도와 정확도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에서 굴절이상을 측정하기 위해 각막분석계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K -5000 Auto Ref-Keratometer(Potec Co.) 의 임상성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54 명(1 08 안)을 대상으로 자동굴절검사 자각식굴절검사 자동각막콕률측정 및 수동각 막곡률측정을 실시하였다. 굴절이상도 및 각막곡률 측정값을 디옵터굴절력 매트럭스 로 전환하였다. 통일한 대상을 최소 1 일 간격을 두고 2 회 측정한 자동굴절검사 측정값의 Tcst 와 Retest의 평균은 PRK• 5000 및 Control 자동굴절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 각식 굴절검사값과 자동굴절검사값의 차이 는 등가구면 (PRK -5000, 0.120 :t 0.438D ; Control, 0.120 土0.365Dl, 회 선성분 (Control , 0.098 :t 0.166D) 및 수직 성분 (PRK-5000 , 0.262 :t 0.484D; Control. 0.228 :t 0.429D) 에서 유의하였다 .95% 일치구간은 등가구면 (PRK-5000, • 0.738 -_ +0.978D, Control, -0.595 ~ +0.835D) , 수평성분 (PHK -5000, -0,986 ~+0.942D, Control, -0, 773~+0.799Dl 빚 수직성분 (PRK -5000, -0.687 ~ + 1.21ID, Control. 0.613 ~ + 1. 069D) 에서 PRK-5000 이 :t0.20D 이내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막곡플 측정값의 재현성을 나타내는 Test와 Retest 의 평균은 PRK-5000 빚 Control 자동곡률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수동 및 자동 각막곡률 측정값의 차이 는 mean K(PRK -5000, -0,087 :t 0.12ID; Control, 0.1 16 :t 0.128DJ, 수평 성 분 (PRK-5000, • 0.051 :t 0.153D; Control, • 0.061 :t 0.144Dl, 회 선 성 분 (PRK← 5000, 0.098 :t 0.256D) 빚 수직 성 분 (PRK -5000, 0.l 28 :t 0.193D; Control, 0,302 :t 0 .1 8ID) 에 서 유의 하 였다. 95% 일치구간은 회선성분 (PRK-5000, -0.404~+0.60ID , Control, -0.380~ +0.326) 에서만 PRK-5000 이 :t0.15D 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PRK -5000 Auto Ref- Keratometer의 굴절이상도 및 각막 곡률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와 정확도플 분석한 결과, 자각식 꿀절검사를 섣시하기 전 에 피검자의 굴절이상을 대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자료플 얻고, 수동 케라토 u1 터룹 대신하여 콘택트렌즈를 피팅하거나 각막의 형상을 분석하기 위해 각막곡률을 측정하 는데 적 절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4,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