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2.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In Korea, 6-year-old ginseng root is economically more important than 4 or 5-year-old roots. In general, the root age i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stem vestiges.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accurately estimate ginseng root age.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the stem vestige counting method was used to survey a total of 18,395 fresh ginsengs cultured in 2014, and 2015,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this method. The proportion of 6-year-old roots, with more than four stem vestiges, was 46.1% in 2014. For the cultivar Chunpoong cultivated in Eumseong and Goesan countries in 2015, the proportion of more than four stem vestiges was 55.9%, and 43.5%,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more than four stem vestiges for the Gumpoong cultivated in Eumseong and Yangpyeong countries was 67.0%, and 35.1%, respectively, whereas that for the cultivar Yunpoong was 36.0% and 61.0%, respectively.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Rg1 will enable root age determination. Conclusions: Root age determination by the stem vestige test was found to differ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and cultivation conditions. To determine the age of ginseng roots, a comprehensive method, such as counting stem vestiges and evaluating differences in ginsenoside levels, should be applied.
        3.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홍삼 지근의 볶음 온도와 시간에 따른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을 모니터링하고 최적 볶음조건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가용성 고형분,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성은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성다당체 함량은 볶음시간보다 볶음온도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홍삼 지근의 기능성 관련 성분을 고려한 최적 볶음조건은 볶음온도 와 볶음시간 분으로 예측되었다.
        4.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및 홍삼절편(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대상으로 팽화시켜 팽화 인삼분말의 흡습 특성을 조사하고 수분활성도 예측모델을 수립하였다. 등온 흡습곡선은 대부분의 식품들과 같이 역S형의 형태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낮은 온도인 에서 평형수분함량이 가장 높았다. 단분자층수분함량은 BET식 에 의해 solid의 값으로 계산되었으며 BET식에 적용했을 때 가 로 GAB식 보다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