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 작가들은 이상적이며 주관적 자아를 객관화하기 위해 인간 삶 의 원형인 신화를 자신들의 소재로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들의 신화적 기법은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카아(E. H. Carr)의 역사개념을 수용함으로써 현재 와 과거를 병치시킨다. 예이츠의 설화와 극시는 켈트 신화 중에서도 주로 낭만적 영웅 어쉰(Oisin)이 등장한 핀 족의 이야기(Finn Cycle)와 얼스터 전쟁 영웅 쿠훌린 (Cuchulain)을 다룬 얼스터판(Ulster Cycle)을 그의 시적 소재로 채택했다. 한편 이들 시는 켈트 영웅정신으로 민족주의를 고취시키고 나아가 낭만적 아일랜드를 만드는데 공헌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런데 이 논문에서는 예이츠의 극시와 설화는 켈트 민족주 의와 낭만적 아일랜드 만들기라는 그 같은 공적인 대의뿐 아니라 연인 모드 곤(Maud Gonne)에 대한 사랑과 염원이라는 예이츠의 개인적 의도를 함께 반영하고 있음을 증 명해보겠다.
Reflective practice has become an integral component in teacher education.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but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novice L2 teacher trainees’ development of reflective practice. Similarly, little is known about their concerns, interest, and needs, as they manifest in reflection. This study, therefore, identifies reflective themes that teacher trainees concern about after microteaching. It further examines whether teacher trainees’ reflective focus differs depending on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Seventeen teacher trainees, who were either in the beginning or advanced L2 teaching courses, reflected about their microteaching, and their written reflections were analyzed by their contents. Seven themes emerged, which include teacher behaviors, classroom management, planning, microteaching context, language-specific features, student learning, and teacher roles. Overall, teacher trainees focused more on teacher behaviors and their self-image in relation to classroom management and lesson planning than issues on student learning and teaching. It was also found that this tendency was stronger for beginning trainees than advanced trainees.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pre-service language teachers’ reflection for problem solving, focusing on facets of problem solv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wenty pre-service English teachers’ ninety-four entries of reflection guided by semi-structured guidelines for problem solving: pre-reflective, reflective thinking, and post-reflective.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is study adopt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o identify and categorize features in the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found three dimensions of problem solving and three or four segments under each dimension. Dimensions represent the possible procedural steps of problem solving: ‘problem-determination’, ‘problem-analysis’, and ‘solution’. In terms of cognitive purposes, four possible segments emerged: ‘description’, ‘elaboration’, ‘justification’, and ‘evaluation’. In contrast, concerning perspectives on viewing problems, this study identified three segments: ‘thou-view’, ‘i-view’, and ‘alternative-view’. The variation in the employment of the dimensions and segments was found to represent diverse patterns of problem solving in pre-service language teacher refle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pre-service language teacher education.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of the teacher, colleagues, and students in promoting teacher expertise. To this effect, the authors first created a principled set of checklists on six domains of teacher expertise by synthesizing relevant literature. Then they developed protocols for collaborative reflection. These tools were applied to a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volving the teacher participating in stimulated recall sessions of her own classes, writing reflection journals, and receiving feedback from her colleagues and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collaborative reflection has high potentials for mediating the teacher’s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leading to behavioral ones. This suggests that collaborative reflection, when relevant institutional prerequisites are met, can take an instrumental role in promoting teacher expertise.
국제이주는 현대사회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로서 전 지구적인 현상이 되었다. 세계화의 영향으로 초국가적 네트워크가 출현하고 교통과 통신수단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이주노동자와 학생, 난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주자의 이동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국제이주가 보편화되면서 교회 공동체는 세계 곳곳에서 다문화 사역, 이주민 선교, 디아스포라 선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역을 실천하고 있다. 이주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면서 선교학계도 이주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최근 이주의 형태 가운데 난민은 소수자 영역 또는 긴급한 관심과 돌봄이 필요한 대상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난민문제는 국가안보, 책무 수행에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 등의 이유로 정부와 교회 모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평가가 있다. 본고는 유럽에서 촉발된 난민사 역의 선교적 중요성을 대한민국의 상황에서 살펴보고, 이를 대한민국 교회의 사역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찾아보는 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난민은 본국에서 박해를 피해 언어, 문화 등이 전혀 다른 국가에서 생활할 수밖에 없는 매우 취약한(vulnerable) 상황에 놓인 이들이다. 난민은 자국이나 타국과의 권력구조에서 개인의 권한이 나 국가의 권력이 부족하거나 결여된 상황에 놓인 이들이다. 따라서 난민은 특별한 프로그램을 통한 보호를 필요로 한다. 국제사회는 난민 문제를 국제기구의 설립과 국제법 제정을 통해 해결하려고 노력해 왔다. 그러나 국제사회의 난민문제에 대한 접근은 난민의 기본적인 인권문제의 해결보다 국가 간의 정치적, 경제적 문제를 우선으로 하는 한계를 보인다. 국제사회에서 난민은 국제법의 정의와 인정기준에 따라 그들에 대한 국제적 지원이 달라진다. 국제사회에서는 난민은 제네바협약의 규정에 따라 난민 지위를 인정받은 사람이며, 이들은 국제난민협약이 정한 기준에 따라 지원과 보호를 받는다. 이런 접근은 국제사회의 질서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조치에 불과하다.
대한민국 정부는 난민인정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국내외의 비판을 받아왔다. 대한민국은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극히 적은 수의 난민을 수용하여 왔음도 지적된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난민 문제에 대한 접근이 달라지고 있다. 특히 2014년까지 UNHCR 의장국 이었던 대한민국 정부의 난민정책이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2013년에 는 아시아 최초로 난민법을 제정하고, 2015년에는 가장 적극적인 난민정책인 재정착희망난민제도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단일민족이라 는 문화적 배경, 난민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의 이유로 대한민국에 실제로 정착한 난민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평가도 있다. 난민을 수용하 는 국가가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위해 국내법적 근거를 확보하고 적극적 인 난민수용제도를 시행한다 하더라도 난민문제에 대한 국가적 인식의 변화가 뒤따르지 않으면 국제사회가 난민문제에 대해 공동의 책무를 감당해야 한다는 인도주의적 신념과는 거리가 먼 상황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주민 사역 가운데 특별한 영역인 난민사역은 사회복지사역과 마찬가지로 국가주도적인 사역이다. 따라서 대한민국 교회의 난민사역은 국제사회의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현상적 노력이나 대한민국 정부의 난민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대한민국 교회가 난민문 제에 대해 응답해야 하는 것은 시대적 요청일 뿐 아니라 선교실천적 요청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교회는 난민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야 한다. 난민문제 해결을 위한 한국교회의 사명은 국제사회와 국가의 가시적 난민비호에 적극 동참하면서 동시에 난민들의 비가시적 상처를 평화로 화해와 회복으로, 그리고 사랑으로 품는 것이다.
이 논문은 오늘날 ‘단색화’로 명명되는 한국 추상화의 한 경향에 대한 세 개의 반성적 질문을 던 지고, 그에 대한 답을 모색하고자 한다.
첫째 질문은 단색화를 진정 독자적인 유파로서, 긴밀한 이념과 그 실천의 집약체로서 형성된 한국적 미술운동 또는 유파로 볼 수 있는가이다.
둘째 질문은 오늘날까지 관례적 정설로 자리 잡아 온 견해로서 ‘단색화는 진정 한국성 또는 한 국적 미의 반영인가’이다.
셋째 질문은 단색화의 거의 공식화된 영문표기인 ‘Dansaekhwa’와 그것을 정당화하는 담론 은 타당한가이다.
본 논문은 예이츠의 희곡 발야스 스트랜드에서가 어떻게 잘 알려진 아일랜드의 전설 “이퍼여왕의 외동아들”의 수백 년 간의 변형과 관련이 있는지를 연 구한다. 이 변화의 역사를 추적하면 자연적인 것과 비자연적인 것의 상충에 대한 주제 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예이츠는 심오한 자연의 충동에 뿌리를 둔 초자연의 모티프를 추가를 시도함으로써 본 주제를 탐색한다. 발야스 스트랜드에서는 인간성 의 거부는 초자연성의 포기와 함께 간다는 것을 보여주는 동시에 초자연성의 무시는 우리의 의미 깊은 자연적 충동의 힘을 배제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
PURPOSES: Reflection cracking has been one of the major causes of distress when asphalt pavement is laid on top of concrete pavement. This study evaluated the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of asphalt mixtures reinforced with asphalt embedded glass fiber and carbon fiber using a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TTI) overlay tester. METHODS : Different asphalt mixtures such as polymer-modified mastic asphalt (PSMA) and a dense graded asphalt mixture were reinforced with asphalt-embedded carbon fiber and glass fiber. For comparison purposes, two PSMA asphalt mixtures and one dense graded asphalt mixture were evaluated without fiber reinforcement. Two different overlay test modes, the repeated overlay test (R-OT) and monotonic overlay test (M-OT), were used to evaluate the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of asphalt mixtures at 0 ℃. In the R-OT test, the number of repeated load when the specimen failed was obtained. In the M-OT test, the tensile strength at the peak load and tensile strain were obtained. RESULTS : As expected, the fiber-reinforced asphalt mixture showed a higher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than the conventional nonreinforced asphalt mixtures based on the R-OT test and M-OT test. The dense graded asphalt mixture showed the least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and less resistance than the PSMA. CONCLUSIONS: The TTI overlay tester could be used to differentiate the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values of asphalt mixtures. Based on the R-OT and M-OT results, the carbon-fiber-reinforced asphalt mixture showed the highest reflection cracking resistance among the nonreinforced asphalt mixtures and glass-fiber-reinforced asphalt mixture.
본 연구는 광복이후 수용자 기본권 확장의 역사를 분석하여 실질적 법치교정을 구현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교정정책의 주요한 변화에 따라 혼란과 전란에 맞선 애국교정, 교정이념의 도입과 조직의 정비, 교정에 대한 통제강화와 수용자 인권의식의 신장, 교정법치의 확립과 치료적 교정프로그램의 도입기 등 4개의 시대로 구분하고, 법령과 판례의 변천을 통해 본 수용자 기본권 확장의 역사를 형집행법의 변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용자에 대한 형집행의 순화가 이루어졌고, 인권에 대한 수용자와 국민의 의식이 향상되었으며, 궁극적으로 교정시설에서 수용자 처우에 적법절차 관행이 자리 잡고 수용자의 인간다운 삶의 보장으로 이어졌다. 부정적인 부분은 수용처우에 있어 소송대비 등 형식주의를 의미하는 관료주의화가 나타났고, 수용자의 경우 수용생활 편의 목적의 진정, 고소⋅고발 등 다양한 형태의 소일거리에 직면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향후 실질적 법치교정을 위해서는 최근 시행되고 있는 정신질환자 및 성폭력범죄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시행인 치료중심의 교정패러다임 확립, 과밀수용 완화를 통한 인간다운 수용환경의 조성 및 교정업무와 조직구성원의 전문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워드 스나이더의 5중적 교회 갱신론에 비춰 본 평양 대부흥운동
오늘날 이구동성으로 한국 기독교의 위기를 말한다. 종교별 사회
적 신뢰도에서 최하위를 면치 못하면서 동시에 양적으로는 마이너스
성장을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도 갱신과
부흥이 한국 교회에 절실히 요청된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가운데
필자는 평양 대부흥운동을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Snyder)의 이론
과 연계해 고찰함으로써 교회 갱신에 관한 선순환 패턴과 목회적 통찰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대전제, 설명, 비교의 순서로
전개된다. 먼저 갱신과 부흥의 대전제로서 하나님의 주권적 역할과
은혜가 소개될 것이다. 다음으로 스나이더의 5중적 교회갱신론이 설명될 것이다. 그에 따르면 참된 갱신은 개인적(personal), 회중적
(corporate), 개념적(conceptual), 구조적(structural), 선교적
(missiological) 차원을 함께 아우른다. 마지막으로 평양 대부흥운동과
스나이더의 이론과의 상관성이 서로 비교되어 논의될 것이다.
본고의 연구 결과, 평양 대부흥운동은 스나이더가 제시한 5중적
차원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인다. 우선 하디 선교사와 길선주 장로를
위시한 개인적 갱신이 선도적으로 일어났고 뒤이어 장대현교회를 중심
으로 회중적 갱신이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또한 새벽기도, 철야기도와
같은 개념적 갱신과 사경회(査經會)와 같은 구조적 갱신이 대부흥을
촉발시키면서 동시에 심화시켜 나갔다. 끝으로 상기한 개인적, 회중적,
개념적, 구조적 갱신은 날연보(日捐補)와 100만인 구령운동으로 대표
되는 선교적 갱신으로 승화되었다. 오늘날 한국 교회는 제2의 평양
대부흥운동이 발화하기를 희구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갱신과 부흥의
주체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전적으로 사모해야 한다. 특히 교회 지도
자들부터 회개를 통한 개인적 갱신을 철저히 추구해야 한다. 그들은
또한 회중적 갱신에 기여할 개념적, 구조적 갱신에 진력하면서 종국에
는 모든 교회적 활동을 선교적 갱신으로 수렴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5중적 차원의 갱신이 일어날 때 한국 교회는 초창기의 영적 능력과
사회적 영향력을 다시금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S : The noise, which is typically generated by fast moving vehicles, can be intercepted by installing a noise barrier with a soundproof panel. However, reflections from the panels cause secondary noise, and hence lower the effectiveness of the panels. In this study, the reduction of reflection noise by considering the shape, especially zigzag one, of the soundproof panel have been evaluated.
METHODS : The simula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Nord2000, which simulates real-road situations effectively.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joining angle of 133。with the pattern width (a) equal to 2 m and the projection height (b) equal to 0.5 m was adapted in the zigzag shape as the best profit designing factors.
RESULTS: The measuring results at middle height, 15 m showed reduction at all points except the point with average -1.6 dB. At a greater height of 30 m, 2 points showed reduction. A real-sized facility was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reflected sound from a zigzag shaped panel up to the height of 5 m.
CONCLUSIONS: The reduction effects were detected in all the receive points in the range of 2-6 m distances and 1-5 m heights comparing the plane panel. Compared to plane panel, the noises are reduced at an average of 2.4 dBA.
Recent high-resolution, high-sensitivity observations of protostellar jets have shown many to possess an underlying `wiggle' structure. HH 211 is one such example where recent sub-mm observations revealed a clear re ection-symmetric wiggle. An explanation for this is that the HH211 jet source is moving as part of a protobinary system. Here we test this assumption by simulating HH211 through 3D hydrodynamic simulations using the pluto code with a molecular chemistry and cooling module, and initial conditions based on an analytical model derived from SMA observations. Molecular chemistry allows us to accurately plot synthetic molecular emission maps and position-velocity diagrams for direct comparison to observa- tions, enabling us to test the observational assumptions and put constraints on the physical parameters of HH211. Our preliminary results show that the re ection-symmetric wiggle can be recreated through the assumption of a jet source being part of a binary system.
본 논문은 경면반사체의 3차원형상추정을 위한 광학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배열로 이루어진 점광 원과 카메라로 구성된 비전시스템을 대상으로 광로분석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근사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취 득된 반사영상에서 점광원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되며 이 변화량을 이용하여 3차원정보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 험을 통하여 반사체의 3차원형상의 효과적 추정이 가능함을 보인다.
대형교회에 대한 진단과 평가는 교회성장과 함께 결과적으로 탄생한 대형교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작업이다. 교회가 성장하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성장이 어떤 동기와 목적을 지향하며, 어떤 방법과 원리에 의해 수행되며 결과가 신앙과 교회 본질에 부합하는 가를 잘 살펴야 한다. 교회성장도 중요하지만 그 방법과 원리가 교회의 본질을 바르게 실현하고 있는가를 신학적으로 살펴야 한다.
대형교회를 학문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해야 하는 이유는 한국교회 의 성장제일주의가 초래하는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러 한 문제가 집약적으로 나타난 것이 대형교회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건강한 대형교회가 존재하며 교회연합이 어려운 한국교회 현실을 볼 때 건강한 대형교회가 국내선교와 세계선교를 위해 필요한 일들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대형교회를 비판적 관점에서 언급 하는 것은 현재 한국교회에 발생하는 잘못된 현상들이 ‘문제로 등장하 는’ 대형교회들에 압축되어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교회는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한국교회가 이러한 상황을 직면하게 된 원인은 무엇보다 교회 내부에 존재한다. 한국교회의 현주 소를 생각할 때 본 논문의 목적은 대형교회에 대한 문제진단과 평가를 통해 그것이 한국교회에 미친 부정적 영향들을 가려내고, 나아가 유사 한 방식으로 현재 한국교회에 만연해 있는 문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있다. 이런 문제를 통해 한국교회는 자신의 모습을 진단하고 바르게 볼 수 있어야 하며, 경계로 삼아 잃어버린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한국교회는 지역교회 중심의 구조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대형교회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대형교회가 공교회적 역할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며, 한국교회에 주어진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교회 들이 건강한 교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관점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영화 제작자가 사용하곤 했던 불교적 가르침의 렌즈를 통해 서 2011년도 영화 <삼사라(Samsara)>를 고찰했을 뿐 아니라, 영화가 드러 내는 윤회계에서의 그 존재를 탐구하기 위해 이러한 가르침을 사용하였다. 먼저 텍사스 포트워스(Forth Worth)의 텍사스 기독교 대학(Texas Christian University)에서 반조학(反照學) 동호회를 대상으로 한 영화를 서술하면서 윤회와 자신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간략한 계보 및 벨기에의 종교·문학·역사 국제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Religion, Literature and Culture) 에서 영화에 대해 강의한 원고로 시작하였다. 그 다음 섹션에서는 영화 제작자들이 자신들의 영화를“비언어적, 안내하 는 명상이라고 묘사하기 때문에 영화 <삼사라>에 존재하는 반조적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요약하였다. 그리고 최근의 세 학술서들의 출판에서 분명하 게 드러나는 이 주제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고려하면서 불교와 영화라는 주 제를 기술하였다. 마지막에는 윤회에서 인간의 조건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추면서 상호 의존, 무상(無常, anicca), 고(苦, duh.kha) 등과 같은 원리들을 사용하여 영 화에 대한 불교적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 섹션에서는 또한 영화 제작자들의 시간 묘사, 고, 기타 불교와 관련된 주제들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불교적 해석을 미국의 영화 비평가들이 제기한 해석들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이 영 화를 윤회에 대한 불교적 이해를 탐구하는 반조의 도구로서 고찰하는 것으 로 결론을 맺었다.
언어의 사용과 접촉은 아동의 언어 학습과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싱가 폴의 미취학 아동들에게 어떤 언어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문은 특히 중국어 한자 습득을 주요 논제로 삼았다. 본 연구는 아동의 특정 상황 속에서 사용하는 언어 사용으로부터 중국어를 사용하는 성인의 접촉 빈 도, 중국어 사용 환경 시간의 길고 짧음, 아동이 이용할 수 있는 읽기와 쓰기 도구 정도 등의 여러 조건을 설정하고, 싱가폴 미취학 아동들의 중국어 한자 능력을 관 찰해 보았다. 설문조사와 분석의 결과는 미취학 아동들의 한자 능력을 개선의 여지 가 있으며, 우리에게 현재 시행되는 미취학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기관과 가정 교 욱의 현황과 실천을 재검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본문의 말미에는 싱 가폴 미취학 아동들의 중국어 한자 교육에 대한 반성과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였다.
서곡 은 워즈워스의 정신적 성장사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고백적 성격을 띠 고 있다. 시인은 정신적 위기를 극복하고, 손상된 상상력을 회복하기 위해 과거 의 경험들을 회상하는데, 사실적 기억의 차원을 넘어 현재의 필요에 맞게 재구 성하듯 회상해 낸다. 워즈워스의 서곡 은 서구문학사에서 매우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 작품에서 눈에 띠는 서술기법은 “시간의 점들”(spots of time)에 대한 회상이다. “시간의 점들”은 서곡 의 전개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 를 지닌다. 이 시간의 점들은 어느 한 순간에 신비로운 모습으로 나타나 기억을 지배하며, 무의미하게만 느껴지는 일상의 숱한 기억을 향해 밝은 빛을 비춰 그 것들이 각기 모래알처럼 흩어지지 않고 나름의 유기적 관계를 맺어 전체에 의 미 있는 구성요소가 되도록 도와준다. 워즈워스는 이런 시간의 점들을 과거의 사건이 아닌 현재적 사건으로 해석하고 고백하면서 오랜 세월에 걸쳐 시인으로 서 자신의 서사적 고백시를 완성하였다. 본 소고는 이런 시간의 점들에 대해 문 학적 차원뿐만 아니라 종교, 철학적 차원에서 새로운 조명을 시도하고 있다.
Anti-reflection coating films have used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displays and enhance the efficiency of solar cells. Hydrophobic anti-reflection coating films were fabricated on a glass substrate by sol-gel method. To fabricate an anti-reflection film with a high transmittance, poly ethylene glycol (PEG) was added to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solution. The content of PEG was changed from 1 to 4 wt% in order to control the morphology, thickness, and refractive index of the SiO2 thin films.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of both sides of the coated thin film fabricated with PEG 4 wt% solution were 0.3% and 99.4% at 500 nm wavelength. The refractive index and thickness of the thin film were n = 1.29 and d = 105 nm. Fluoro alkyl silane (FAS) was used for hydrophobic treatment on the surface of the anti-reflection thin film. The contact angle was increased from 13.2˚ to 113.7˚ after hydrophobic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