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utilized a longitudinal data collection to examine online factors of digital multimodal composing (DMC) preference and measure learner course satisfaction with digital composing modes in an online EFL communication cour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olve learners in a process of online, interactive, and multimodal curricular design during emergency remote learning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Innovative online technologies such as a new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digital educational components were implemented and used to quantitatively examine learners’ acceptance of technology. Korean learner preferences for textual and audio modes of DMC were indicated by Relative Advantage,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factors. These factors also indicated an aversion to video-based DMC including video recordings and video responses as well as moderate concern for video conferencing. Qualitative findings revealed student concern for the constructs of Ease of Use and Using Video Modalities when transitioning to new online learning technologies.
        5,800원
        3.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갑작스럽게 시행한 2020년 1학기 한시 전공 온라인 수업 방식을 되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필자는 온라인 원격수업은 대면 수업과 달리 학생들의 반응을 현장감 있게 확인할 수 없고, 학생들과의 의사소통에 제한이 있으며, 각종 프로그램의 활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체감했다. 그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온라인 원격수업에서 학생들을 집중시키는 방법이 중요함을 느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의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참여, 교수자와 학생들 간의 원활하고 활발한 의사소통, 주의력과 흥미를 높이는 학습 콘텐츠 활용 등이 학습능률을 높이는 수업의 핵심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시는 음악적 요소(운율)와 회화적 요소(심상)가 돋보이는 문학 장르라는 점에서 다양한 디지털 자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수업 방법은 학습효과를 높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한시 를 흥미롭게 느끼고 그 정서적 요소(분위기)까지 공감하게 되면, 의미적 요소(주제, 생각, 사상 등)에 대해서도 이해력이 깊어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 원격수업에서도 학생들이 작품을 직접 번역해 보고, 적극적으로 느낌과 감상을 얘기해 보고, 그것이 나의 삶과 오늘날 세상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고, 이러한 학습활동을 학생 간에 나눌 수 있도록 교수자가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온라인 원격수업을 한시 교육 방법의 창의적인 전환의 계기로 삼는다면, 한시의 풍부한 예술성과 다양한 문학 콘텐츠들이 오늘날 대학생들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5,800원
        4.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학생을 직접 對面하지 않는 원격 수업 방식이 수업에 수동적으로 임하는 학생들의 태도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고,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질의응답이나 토론 활동과 같은 학생 중심 수업을 운영하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학교에 오기 전에 교사가 직접 제작해서 올린 온라인 콘텐츠를 미리 보고 관련 과제를 자기주도적으로 수행한 후, 학교에서 와서는 교사와 함께 질의응답이나 토론 등과 같은 활동을 수행하는 블렌디드 러닝을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이 연구에서 다룰 원격수업은 E-learning과 교실 수업을 결합한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발전된 형태인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기반의 수업 방식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 기반의 중학교 한문 원격수업을 통한 학생 중심 수업을 시도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2020년 1학기에 원격수업을 운영하면서 교육은 단순히 지식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새삼 느꼈다. 2020년 11월 현재 대한민국의 교사들은 담당 과목에 상관없이, 원격수업의 범위 내에서 어떻게 학생 참여를 끌어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이 연구가 코로나19라는 위기에 대처하면서 학생 중심 수업을 꾸리고자하는 한문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5,500원
        5.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판소리 원격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춘향가> 중 ‘자진 사랑가’를 활용하여 1∼6차시로 개발하고, 각 수업 내용을 연계한 논술과 가창 평가방안을 제시하였다. 1∼2차시는 영상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조선 후기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판소리의 특징까지 이해할 수 있다. 3∼ 4차시에서는 ‘자진 사랑가’를 감상하고, 온라인 학습지로 사설붙임새를 학습하여 그 음악의 맛과 멋을 느낄 수 있다. 5∼6차시는 ‘자진 사랑가’의 가락과 음악적 특징을 가락선보로 나타내고 따라 부르며, 판소리 공연에서 소리꾼과 고수, 그리고 관객의 소통 방법을 체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소리의 역사와 시대적·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며 감상할 뿐만 아니라, 판소리의 호흡, 창법, 표현 법 등을 익히고 그 음악적 특징까지 표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 표현 활동의 범위를 넓힐 수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판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이해하고 귀로 들은 가락을 가락선보로 시각화하는 활동과 함께 노래함으로써 이 음악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깨닫고 애호하여 생활 속에서 활용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원격수업용 콘텐츠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가 온라인 국악 수업을 위한 콘텐츠 개발의 한 예로 적용될 수 있길 바란다.
        6.
        2021.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COVID-19에 대응하는 원격수업을 진행하면서 초등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파악하고, 그것을 극복해 나가는 과정에서 얻게 된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경기도 소재 원격교육선도학교 교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Strauss & Corbin(1988)의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원격수업을 시작하던 당시 교사들의 효능감은 매우 낮았다. 그 당시의 기억에 대하여 ‘두려움과 불안함’이라고 표현한 것처럼 혼란스러운 시기를 보냈지만, 지속적인 노력으로 나름의 원격수업 체계를 형성해 나가면서 떨어졌던 효능감은 다시 상승하였다. 원격수업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은 첫째, 원격수업 준비로 인한 교사의 에너지 소진, 둘째, 학생들의 참여 의지에 따른 학습결손 및 부진의 누적, 셋째, 원격수업 참여를 위한 환경적 제약, 넷째, 학생의 이해도 점검의 어려움이었다. 이외에도 교사의 신념과 실제 수업 간 차이에서 오는 수업 딜레마 측면의 어려움은 첫째, 원격수업과 학년의 발달단계에 맞는 수업 간의 딜레마, 둘째,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는 수업 설계를 할 수 없다는 것, 셋째,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집중도가 저하가 있었다. 교사들이 원격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찾은 의미는 첫째, 동료와 협업의 중요성, 둘 째, 학생들과 좋은 관계를 맺는 것의 중요성, 셋째, 원격수업의 특성에 맞는 수업 설계의 중요성, 넷째, 원격수업을 위한 환경조성의 중요성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원격수업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원격수업 준비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 마련, 원격수업 참여에 대한 학생들의 내적 요인 탐색, 원격수업에 적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및 교수법 개발, 원격수업을 위한 환경조성 및 통합된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