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

        1.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경상북도에 위치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내 2개 지역(영주지역의 신갈나무, 울진지역의 소나무)과 경기 포 천시에 위치한 생물권보전지역내 2개 지역(포천지역의 신갈나무와 소나무)에서 2016년부터 2017년까지 함정 트랩(Pitfall trap)을 매년 5회씩 5반복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에서는 27과 106속 160종 2,66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종풍부도는 20.28, 종균등도는 0.266, 종다양도는 1.355, 우점도는 0.265로 우점 종은 납작먼지벌레속 sp.2 (Synuchus sp.2)이였다. 또한, 생물권보존지역에서는 16과 49속 77종 4,834개체가 확 인되었으며, 종풍부도는 8.958, 종균등도는 0.301, 종다양도는 1.31, 우점도는 0.669로 우점종은 윤납작먼지벌레 (Synuchus nitidus)였다. 산림의 중요 지역 간에 지표성 딱정벌레의 군집을 비교함으로써 환경변화에 따른 산림 보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효과적인 보호구역의 보전 관리를 위해서는 외래종의 정착 모니터링 및 확산 위험에 대한 저감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울진에 위치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2,274ha)에서 조사된 외래식물 분포 정보를 대상으로 활용도가 높은 세가지 종분포모형(Bioclim, GLM, MaxEnt)을 활용하여 외래식물의 잠재출현지역을 모의하였고, 모의 결과를 비교하여 지역적 지리 및 생태 관리 특성이 반영된 현실성 및 적합성 높은 종분포모형을 선발하였다. 분석에서 예측된 외래식물의 출현지역은 실제 분포와 같이 도로 같은 선형 경관 요소를 따라 분포하는 경향이었으며, 일부 벌채지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각 모형의 예측력과 정확도를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GLM과 MaxEnt 모형은 대체로 높은 예측력과 정확도를 보였지만, Bioclim 모형은 낮았다. Bioclim은 가장 넓은 면적을 출현예상지역으로 계산하였고, GLM, 그리고 MaxEnt 순으로 면적이 작았다. 모의 결과의 현상학적 검토에서는 GLM과 Bioclim 모형은 표본 수에 따라 예측력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본 수와 관계없이 가장 일관성 높은 모형은 MaxEnt로 평가되었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모형 중 외래식물 분포 예측을 위한 최적 모형은 MaxEnt 모형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정밀 생물종 분포 자료 기반의 모델 선발 접근 방식은 산림생태계 보호구역의 보전 관리 및 지역 특성이 반영된 현실적이고 정교한 모델 발굴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4,300원
        5.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의 체내 선충보유량에 따른 비행능력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춘천시 지내리의 잣나무림에서 어리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mucronatus)에 감염이 확인된 북방수염하늘소 암·수 각 20마리를 채집, 실내사육 후 우화-섭식 1 주일이 지난 시점부터 1주 간격으로 Flight mill을 이용하여 비행실험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사육통 바닥에 여과지와 섭식한 잣나무 신초를 3~4일 마다 교체 후 Baermman funnel법으로 소나무 재선충을 분리하여 그 수를 조사, 비행능력과 선충보유량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약 50,000마리 이상 선충을 체내에 보유시 비행능력이 급감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선충의 체내 보유량에 따른 비행능력의 차이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사과 ‘후지’/M9의 생육기간 중 조기낙엽 피해가 발생하였을 때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적엽 처리하여 광합성과 탄수화물의 변화를 측정 하였다. 눈의 재발아율은 대조구, 50% 처리구, 80% 처리구에서 각각 2.1%, 45.9%, 82.7%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적엽처리 후 남은 잎의 자당(sucrose)와 전분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대조구와 50% 처리구에서는 총 유리당의 변화도 크지 않았다. 반면 80% 처리구에서 총 유리당과 sorbitol의 함량은 처리 후 14일동안 꾸준히 감소하였으며, 이것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sink로서의 탄수화물 요구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뿌리에서의 전분 축적은 적엽처리 정도가 심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광합성속도와 기공전도도는 80% 처리구에서 처리 후 14일동안 꾸준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광합성 속도의 상승은 남아있는 source 잎에서의 삼투포텐셜이 증가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적엽처리로 인하여 눈의 당년 2차 재발아에 필요한 sink의 탄수화물 요구가 갑작스럽게 일어나게 됨으로써 남아있는 잎에서 광합성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8.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organizations have transformed their business in order to survive and compete in the future. They generate projects by creating a vision, using strategies and objectives with funds aligning strategies and make efforts to complete them successfully because project success leads to business success. All projects have triple constraints such as scope, time, and cost to be completed. Project cost performance is a key factor to achieve project goals and which is mostly related with risks among various cost drivers. Projects require a cost estimation method to complete them within their budget and on time. An accurate budget cannot be estimated due to the uncertainties and risks. Thus some additional money should be funded in addition to the base budget as a contingency reserve for identified risks and a management reserve for unidentified risks. While research on contingency reserve for identified risks included in project budget baseline have been presented, research on management reserve for unidentified risks included in total project budget is still scarce. The lack of research on estimation method and role of the management reserve have made project managers little confidence to estimate project budget accurately with reasonable basis. This study proposes a practical model to estimate budgets including contingency and management reserves for not only project cost management but also to keep the balance of organization’s total funds to maximize return on investments for project portfolio management.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model are demonstrated by its application to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and the processes to apply this model for verification are also provided.
        4,000원
        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질산태 질소의 공급수준이 알팔파의 영양생장기 동안의 질소동화와 성장 및 재생기간 동안의 뿌리조직내 전분과 질소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0.2, 1.0 및 3.0 mM KN 하에서 10주 동안의 영양생장 후 건물 및 질소 화합물의 식물조직내의 분포를 분석하고, 24일간 1차 및 2차 재생을 각각 시킨 후 뿌리조직에 축적된 전분과 질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10간의 영양생장 후 건물과 질소화합물의 함량을 1.0 mM 처리구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4,000원
        1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arbohydrate and soluble protein reserves and regrowth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cutting height were investigated over four regrowth cycles of turf-type perennial ryegrass(Lolium perenne L. cv. preludeII). When the plants were at the full-vegetative
        4,000원
        11.
        199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ussicu napus L.) was sown at 10 day> interval from Sep. I to Nov. 1. Field-grown palnts were samp
        4,000원
        12.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Brassica napus L.) was sown on Sep. 1, 1994. Experimental plots were divided into three replicates u
        4,000원
        1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val or regrowth yield. Forage rape (Brassica napus L.) was sown by three seeding densities of 5, 15 and 25cm interval among plants on
        4,000원
        14.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organic reserves on winter survial or regrowth yield. Dry matter, nitrogen and non-structural carbohydrate content of plants grown under or of culture temperature d
        4,000원
        15.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장마후 예취시에 많은 그루터기의 고사가 일어나 초지가 황폐화하는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장마기간에 목초의 생육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인 그루터기내 저장탄수화물 함량의 변화- 토양중의 수분함량 및 온도 초지내의 온도, 습도 빛 광도와 같은 미기 상을 장마기간동안에 조사하였다. 조사는 1984년 6월부터 7월사이에 실시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갇다. l 목초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장마전 예취시 예취후 3일째에 약 2.9%로 떨어졌으
        4,000원
        16.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수단그라스계 잡종의 수량, 그루터기의 저장탄수화물 및 주수저하에 미치는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의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3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부속실험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실시되었으며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파종량은 사초수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질소시비수준에 의한 사초수량의 차이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높은 질소시비 수준에서 최대 건물수량이 생산되었다.2.1회 예취시 파종량과 질소시비수준은 공히 저장탄수화물 수준
        4,000원
        17.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Sorg hum bicolor (L.) Moench)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예취후(刈取后) 그루터기의 고사(枯死)와 저장탄수화물함량(貯藏炭水化物含量)에 미치는
        4,000원
        18.
        198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本) 시험(試驗)은 여름철 청예사초(靑刈飼草)로서 이용(利用)이 급증하고 있는 수단그라스계(系) 잡종(雜種) [수수-수단그라스잡종(雜種); Sorghum bicolor (L.) Moench] 중 우리나라에서 생산성(生産性)과 적응성(適應性)이 가장 우수(優秀)하다고 인정된 Pioneer 988을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질소시비수준(窒素施肥水準)과 예취(刈取)높이가 신지(新枝)(측지(側枝) 및 분얼경(分蘖莖))의 발생(發生), 건물중(乾物重) 및
        4,000원
        20.
        202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this day, conflicts have intensified between managers who want to preserve biosphere reserves and citizen who want to develop them.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establishment of a forum for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and to promote the economic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while preserving biodiversity. First, in terms of conserv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Gyeonggi Province and Namyangju City highly valued direct conservation activities in biosphere reserves, whereas Pocheon and Uijeongbu City highly valued indirect conservation functions through management or monitoring. Second, in terms of develop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oles, perceptions and responsibilities with respect to biosphere reserves among the different layers of government: the central government agenc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metropolitan government, Gyeonggi-do, and the local governments, Pocheon, Namyangju, and Uijeongbu. Third, in terms of logistical support, which serves as a function for communication and practical participation among management entiti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decision-making organization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operation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active participation. The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c reference for developing efficient communication by management entities in protected areas with similar challenge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