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ncentration of VOCs, NO2 was measured both inside and outside residential homes surrounding an industrial complex.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the area of the industrial complexes and around 10 km away from the industrial complex area. Benzene did not exceed the air quality standard value. Toluene exhibited a high value of concentration in outdoor Yeosu investigated group. The concentration of NO2 is higher than outside concentrations of houses in both inside housing research group compared with the group of Gwangyang and Yeosu. Benzene and toluene showed high correlation (p<0.001) in the housing interior in Gwangyang,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p<0.01) in the housing interior in the comparison group. In Yeosu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p<0.001)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in the survey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only high correlation (p<0.05) in the inside of the housing.
본 연구에서는 주거환경의 다양한 변수들이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거 환경 요소와의 연관성에 대한 규명과, 주거유형과 주거환경 요인별로 비공식적 지역사회 통제력을 약화시키는 지역공동체의 집합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로 인한 범죄의 두려움과 범 죄피해 경험을 조사 연구하였다.
주거환경 요인은 주거유형별로 지역사회의 사회구조적・물리적 환경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주거환경 요인의 영향은 범죄피해 원인으로서의 환경요소 중 하나로 지역사 회의 비공식적 사회통제에 큰 역할을 담당한다. 비공식적 사회통제는, 특정 지역환경에 대 한 소속감과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을 바탕으로 한 사회통합, 이웃간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 해 동원될 수 있는 지역사회 수준의 잠재적 자원인 사회자본, 지역의 사회적 통제 내에서 지 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원들의 역량 결집과 함께 시민 상호관계 및 기대감의 공유 로 나타나는 집합효율 등으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주거유형과 주거환경 요인에 따라 무질서・ 집합효율성 저하・주거의 불안정 등 지역사회 통제력 약화의 원인으로서 차이를 보이고 있 다. 아파트 거주자가 다른 주거환경의 거주자에 비해 범죄피해 경험과 범죄의 두려움이 낮 게 나타나는 것은 사회통합・사회자본・집합효율 등의 비공식적 사회통제가 범죄발생 및 예 방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주거환경에서의 거주자들이 갖는 범죄피해 경험과 범죄의 두려움 감소를 위 해 사회과학분야의 제도와 함께 도시공학 및 건축공학과 연계된 제도로서 아파트・단독주 택 및 연립주택 등의 주거환경에 대한 치안・방범 기능의 확보방안으로 ‘방범환경 인증제도’ 와 같은 법적 제도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또한 다양한 주거건축물의 건설 단계별 중 주거유형과 주거환경 요인에 의한 범죄발생의 책임 소재 규명 및 이에 대한 건설 이해당사자 간의 범죄피해발생에 대한 주거환경 건설책 임자가 갖는 분쟁 해결방안 검토 등 구체적인 후속 연구를 통해 범죄의 두려움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한 주거환경 확보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e 1940s and 1950s were a period of both great chaos and great change for the Jeju region. The April 3rd Incident of 1948 and the ensuing Korean War, beginning in 1950, were events that altered society greatly, but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how these events impacted residential architecture. Furthermore, as the related sources and materials from this period are somewhat lacking, there appears to be a ne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se sources and materials to help us better understand the impact of these events on residential architecture. This research aims to serve as a basis for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assets by analyzing the historical sites related to the April 3rd Incident and the distribution of residential architecture from that period.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analyzing original source documents and by visiting relevant sites. First, for the original source documents, we selected newspaper articles from media organizations and periodicals from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at what we deemed to be relatively objective and the most factual. Second, for the on-site visits, we surveyed some still-existing residential architecture and analyzed the testimonies of residents who lived in those areas. Analyses of residential architecture typically include design, space, material, composition and facilities, however our analysis focused primarily on design and space. Based on sources from the April 3rd Incident, we analyzed the residential architecture as being characterized by damage spatial distribution, especially in areas where the leaders of the suppression were concentrate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lost villages, places of refuge, massacre sites, and fortresses designed primarily for defensive purposes was interesting, but we interpret it to be a reflection of the strategy of suppression by the punitive force. In addition, in order to rebuild the society after the Korean war of the 1950s, refugee camps were constructed and destroyed homes were rebuilt. With the exception of temporary fortress built primarily for defensive purposes,these were built with materials that were totally different from traditional Jeju architecture, such as cement and wood. The most interesting differences, however, were those of design and space composition. This research was limited by the fact that we did not analyze the specific years of completion or the size of the structures, and thus there still remains a need for a survey of diverse source materials and research.
이 연구는 1930년대 경성의 조선인과 일본인의 주거지와 공업활동을 분석한다. 1930년대는 한반도의 공업화가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경성은 당시 공업화의 핵심공간이었다. 이 연구는 경성공업의 공간적 분포를 조선인과 일본인의 두 민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특히 기존의 근대 한국의 인문·사회적 공간현상에 대한 연구가 정성적 접근에 제한된 바, 이 연구에서는 근대 데이터를 정량화하여 공간통계적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성은 민족에 따른 주거지 분화가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주거지 분화는 주요 민족 별 공업 분포에도 반영되었다. 하지만 공업의 공간적 분포는 민족 별 주거지 분화 뿐만 아니라 지가 등 다른 많은 요소들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근대 역사 자료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으로 학문적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dor arising from the Cheong-ju industrial complex area for odor materials confirmation, and to predict the impact of the odor in the residential area using the CALPUFF Model. Among the odor causing substances in the area with a rising number of collective complaints due to odor, methyl sulfide, acetaldehyde, propionaldehyde, n-buthylaldehyde, n-valeraldehyde and styrene were detected. Odor causing substances detected in the area surrounding the industrial complex include ammonia, hydrogen sulfide, n-buthylaldehyde, toluene, xylene, benzene and styrene. Using the CALPUFF Model, it was predicted that 1hr average was 3.981~7.553 OU/m3 and 24hr average was 1.753~2.359 OU/m3. In terms of odor intensity, the predicted 1hr average was 0.6~0.9 and the 24hr average was 0.2~0.4.
This study is carried out in order to propose a drought risk assessment methodology. This methodology is required to deal with practical questions that a variety of stakeholder often raise in the course of discussions on mitigation measures. With a focus on the socioeconomic aspect of drought, more particularly, residents’ hardship from water scarcity, it suggests basic concepts and a system of methods in order to assess hazard, exposure, vulnerability and risk. The case study shows a considerable possibility of the methodology in evaluating potential levels of damages in a certain area, in identifying the boundary of districts where risk is disproportionately concentrated, and also in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risk factors of those districts. The authors think that the proposed methodology is able to offer risk information in terms of socioeconomic damages, and therefore contribute to reducing information gaps that policy-makers are currently encountered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ts residential spaces through the analysis of exterior space and interior space at Wu-lin Village(烏林屯) in Jiao-he, China.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documentation, interview, residents, make a survey of these villages about immigration history, surroundings, topographical keynotes, administration system, residential number, residential style, site composition, etc.
The residents moved from Yen-bien and Jiao-he in China etc. The ancestor moved from North of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of Korea, North of Ham-Gyeong Province in North of Korea etc.
The main road divides the village into two parts: the north quarter, Wu-lin Village, typified by the Chinese house, and the south quarter, You-Yi Village(友誼村), typified by the Korean-Chinese house. The houses is compose of main building and an accessory building. The main building looking south. The vegetable garden is around main buildings. The main building is compose of an On-dol room(a hot-floored room) and a kitchen, a corridor etc.
The world energy crisis and the universal interest in comfort buildings are not only leading the thriving Passive House and Nearly Zero Energy House strategies but also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higher performance HVAC systems and alternative energy sources for occupants and sensible energy consumption. However, household appliances have been used to control the indoor environment such as humidifiers, dehumidifiers and air cleaners are became popular, occupants have come to rely on these appliances heavily and are overusing energy on indoor environment manage easily and quickly. In addition, the intense air tightness of current residential buildings makes possible to reduce harmful outdoor conditions but has made the indoor environment isolated from the outdoors. As well,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and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have broken the natural bond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As high-rise, air tight buildings have become the most common residential building type in South Korea, occupants in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inevitably lose the chances to have the natural environment by the change of season to feel the warm sunlights of spring and the dry leafy smell on an autumn breeze. In this sense, regional weather data was analysed to establish comfort residential building strategies that commune with nature and o
근래 국내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에는 철근콘크리트구조가 보편적으로 적용되는데,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은 시공 시점에 따라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중인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에 대하여, 시공 시점별 구조 안전성 및 횡력저항성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제 모델로 탑상형의 초고층 주상복합 60층 건물을 선정했고, 기존의 범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각 시공 시점별 10층, 20층, 30층, 40층, 50층, 60층 완료모델과 60층 완공단계 모델의 구조성능을 비교하였다. 구조성능 비교를 위해 이 모델들의 고유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횡력저항성능과 부재별 단면성능을 검토하였다. 횡력저항성능 검토를 위해 횡변위비와 층간변위비를 검토했고, 부재별 단면성능 검토는 완공단계에 대한 설계강도비와 시공단계의 설계강도비를 비교하여 부재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시공 중인 철근콘크리트 초고층 건물의 구조 안전성을 검토하고 시공단계에 적합한 구조해석 및 설계하중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tudy of odor generation conditions in urban areas which were outside odor controlled(or management) area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and instrumental analysis in Incheon city. From the study the generation of odor from residential sources and industrial sources was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Odor intensity was high in industrial regions in the afternoon, but was low in school regions in urban areas. From the analysis, more effective regional policy suggestions to address different kinds of odor problems in urban areas are proposed.
본 연구는 노인주거복지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한 조직구성원의 조직 몰입과 직무만족에 중요성에 주목하였고, 검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리적 임파워먼트은 직무만족에 대해 각각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주거복지시설 종사자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몰입 과 직무만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심리적 임파원먼트의 의미성은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 한 자기권한에서도 정서적 몰입, 계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과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검증결과 제시한 4개의 가설들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무몰입, 심리적 임파워먼트, 그리고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로써 직무몰입과 직무만족 이론적 발전에 기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들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주거시설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정신장애인 주거시설 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가족의 보호부담과 가족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주거시설에 대한 양적 확대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요구된다. 주거시설이 정신장애인 가족의 보호부담을 감소시키고 정신장애인가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면 가족과 정신장애인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주거시설이 전국에 고르게 분포되어야 한다. 연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주거시설의 필요성은 주거시설 이용여부와 관계없이 정신장애인 가족에게 높게 인식되고 있으므로 모든 지역의 정신장애인 가족이 주거시설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보장하여야 한다. 현재, 주거시설 분포 지역격차가 심한 편이므로 주거시설서비스 제공에 대한 지역적 편차를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주거시설 서비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주거시설 입소기간 최장 3년이라는 규정사항을 보완하여 정신장애인의 기능과 여건에 맞도록 퇴소기한을 차별화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욕구와 목표를 개별화하여 생활훈련과 더불어 체계적인 독립준비를 할 수 있도록 단계적인 주거시설 인프라 구축 및 서비스를 제공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주거시설입소비용에 대한 개선과 함께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정신장애인의 독립주택을 지원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가족을 위한 가족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주거시설을 회원의 월별 기록 등을 가족에게 보내거나 외박 시 가족과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여 가족이 회원의 재활과 독립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도록 개입을 하여야 할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paper is investigate noise source at metal material product manufacturing plant and create noise map for predict noise. The plant is located close to a residential area, and residents noise exposure damage expected. Through this research 68 points noise sources were measured. And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30 percent of noise sources are measured above 90dB(A). Based on this measurement results were create a noise map, and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ed noise and the background noise. The noise maps were calculated by noise prediction software using measurement data, GIS data, ESRI SHP files and actual survey data. As a analysis result, metal material products manufacturing plants are will have an effect by noise on the nearby residential area.
본 연구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주택의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최적의 주택 가격 결정 모형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두 가지 접근 방법으로 서울시 아파트 가격을 분석한다. 첫째, 선형회귀모형, 공간회귀모형, 그리고 다층모형 등 기존의 방법론을 기초로 주택가격 결정요인을 설명하고, 둘째,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다층모형을 새롭게 적용하여 분석 결과를 비교했다. 구체적으로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아파트의 물리적 특성, 해당 지역의 주변환경, 교육환경, 지역속성을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다층모형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부동산 관련 연구들이 공간적인 요소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제약을 극복하고 가격 결정 요인 분석 결과를 통해 경제 정책 수립을 위한 주택시장 진단에 도움이 되는 지리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arly use of Da-bo tap and their transformation by analyzing the various meanings of the term pagoda in Chinese translations, the Sanskrit version of the Lotus Sutra, as well as Dabotap in the Mogao Caves of Dunhuang. In addition, we aim to highlight changes in Dabotap usage, which started out as residential spaces, but transformed into burial spaces over time. The detai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arly Buddhist monuments were usually either pagodas serving as burial places for the dead or shrines that were not. A Dabotap is a type of pagoda enshrining the body of Prabhutaratna, and was initially used as a residential space, rather than a burial place for the dead. Second, the terms stupa and caitya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in the Sanskrit scriptures, and stupa is also further classified into dhatu, sarisa, and atmabhava based on the object being enshrined. In Gyeon-bo-tab-pum, the preconditions for caitya to transform into stupa is presented by explaining that worshipping the space enshrining the body of Prabhutaratna is worthy of the same status as the space enshrining sarira. Third, the Mogao Caves of Dunhuang had been depicted from the Western Wei of the Northern Dynasties until the time of the Yuan Dynasty. It was used as a residential space until the early Sui Dynasty, but was used as both residence and burial places until the Tang Dynasty when pagodas were first being constructed with wheel or circles forms on top, which then gradually changed into stupa (grave towers).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독립적으로 쉽고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거환경을 수정하고, 노인 스스로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지각수준의 변화를 클라이언트의 특정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 대한 독립성, 어려움과 안전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그 변화 및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에서 실시한 가정환경수정 대상 10가구였다. 연구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동년 12월까지 3개월간 이었다. 평가도구는 주거 환경 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독립성, 어려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를 사용하였다. 평가는 가정환경수정 전과 후 2차례 이루어졌다.
결과 : 독립성에 대한 평과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독립성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반하여(p>0.05), 어려움에 대한 평가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어려움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안전성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안전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가정환경수정이 농촌지역 거주 노인에게 있어 거주지 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제거와 함께 일상생활활동 증진에 의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In 2013, the Chinese government formulated the "Action Plan for Green Building ", which focuses on the task clearly should actively promote the construction of rural housing. In this paper, for the question about how to promote the cold region of China rural house green, put forward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tial priority, to save energy resources as the most important,and to use pervasive technology-based applications as the main content,which is basic principles.The paper also proposed four technical strategies for a new house on the village is to use local natural resources, to optimize the desig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to reduce shape coefficient to adjust the layout,to improve the insulation properties of architecture maintenance in structure increases.And with the above principles and technology strategies,I design a green rural house which refl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region.
Housing problem is one of the most basic human problems. This paper refer to primary ecological concept of the traditional local-style dwelling houses, try to find a way, put the traditional ecological concept into use for modem residential buildings, study the applicability between traditional local-style dwelling houses and modem residential buildings.
By selecting rural residential houses of Jiaozuo region as the research object, paper analyzes local residential houses' origin, formation and development. Base on searching literature study, field research, and summarizing the previous analysis methods, firstly, describe the form of rural residential houses in Jiaozuo region; secondly, analyses the causes of architectural evolution; lastly, summarizes the evolution laws. Then combined with related domestic and abroad instance, paper is to propose reasonable advice and strategies for preservation and update the rural residential houses in Jiaoz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