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vestigating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riverine wetlands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particle size, color, and type) and chemical properties (organic, inorganic, and moisture contents) of sediments in Samrak wetland, located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area in Busan, South Korea. The particle siz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values for the coarse grain and the mixture of coarse and fine grains ranged from 2.03 to 3.49×10−1 cm s−1 and 7.18×10−3 to 1.24×10−7 cm s−1 , respectively. In-situ water quality and laboratory-based chemical analyses and radon-222 measurement were performed o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 the wetland and water from the nearby Nakdong River.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amrak wetland was characterized by the sediments in the vertical and lateral direction. The concentrations of chemical components in the wetland groundwater were distinc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akdong River water though the wetland groundwater and Nakdong River water equally belonged to the Ca-HCO3 type.
        5,500원
        2.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습지의 훼손과 파괴에 따른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습지의 기능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습지 보존과 보호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하도습지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방안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합리적인 습지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습지가 가진 특성과 기능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습지가 수행하고 있는 기능을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습지 기능평가 방법 중 수리·수문/지형/생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HGM(Hydrogeomorphic) 방법이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대상습지가 기준습지보다 기능이 우수할 경우 오히려 기능지수가 낮게 산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습지의 기능을 파악하여 습지 관리방안 수립에 활용하고자 수정 HGM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정 수문지형학적 방법을 임진강 하도습지에 적용하여 기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임진강 하도습지는 우포늪과 거의 유사한 수준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는 향후 다른 하도습지의 기능평가 수행 시 기준습지 선정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다 정확한 기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초자료에 대한 중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자료구축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주기적인 기능평가가 수행된다면 하도습지의 관리와 보존방안을 수립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