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changes in surface shape and pore size observed in carbon black particles isothermally oxidized in an air atmosphere according to their burn-off ratio. Carbon black materials were fed into a horizontal tubular furnace in an air atmosphere when the inside temperature reached 600 °C. Subsequently, while changing the isothermal oxidation time, carbon black samples with different burn-off ratios were obtained, i.e., 10.5, 20.0, 30.4, 41.0, 49.9, 59.8, 71.1, and 81.0%.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revealed that the observed carbon black particles were in the form of aggregated primary particles, an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the particle size of these primary particles as the burn-off process proceeded. The latter observation supported the observation that pores were formed in the carbon black samples during the burn-off process. Notably, the Brunauer–Emmett–Teller analysis exhibited hysteresis curves, indicating that the corresponding adsorption isotherms were of IV-type. It was also found that the area of the hysteresis curves increased as the burn-off process proceede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raw carbon black sample was 58.00 m2/g, while that of the 81.0% sample was about 4.1 times the figure at 240.27 m2/g. The total pore volume VT was 0.17 cm3/g for the raw sample, and it was much higher for the 81.0% sample at 0.58 cm3/g.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alysis showed that the raw carbon black particles had a spherical shape with a smooth surface, but inner pores were not observed. In the 49.9% sample, pores with a size of about 5 nm were observed inside carbon black particles. Notably, the size of the pores observed in the 81.0% sample was about 20 nm and the large pores were created by the collapsing and merging of the smaller pores by oxidation.
        4,200원
        2.
        200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구강 등 산업용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카바이드 계 재료는 입자 크기 및 분포에 따라 기계적 성질이 변화하므로, 이를 제어하고 조절하는 기술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TiCN-WC-Co 복합초경계 에서 소결 공정 및 조성변화에 따른 입자 모양을 관찰하고 이에 따른 업자 성장 거동을 고찰하였다. 일반적으로 입자 조대화 양상과 고상 입자의 모양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각진 입자의 경우에 는 계면이 원자적으로 singular 하여
        3.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활주선 선형을 갖는 고속어선의 저항특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제 1단계로서 단면형상 및 장-폭비와 저항특성과의 관계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고속 활주형 어선을 개발하기 위한 초기연구로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 4가지 단면형상에 대한 저항 특성 - 4가지 장-폭비에 대한 저항 특성
        3,000원
        4.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풍향풍속계는 실시간으로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는 기상관측기구로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항만, 조선소, 해상구조물, 또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크레인에 장착되어 작업가능 여부를 알리거나 전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시스템과 연동되어 사용된다. 로드 셀형 풍향풍속계는 4개의 수풍부에 연결된 로드 셀의 하중 합을 이용하여 풍속을, 하중 비를 이용하여 풍향을 측정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풍향에 따른 인접한 두 수풍부의 하중 비는 날개 주위에 와류로 인해 불규칙한 값을 보이게 되며, 이는 풍향 오차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세 가지 수풍부 형상에 따른 하중 비를 분석하고,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수풍부 형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풍부 형상에 따른 하중 비를 비교하기 위해 ANSYS CFX를 사용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설계변수로 0도에서 90도까지 11.25도 간격으로 9가지 풍향조건을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