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버섯 수확후배지를 바이오매스로 활용하 고자 수행하였으며, 적정 전처리 조건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버섯 수확후 배지의 전처리방법 중 알카리 처리가 리그닌 함량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면서, 당전환 율이 우수하였고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가 당전환율 80.7%로 가장 우수하였다.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에 1% NaOH를 이용한 알카리 처리시 전처리 온도별 성분분석 결과 120℃처리시에 glucose 25.3%, xylose 14.8%로 유 리당 함량이 가장 높고, 효소에 의한 당전환율도 66%로 무처리구 28.2%에 비해 2.3배 증가되었다. 촉매제 농도 (NaOH 0.5~2.0%)에 따른 당분석결과 glucose 함량은 촉 매제 농도와 관계가 적었으며, xylose와 arabinose는 촉매제 농도가 높을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당전환율은 NaOH 1% 처리시에 66%로 가장 높았다.
        4,000원
        2.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은 우리나라 국민에 기호성이 매우 높으며, 가장 많이 생산 소비되는 대표적인 버섯이다. 소비적 측면에서의 영양학적 가치 증진과 생리대사적인 측면에서의 흡수기작에 대한 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 배지내 당첨가에 따른 자실체의 당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톱밥 배지에 4종의 당을 첨가한 배지에 수한1호, 여름느타리, 춘추2호를 재배하여 자실체를 분석한 결과 단당류로는 Fructose, Glucose, Ribose, Xylose, 이당류는 α-Lactose, Tre-halose, 당알콜류는 Glycerol, Mannitol, myo-Inositol, Sorbitol의 성분이 검출 되었다. 모든 처리에서 발견되는 성분으로는 Trehalose, Mannitol, α-Lactose, Fructose, Glucose, Ribose, myo-Inositol 등이며, 나머지 성분은 일부 처리에서만 발견되고, 많은 함량의 순서는 품종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었다. 자실체 내의 단당류는 함량 자체가 낮고, 공시품종 중에서 수한1호가 다른 품종에 비하여 약간 높았다. 처리된 당종류 및 처리함량의 증가에 따라 자실체의 성분함량이 뚜렷이 증감되는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배지에 처리된 성분중 Lactose는 처리량의 증가에 따라 모든 품종에서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자실체의 Trehalose 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배지의 첨가량에 따른 영향은 보이지 않았다. 자실체 내의 당알코홀류는 수한과 춘추2호에서는 높은 편이나 여름느타리버섯에서는 낮아 품종간 차이가 있었다. 자실체의 Mannitol 함량은 배지의 당첨가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myo-Inositol은 수한과 춘추2호에서 처리량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여름느타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을 확인 할 수 없었다. 배지에 처리한 당류중에 처리량 증가에 따라 자실체의 함량이 품종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것은 α-Lactose 뿐이었으며, 자실체에서 발견되는 성분들은 배지성분의 흡수보다는 자실체 내의 대사기작 내에서 합성 또는 전환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앞으로 더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수요가 많은 식용버섯 중 팽이버섯을 대상으로 저장기간 중에 발생하는 자실체 내의 당 종류 및 함량변화를 검토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자실체에는 단당류로는 xylose 및 glucose, ribose, 이당류의 당은 lactose 및 trehalose, 당알코홀류 는 glycerol 및 mannitol, myoinositol, sorbitol 등이 확인되었다. 팽이버섯에 가장 많은 것은 단당류인 xylose로 백색계열은 47.68㎎/g, 갈색계열은 63.28㎎/g로 갈색계열의 함량이 높으며,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당 함량은 단당류 및 이당류, 당알코올 모두 저장 시간이 증가하면서 같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trehalose는 감소하였다. 저장온도에 따라서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lactose는 4℃ 저장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 저장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4,000원
        4.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understand the saccharide contents and quantity of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ccording to its growth temperature, we measured the saccharide contents at different growth temperature. In our results, the saccharide of its fruiting body turned out to be mainly composed of xylose, trehalose and mannitol in all treatments. In the other hand, Ribose, myo-inositol and sucrose were detected in some treatments. The quantity of trehalose decreased as the growth temperature increased with a variation of its quantity depending on the isolates used in the experiments. In the case of xylose and mannitol, detected in all treatments, the pattern of their quantities was not possible to be profiled and the pattern might be largely depending on the isolates. However, the quantities of xylose and mannitol were largely in a direct proportion and the fluctuation of their quantities was congruent with the exception of ASI 4103, ASI 4166 and ASI 4065. The xylose quantity of ASI 4103 and ASI 4166 increased until the temperature was up to 10℃ and decreased when the temperature was above 10℃. That of ASI 4065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rose and increased when above 13℃. The mannitol quantity of ASI 4065 and ASI 4166 decreased until the temperature was up to 10℃ and increased when the temperature was above 10℃. That of ASI 4103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ose and decreased when above 13℃.
        6.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based on the utilization of pine mushroom for processing products by development of pine mushroom Jung-Gw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Pine mushroom Jung-Gwa were prepared with four different amounts (20, 30, 40, 50%) of honey. Pine mushroom Jung-Gwa color value was the highest by 20% soaking honey-water product and 40% soaking honey-water product was the lowest. Strength and hardness of 20% soaking honey-water product was the highest. Appearance to product of 50% soaking honey-water was the highest preference by all age of except 20's. The honey content of more and more external appearance preference was became higher. Product of 40% soaking honey-water was best by flavor of pine mushroom Jung-Gwa. A sugary tastes comparison 50% soaking honey water to 40% soaking honey water was not distinction. The texture was appea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products of 20%, 30% soaking honey-water. Product of 20% soaking honey-water was favorite in 20's and product of 30% soaking honey-water was favorite in 30's. In overall preference test for pine mushroom Jung-Gwa of 40% soaking honey water was preferred by all age. Oligosaccharide helped geriatric diseases and cheaper. Thus this study used oligosaccharide but the result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pine mushroom Jung-Gwa products quality by comparison honey-water to oligosaccharide. Therefore oligosaccharide utilization products was thought worth a lot more by processing price and functional.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