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지・건물 배분비율은 부동산의 일괄가격에 대한 토지가격과 건물가격의 구성비율을 의미하는데, 과세표준 산정 및 법원 경매 등 행정 목적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는 단독주택의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토지・건물 배분비율을 구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 결과의 활용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토지・건물 배분비율에 관한 현행 적용방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가격 배분 모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모형은 단독주택 실거래 가격에서 토지가격을 공제하는 방식이다. 모형에 투입될 단가 추정을 위해 단독주택 실거래 매매 자료를 분석하여 토지와 건물 가치 비중과 건물의 단가를 산출하였다. 이때 토지가격은 실거래가 와 관련된 다량의 정보를 종합하여 산정한 가격이고, 건물가격은 단독주택 매매가에서 토지가격을 차감한 값이다. 모형에서 산출된 결과를 기반으로 단독주택가격의 토지・건물 배분비율표와 건물단가표를 건물용도별, 지역별, 건물구조별로 세분하여 작성하고 상관관계의 변화 특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배분비율 자료는 기존에는 얻지 못하는 건물과 토지 가격의 특성에 관한 추가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유용한 보조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4,500원
        2.
        2019.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examines how inter-price relationships among base and add-on products affect the sales of a new add-on product in the mobile gaming context. Based on theories of price fairness, product familiarity and price-quality relationship, a research model was drawn and tested on a sample of 6,766 weekly observations derived from 74 base games and 514 add-on virtual goods.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relative price of a new add-on product, when compared to the base game price,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add-on product sales, but positively related to its sales, when compared to prices of existing add-on products. Furthermore, the inter-price relationships among base and add-on gaming products are moderated by visual richness and game genre. This study provides the implications for IS research and practice.
        4,000원
        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연구들은 확증적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거시경제지표, 주택정책 등의 영향이 시/도 사이에 상이함을 증명하였지만 해당 지역 내의 주택가격 변동의 역동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보다 상세한 공간 단위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의 시공간적 역동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주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 급등시기, 2008년 세계금융위기의 영향 등에서 시/도별로 큰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2006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실거래 가격 변화를 주택정책과 함께 살펴본 결과 주거안정 정책은 가격 하락을, 시장 활성화 정책은 가격 상승을 가져왔다. 정책효과는 대체로 3~5개월 지속되었다. 셋째, 가격변동이 심한 10개 시기별로 시/구 수준에서 단위가격과 변동률 및 변동액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시기별로 가격 변동을 주도한 시/구들이 상이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집분석 결과 시기별로 공간 군집의 위치와 범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또한 몇몇 시/구에서는 이웃한 행정구역 사이에 상반된 연관성 유형을 보이는 등 국지적 역동성이 나타났다.
        5,200원
        4.
        2017.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day, consumers are becoming more sensitive to price since price have been an essential motivation for them to choose the electronic retail venue. Recently, it is recognized that social commerce, with higher rate of daily active users, is ahead of traditional electronic mobile commerce in Korea. One of strengths in social commerce is attractive price deals for fashion brands, which positively lead to purchase probabilities. Therefore, fashion retailers should understand consumers’ price perception and their responses toward sales promotions on the social comme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umer price perception and choice heuristics on impulse buying behavior for sales promotion of fashion brand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n engagement level in the social commerc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mainly included consumer price perception (e.g., price consciousness, sales proneness), choice heuristics (e.g., affect referral, price referral), engagement, impulse buying and demographics. An online survey was undertaken by a research agency. A total of 235 usable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Korean consumers who had purchased fashion brands from social commerce sites (e.g., Coupang, Wemakeprice, Ticketmonster, etc.) using mobile devices. Respondents represent more females (n=129, 54.9%) than males (n=106, 45.1%). They are aged from 19 to 39 years old (Means=29).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sales pron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affect referral and price referral heuristics, which positively lead to impulse buying behavior. However, consumer price conscious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impulse buying at the social commerce site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ngage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among sales proneness, choice heuristics, and impulse buying behavior for sales promotion of fashion brands in the social commerce sites. This study discussed marketing implications for social commerce to effectively manage promotional program in the social commerce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