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mcho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were evaluated for total polyphenol content,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81 g and 0.72 g per 100 g of dried sample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Hamcho significantly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The scavenging activity of hydroxyl radical was 13.8~26.2% and 14.2~16.0%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conjugated diene formation was 24.6~39.1% and 28.4~39.6% in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However, pro-oxidative effect was also observed in the Hamcho extracts. The Hamcho water extract showed the pro-oxidant effect by enhancing the formation of hydroxyl radical and conjugated diene. The ethanol extract of Hamcho induced conjugated diene formation at 0.5 mg/mL but not at 1 mg/mL. The hydroxyl radical formation was not induced by the Hamcho ethanol extrac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how that Hamcho extracts can act as pro-oxidants by generating hydroxyl radical or conjugated diene in addition to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Hamcho and its use as food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because antioxidant dietary plants such as Hamcho possess possible adverse effects induced by pro-oxidant activity.
        4,000원
        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alt partially replaced by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SH). We prepared kimchi with seasonings in which salt was replaced by 0% (S00), 10% (S10), 20% (S20) and 30% (S30) SH. The salinity level of kimchi was about 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lthough lactic acid bacterial numbers of kimchi replaced with SH (S10~S30)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S00),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kimchi replaced with 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ardness of kimchi tended to in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and with SH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corrobor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pon addition of S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spite replacement of salt in kimchi seasoning by SH up to 10%.
        4,000원
        4.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performe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tests on brown sauce with different Salicornia herbacea L. (saltwort) content to find the best brown sauce recipe with saltwort. Moisture content increased with greater saltwort extract content. There was significant (p<0.001) pH difference with saltwort content. There was also significant (p<0.001) sweetness difference in the samples and sweetness increased with greater saltwort content. Viscosity measured at 20℃ and 60℃ was significantly (p<0.001) lower with greater saltwort content. The brightness of brown sauce containing saltwort extracts significantly (p<0.001) increased with greater saltwort content and its redness and yellowness usually decreased. SPS4 with the greatest saltwort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of 4.25% and DPPH radical removal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with greater saltwort content. In the sensory test, the color value was lowest at 4.82 with BSL1 and the flavor value was lowest at 5.00 with BSL0, the control group. The taste and the flavor values were highest with BSL2 with 2% saltwort content. Overall acceptance was highest with BSL3, the brown sauce with 3% saltwort content, at 6.09.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brown sauce with 3% saltwort content was most suitable.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saltwort with various functions could be used for food and may be used to replace salt and have other functions in brown sauce, a popular sauce consumed in Korea.
        4,000원
        5.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ybean powder is a readily-available food ingredient. Furthermore, saltwort powder is an herb with various physiological effec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prepared with 0, 4, 8, and 12% saltwort powder. We measured Hunter's color values,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The result of each analysis is as follow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s with saltwort powder. The ash content increased while the fat and protein content decreased as the ratio of saltwort powder increased (p<0.001). In the analysis of color differences, the L, a, and b values decreased as the ratio of saltwort powder increased (p<0.001). The hardness (p<0.001) of the groups increased as the ratio of saltwort powder increased, but adhesiveness decreased. Sensory evaluation data showed that softness, hardness, and chewiness decreased while color increased as the ratio of saltwort powder increased. Finally, aroma, sweet taste, nutty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as shown to be best for the 4% addition group.
        4,000원
        6.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Constipation is can refer to bowel movements that are rare or hard for pass. Constipation is common symptom in current people and the treatment of constipation focused on the use of medicines or physical intervention. The aim of this study are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odified-extracts of Salicornia herbacea (S. herbacea) L. on constipation model. Methods and Results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se extracts on constipation model with Sprague-Dawley rats by loperamide administration, we orally administered various dosage of modified-extracts of S. herbacea. L. Then, we checked constipation-related parameters such as fecal number, colon weight, colonic transmit length, colon length as compared to the controls and ameliorat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dified-extracts of S. herbacea. L. was ameliorated constipation in SD rat model.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modified-extracts of S. herbacea L. and its many ingredients were considered to have effects on constipation.
        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명아주과(Chenopodiaceae) 식물인 함초(Salicornia herbacea L., SH) 추출물이 단백질 합성과 항독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배양 C6 glioma 세포를 재료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에서 CdCl2는 배양 C6 glioma 세포에 처리한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이 때 중간독성값(midcytotoxicity value, MCV)은 50μM에서 나타나 고독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학현미경적 관찰에 있어서, CdCl2의 처리군에서는 세포수와 세포돌기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FSH 추출물 전처리에서는 CdCl2의 처리군에 비하여 현저한 세포수와 세포돌기의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acetaldehyde(ACE)는 배양 C6 glioma에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단백질 합성에 대한 냉동 함초(freezed-SH, FSH) 추출물은 CdCl2로 감소된 단백질 합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또한 항독효과에 있어서도 ACE의 독성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ACE에 대한 항독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냉풍 함초(cold-SH, CSH) 추출물은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 FSH 추출물 처럼 CdCl2의 처리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항독효과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함초 추출물은 단백질 합성능과 항독효과를 나타냄으로서 건강증진을 위한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8.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퉁퉁마디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한 자료로 전남지역(해남 황산면, 신안 증도면, 영광 염산면)의 퉁퉁마디를 6월부터 10월까지 채취하여 구성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폴리페놀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3지역 퉁퉁마디의 구성아미노산은 6월부터 9월까지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10월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9.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유용 자원식물인 함초를 식품 및 식물자원으로서 이용가치를 높이는데 있어 그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해안 갯벌에서 채집하여 건조, 분쇄한 함초분말 시료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식이섬유, 총 당, uronic acid 등의 함량이 각각 60.66, 15.2 및 2.6%를 나타내었다. 식이섬유는 다른 자원들 보다 훨씬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린 및 비테인의 함량이 각각 29와 888mg/100g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함초에는 Na(2880mg/100g), Ca(440mg/100g), K(930mg/100g) 및 Mg(356mg/100g) 등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함초를 이용한 유용 가공제품의 개발 가능성이 크게 기대되며, 아울러서 앞으로 함초를 경쟁력있는 고기능성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10.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퉁퉁마디 자생지, 염전, 폐염전(간척지) 토양 분석결과 토성은 식양질이며, pH는 알카리성이었다. 전질소와 인산은 용탈에 의해 결핍된 상태이나, 치환성 양이온인 K, Mg, Ca은 풍부하였다. 염류농도는 0.70~3.15%이었다. 염분 농도에 따른 퉁퉁마디 초장 성장 상태를 살펴본 결과 1~4%의 토양염분조건에서 초장 성장과 생존률이 좋았으며, 고염의 토양에서는 성장이 둔화되고,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비조건에 따른 퉁퉁마디 성장 실험에서는 질소의 경우 7~9 kg/10a에서, 인산의 경우는 첨가비율이 가장 많은 12 kg/10a 조건에서 퉁퉁마디 초장 성장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칼륨의 경우에서는 비처리구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처리 조건간에는 초장 성장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염분과 온도조건에 따른 발아실험의 경우, 실험 조건내에서 염분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온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염분과 온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고려할 경우, 저염조건 0~5/‰ 및 고온조건 20~30℃에서 발아상태가 좋았다. 퉁퉁마디 대단위 재배에서, 점파에 의한 단위면적당 생산량은5.40~5.90 kg이었으며, 산파 파종에 의한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4.01~4.20 kg으로 점파에 의한 생산량이 산파에 비해 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재배에 의한 생산량과 자생지의 생산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재배가 자생지 생산량에 비해 점파에 의한 생산량이 2.7배, 산파에 의한 생산량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퉁퉁마디의 약리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퉁퉁마디 추출액을 실험용 동물에 4주간 섭취시키는 실험을 하였다. 대조군은 4주간 145.5g의 체중이 증가한 반면 퉁퉁마디 추출액 20% 투여군은 128.4g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체중증가율은 대조군에서 107.8%이였으며 퉁퉁마디 20% 투여군에서는 95.1%를 보여 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율이 최대 11.8% 낮았다. 혈중 총단백질 함량과 알부민 함량은 대조군과 실험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아 체중 감소에 따른 실험군간의 영양상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간기능활성도 측정을 위한 GOT와 GPT 값은 각각 126.7~134.1 U/L, 41.1~46.7 U/L로 나타났다. 대조군에 비해서 퉁퉁마디 추출액 투여군의 혈중 콜레스테롤은 유의적(p〈0.05)으로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은 유의적(p〈0.05)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에 비해서 퉁퉁마디 추출액 투여군의 혈중 총지질함량과 중성지질함량은 유의적(p〈0.05)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퉁퉁마디 추출액은 동맥경화, 고지혈증, 지방간 등의 예방효과 뿐만 아니라 체중증가 억제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