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slands often have relatively well-preserved ecosystem and an abundance of bioresources with a high conservation value, with unrecorded species continuing to be reported (Hong, 2011). Approximately 1,000,000 species of insect known worldwide (Costello et al., 2012), and 20,710 species are known in Korea (NIBR, 2023). Among these, there are 6,117 species in Korean islands (HNIBR, 2022). Native insect Bio-scan project for Korean islands is to estimate the number of insect species on Korean islands. We attempted to estimate the number of insect species on Korean islands using Barcode Index Number (BIN), and also found unrecorded species. The samples were collected four times from April to July at five locations in the Amtedo, an island located in Shinan-gun Jeollanam-do. We tried to obtain a minimum of one to usually a maximum of four samples per morphospecies to enable DNA barcoding.
        3.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uring the decommissioning of nuclear facilities, 3D digital model that precisely describes the work environment can expedite the accomplishment of the work. Thus, the workers’ exposure to radiation is minimized and the safety risk to the workers is reduced, while precluding inadvertent effects on the environment. However, it is common that the 3D model does not exist for legacy nuclear facilities as most of the initial design drawings are 2D drawings and even some of the 2D drawings are missing. Even in the case that all of the 2D drawings are intact, these initial design drawings need to be updated using asbuilt data because facilities get modified through years of operation. In those cases, 3D scanning can be a good option to quickly and accurately generate a structure’s actual 3D geometric information. 3D scanning is a technique used to capture the shape of an object in the form of point cloud. Point cloud is a collection of large number of points on the external surfaces of objects measured by 3D scanners. The conversion of point cloud to 3D digital model is a labor-intensive process as a human worker needs to recognize objects in the point cloud and convert the objects into 3D model, even though some of the conversion process can be automated by using commercial software packages. With the aim of full automation of scan-to-3D-model process, deep learning techniques that take point cloud as input and generate corresponding 3D model have been studies recently. This paper introduces an efficient scan simulation method. The simulator generates synthetic point cloud data used to train deep learning models for classifying reactor parts in robotic nuclear decommissioning system. The simulator is built by implementing a ray-casting mechanism using a python library called ‘Pycaster’. In order to improve the speed of simulation, multiprocessing is applied. This paper describes the ray casting simulation mechanism and compares the in-house scan simulator with an open source sensor simulation package called Blensor.
        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R은 사용자가 가상 공간에 완전히 몰입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가상 세계이다. 본 연구는 스톱모션 애니 메이션을 VR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할 시 효과적인 객체 표현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 결 과 데이터는 VR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및 일반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VR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에 적용이 가 능하다. 3D 오프젝트의 변화되는 형태를 앵글별로 3D 스캔한 후 게임엔진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 한 뒤 콘텐츠에 적용하여 구현한다. 기존 스톱모션 애니메이션에서 느낄 수 있는 수작업 느낌을 살리되 디지털적인 이펙트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스톱 모션 애니메이터들이 접 근하기 힘든 영역을 작업하는데 필요한 세가지 모듈을 구현하여 실험하였다. VR 콘텐츠 제작에서 오브젝트 의 표현과 관련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이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 캐 릭터 관절의 움직임에 따른 3D 스캔 데이터 관련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4,000원
        12.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간 역동적 검사 시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호기 후 정지의 어려움을 갖는 환자의 경우 영상의 질이 저하된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GRAPPA, CAIPIRHINA, Compressed Sensing 기법을 사용하여 호흡 정지 시간을 단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cceleration factor 8, 9, 10을 적용한 CS 기법과 초기 동맥기와 동맥기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Double arterial phase 기법을 사용하여 VIBE 영상을 얻어 비교함으로써 최적 acceleration factor 값과 phase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2019년 8월 19일부터 9월 20일까지 본원에서 간 MRI 검사를 시행한 환자 15명을 대상(남자 10명 여자 5명 64±12.6세)으로 단일 호흡 정지 동안 2번 측정되는 double phase image를 사용할 때, acceleration factor를 각각 8, 9, 10으로 변화를 주고 다른 변수들은 같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획득한 acceleration factor 값과 phase가 다른 각 영상의 SNR, CNR을 측정하여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고, 정성적 영상평가와 호흡 정지 시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같은 phase에서 acceleration factor의 값이 9, 10, 8 순으로 SNR이 높았으며, acceleration factor가 8, 10일 경우 SNR이 phase 1보다 phase 2가 높았고, acceleration factor가 9일 경우에는 phase 1가 더 높았다. phase 1의 CNR은 acceleration factor 9, 8, 10 순으로 높았고, phase 2에서의 CNR은 acceleration factor 9, 10, 8 순으로 높았다. acceleration factor가 8, 9인 경우는 phase 1의 CNR이 높았고, 10인 경우 phase 2의 CNR이 높았다. 결론: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acceleration factor 9를 적용한 double phase image 중 Phase 1에서 가장 높은 SNR과 CNR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호흡 정지시간 역시 acceleration factor 8 대비 acceleration factor 9에서는 13% 감소하고, acceleration factor 10에서는 20% 감소한 효과를 얻었다. CS 기법을 사용한 간의 역동적 Double Phase 검사 시 영상의 질의 변화에 큰 유의함이 없는 상태로 acceleration factor를 조절하여 호흡 정지시간을 줄이고, 2개의 영상 중 선택하여 임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4,000원
        1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치아교정용 보철장치를 부착한 환자의 MRI 검사는 꾸준히 시행돼 오고 있다. 그러나 MRI 검사에서의 안전성에 대한 입증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3.0T MRI에서의 자기장과 RF에 의한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와의 상호작용을 실제 임상 조건으로 실험하여 안전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3.0T MRI 장치와 광섬유 온도 측정계, 온도 측정용액, 치아교정용 보철장치를 사용하였으며, 자장에 의한 왜곡 실험은 편향각과 토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RF에 의한 발열 온도 측정은 wire와 bracket을 결합한 후 온도 측정용액에 담그고, 광섬유 온도계의 온도 센서를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와 그 주변부에 설치한 후 실제 임상 조건으로 실험하였다. 결 과:고정 자기장에 의한 편향각 측정에서 bracket은 5회 측정 평균 19.88゚, Ni-Ti wire는 1.96゚, stainless steel wire는 119゚로 측정되었으며, torque 실험에서는 bracket과 Ni-Ti wire는 0점으로 no torque이었으며, stainless steel wire는 +4점으로 very strong torque로 측정되었다. RF 주파수인가로 인한 온도 변화는 Ni-Ti wire bracket에서는 임 상 조건 실험 시작 전 target 온도 21.8゚C에서 약 23분 34초간 측정하였을 때 22.2゚C로 약 0.4゚C 상승하였으며, 주변부 온도는 21.4゚C에서 22.4゚C로 약 1゚C 상승하였고, stainless steel bracket에서는 target 온도 23.5゚C에서 23.9゚C로 0.4 ゚C, 주변부 온도는 23.4゚C에서 23.3゚C로 측정되었다. 결 론:본 연구의 실험을 통해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의 RF에 의한 발열 현상에 따른 온도 변화는 크지 않고, 주 자기장에 의한 영향은 치아교정 보철장치의 자화 감수성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남으로써 주 자기장에 의한 치아교정용 보철장치의 치아 내 위치 변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6.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유방 MRI검사에서 회전 자장(B1)의 불균일성은 코일의 중심에 검사부위가 없고 우측과 좌측으로 나뉘어진 유방의 해부학적 구조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환자의 유방과 유방사이, 유방과 코일사이의 air-gap이 증가할수록 B1의 불균 일성도 증가하여 영상의 화질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최근 유방암 환자의 증가에 따라 비대칭유방 환자 및 편측유방 등 small breast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체 제작한 phantom과 다양한 B1 calibration scan parameter를 이용하여 small breast에서 B1 calibration scan parameter의 변화에 대한 평가와 영상화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검사 대상으로는 Invivo사의 breast phantom과 자체 제작 phantom을 이용하였다. 장비 사에서 권고하는 B1 calibration parameter가 최적의 조건을 나타내는지 평가하기 위한 대상으로 breast coil을 가득 채우는 Invivo사의 breast phantom을 사용하였고, 자체 제작 phantom을 이용하여 small breast일 때 최적의 B1 calibration parameter를 확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Philips INGENIA 3.0T(Philips medical system, Netherlands)이고, 신호수집 코일은 16channel Breast coil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B1 calibration scan parameter 중 slice thickness(두께)를 5, 8, 12, 15, 20 mm로 Flip angle(FA)을 20, 40, 60, 80, 100 degree로 변화시켜가며 B1 map과 e-THRIVE 영상을 획득하였다. 정량적 평가로 획 득한 영상의 우측(Rt)과 좌측(Lt)에 각각 5개의 ROI를 그려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 SNR)를 비교 분석하였고 one-way ANOVA(SPSS 18.0K for windows)로 통계 검정하였다. 정성적 평가방법으로는 B1 map profile을 통해 B1의 균일성을 비교하였다. 결 과 : Invivo phantom으로 획득한 B1 map과 e-THRIVE 영상의 SNR은 B1 calibration scan parameter의 두께와 FA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01). 두께별 변화에서는 8 mm, FA별 변화에서는 60°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체 제작 phantom에서도 B1 map과 e-THRIVE 영상의 SNR은 B1 calibration scan parameter의 두께와 FA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P<0.001). 두 영상 모두 두께가 12mm 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FA은 80°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B1 profile을 통해 확인한 자체 제작 phantom의 B1 균일도는 두께가 12 mm, FA이 80°일 때 가장 균등한 그래프를 나타냈다. 결 론 : 자체 제작 phantom의 B1 map 분석을 통해 장비사에서 권고된 parameter 변화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최적의 B1 calibration scan parameter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small breast 환자의 경우에는 B1 calibration scan parameter의 변 경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SNR과 B1 균일성이 향상된 진단적 가치가 높은 유방 MRI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4,000원
        17.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리가 다른 두 수차계 Hartmann Shark Aberrometer와 Retinoscopic Aberrometer로 측정한 연령에 따른 수차의 평균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고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방법: 원리가 다른 두 수차계 Hartmann Shark Aberrometer (KR9000-PW®￧￧, Topcon, Tokyo, Japan와 Retinoscopic Aberrometer (OPD Scan®, NIDEK Co Ltd, Gamagori,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한 연령에 따른 안구전체, 각막, 수정체를 포함한 내부의 총고위수차, 코마수차 그리고 구면수차의 평균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하고 두 기기로 측정한 수차 값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과: 두 기기 간의 안구전체의 총 고위수차량은 10대와 20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고(10s : p<0.001, 20s : p=0.002) 코마수차는 40대와 60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40s : p=0.004, 60s : p=0.021) 구면수차에서는 20에서 40대까지와 60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20s : p=0.009, 30s : p<0.001, 40s : p=0.041, 60s : p<0.001). 각막의 총 고위수차량은 모든 연령대에서 p=0.001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코마수차는 모 두 p<0.05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구면수차는 10와 30대 그리고 60대에서 통계 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10s : p=0.001, 30s : p=0.001, 60s : p=0.015). 수정체를 포함한 내부의 총 고위수차량은 60대(60s : p=0.232)를 제외하고 10대에서 50대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10s : p=0.025, 20s : p<0.001, 30s : p=0.005, 40s : p<0.001, 50s : p=0.014) 코마수차에서는 모두 통계적 의미가 없었다. 구면수차에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10s : p<0.001, 20s : p<0.001, 30s : p=0.001, 40s : p<0.001, 50s : p=0.008, 60s :p<0.001). 안구전체와 각막의 총 고위수차, 코마수차, 구면수차 및 수정체를 포함한 내부의 총 고위수차, 코마수차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정체를 포함 한 내부의 구면수차만이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수정체를 포함한 내부의 총고위수차를 제외하고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원리의 Hartmann Shark Aberrometer와 Retinoscopic Aberrometer로 수차를 측정함에 있어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 기계의 특징과 차이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임상적 정확성을 위해 계속적인 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 된다.
        18.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본 연구에서는 10대에서 60대까지의 한국인 정상안에서의 안구수차의 연령에 따른 변화를 Retinoscopic Aberrometer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인 정상안 81명 161안을 대상으로 근시, 원시, 난시를 제외한 각막이상증, 안과적 병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안과수술의 기왕력이 없는 최대교정굴절시력(Best Corrected Visual Acurity)이 20/20 이상인 피검자를 대상으로 Tropicamide 0.5%와 Phenylephrine Hydrochloride 0.5%로 6 mm 이상의 산동이 이루어지게 한 후 Retinoscopic Aberrometer (OPD Scan®, NIDEK Co Ltd, Gamagori, Japan)를 이용하여 안구전체, 각막, 수정체를 포함한 내부의 총 고위수차와 Zernike Polynomials의 4차항까지의 고위수차 중에 총 고위수차, 3차항의 코마수차, 4차항의 구면수차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안구전체의 총 고위수차와 코마수차는 연령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다. 안구전체의 구 면수차는 연령에 따라 증가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r=0.213, p=0.007). 각막의 총 고위수차량은 10대에서 40대까지 증가하였으나 50~60대에는 감소하였고 수정체를 포함한 내부의 총 고위수차량은 10~40대 사이는 감소하다가 50~60대에 증가하는 양상으로 각막의 총 고위수차의 변화와 다소 반대적인 경향을 보였다. 각막의 코마수차는 10대에서 40대 까지 증가하나 50대에서 60대로 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정체를 포함한 내부의 코마수차는 10대에서 60대까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였다(r=-0.240, p=0.003). 또한 구면수차도 10대에서 60대로 가면서 감소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안구전체의 총 고위수차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코마수차는 고 연령대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안구내부의 수차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 반면 각막의 구면수차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나 연령에 따른 안구전 체의 총 고위수차의 증가는 각막의 구면수차량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20.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Quick Response (QR) code has often been employed in promotional coupon campaigns worldwide. This research addresses whether and how curiosity, visual complexity and perceived fit jointly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scan such a code. Based on relevant theories from marketing and psychology, we posit that, while consumers with the high level of curiosity are likely to be more bound to visual complexity, consumers with the low level of curiosity tend to rely more on a good perceived fit, thus overcome the negative effects of visual complexity, forming greater scan intention. To this end, we conduct an experimental study with general consumer sample. The findings support our main prediction. In closing, we discus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hile recognizing important limitations and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