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서울과 경기도일대에서 느티나무(Zelkova serrata) 이식목을 가해하는 앞 털뭉뚝나무좀에 대한 피해가 자주 보고되고 있다. 본 종은 1983년 국내 수입재 해 충으로 처음 기록되었으며(Choo and Woo,1983), 2010년 국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보고되었다(Park et al., 2010). 앞털뭉뚝나무좀은 느티나무의 인피부와 목질부를 섭식하며, 수고 12m 이상의 수간 상부와 직경 8mm 내외의 작은 가지까지도 침입하며 피해목 대부분을 고사시 킨다. 성충의 체장은 4-5mm, 긴 원통형으로 흑갈색이며, 머리 부분에 연갈색 털들이 나 있고, 배마디는 사선으로 절단된 듯한 형태적 특징을 갖는다. 모갱은 지면과 직 각 방향으로 길이 37-50mm, 폭 2mm 내외이다. 유충갱은 모갱의 양쪽에 방사형으 로 나 있으며 90개 내외이다. 번데기는 유충갱의 끝 부분에 5mm-25mm의 용실을 만들고 용화한다. 탈출공은 직경 18-22mm이며, 성충은 연 1회 발생으로 6-7월경 피해목에서 우화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느티나무가 국내에서 조경수로서 선호도가 높아 많이 식재된다는 점을 고려하 면 본 종에 대한 피해 확대가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앞털 뭉뚝나무좀에 대 한 가해습성과 생태조사를 기반으로 적절하고 신속한 방제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더욱 필요하겠다.
        2.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enus Scolytus of the family Scolytidae comprises more than 120 species through the world. Fifteen species of the genus Scolytus are revised from Korean peninsula. The genus Scolytu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genera by combination of following characteristics: frons slightly concave or convex with vertical wrinkles; club longer than 7-segmented funicle; pronotum fairly large, shining, punctured, narrowed towards the front, turning into a more slight or distinct neck-like constriction; vicinity of scutellum deeply impressed; elytra flat with punctures densely or sparsely arranged in rows; abdominal sternites from 2nd to 5th obliquely, convexly, concavely or vertically ascendant and with or without process or tubercles at middle. Scolytus frontalis Blandford, 1894 is new record to Korea. This species was collected from living Zelkova tree, Zelkova serrata which were planted along the street. We provide the habitus of this species and its biological inform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