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2020년 동안 강원도 강릉지역의 아마란스 포장에서 진딧물류 3종(잠두진딧물,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노린재류 12종(애긴 노린재, 각시장님노린재, 풀밭장님노린재 등), 나방류 4종(흰띠명나방,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도둑나방) 등 총 7과 18종의 해충을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발생량이 많아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주는 종류는 잠두진딧물, 애긴노린재, 각시장님노린재, 파밤나방, 흰띠명나방 등 5종이었다. 진딧물류는 4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초순에 최대 발생을 보였다. 애긴노린재는 5월 중순부터 발생하여 8월 하순에 최대 발생량을 보이다가 9월 초순부터 밀도가 감소하였고, 각시장님노린재는 9월 중순부터 밀도가 급격히 늘어나서 10월 하순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흰띠명나방과 파밤나방은 8월 중순부터 유충 발생이 시작되어 10월 중순까지 아마란스에 피해를 주었다. 각각의 해충에 대한 방제구와 무방제구의 수량을 비교한 결과, 진딧물류와 노린재류에 의한 종실 수량 감소율은 각각 51.9%, 69.8%였다. 또한 흰띠명나방과 파밤나방에 의한 잎 생체량 감소율은 각각 72.5%, 36.5%였다.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경남지역 여주(Momordica charantia L.)에서 13종의 해충을 조사하였다. 그 중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rover),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목화바둑명나방(Diaphania indica (Sauder)),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이 주요 해충이었으며, 중국청람색잎벌레(Chrysochus chinensis Baly),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übner)),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Karny), 갈색날개매미충(Ricania sp.),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clavatus Thunberg), 썩덩나무노린 재(Halyomorpha halys (Stål)), 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 tenuis (Reut.)), 풀색노린재(Nezara antennata Scott) 등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해충으로 조사되었다. 목화진딧물은 주로 여주의 신초에서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5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는 주로 여주의 꽃에 발생하며 6월 중순에서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목화바둑명나방은 6월 하순, 담배거세미나방은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여주에 발생하는 주요 해충과 발생소장을 구명하여 예찰 및 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파밤나방은 배추과 채소 등 여러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중요한 나방류 중의 하나이며, 돌발적으로 다발생한 경우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제주지역에서 배추과 채소 주요 재배지역인 제주시 한림읍에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파밤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시기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트랩에 최초 유인 시기는 4월 상순이었으나 3월 온도가 높은 해에는 3월 상순에 유인되기도 하였다. Karimi-Malati et al.(2014)의 발육온도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에서의 연간 발생세대수를 추정한 결과 4∼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성페로몬 트랩의 발생 절정기별 다음 세대 성충 발생시기와 트랩 유인밀도와의 관련성을 2009년과 2010년 조사 자료에 대해 검토한 결과 연관성이 낮은 시기가 나타났다. 이 시기 NOAA의 HYSPLIT 모델(Rolph et al., 2017)을 이용하여 기류의 역방향과 순방향 궤적선을 추적한 결과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거리 이동에 관여하는 기상요인과 비래원은 6∼7월에는 장마전선 등에 의한 중국의 남중부지역이, 8∼9월에는 중국의 북동부지역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추 재배 면적이 5,160ha로 전국적으로 면적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추의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기존에 대추에 발생하지 않던 다양한 해충들 또한 발생을 하고 있는데 장님노린재의 경우 2015년 대추에 피해를 준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현재 대추에 발생하는 장님노린재류는 두 종으로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이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는 대추 발아기부터 새순을 흡즙하여 피해를 주는데 피해를 받은 새순과 잎은 정상적으로 생육하지 못하고 잎에 구멍이 뚫리는 등 비정상적인 생육을 하게 된다. 장님노린재의 경우 거의 모든 대추과원에서 발생을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추과원에서 정확한 발생 기간과 방제 약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2017~2018년에 걸쳐 2년 동안 발생 소장을 조사 하였으며, 시판되고 있는 농약 10종을 대상으로 약제 선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기별 밀도 조사의 경우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을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을 하였다. 또한 2017년의 경우 약충은 5월부터 꾸준히 발생량이 증가하다 7월 상순 많은 강우로 인해 밀도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2018년의 경우 5월과 7월에 발생량이 많고 6월에 발생량이 급감하여 마치 2세대가 나타나는 듯한 현상을 보였다. 물론 이는 더욱더 시간을 두고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약제 선발 시험의 경우 10종의 약제 중 페니트로티온 등 6종의 약제에서 방제가가 8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추에 발생하고 있는 장님 노린재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장님노린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5월부터 방제를 시작하여 초기밀도를 낮추어야하며, 이동성이 좋은 장님노린재의 성충이 외부로부터 유입이 될 수 있으므로 성충이 발생하는 7월까지는 꾸준한 관찰을 해 주어야만 그 피해를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chizandra chinensis(Turcz.) Bail is one of the local special crops grown in Mungyeong, more than 70% of Gyeo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and various pests are emerging due to recent climate change and intensive cultivation. Scirtothrips dorsalis(Hood) are the most damaging pests among the insects that occur in the Schizandra chinensis(Turcz.), mainly affecting fruit quality, yield and qual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17 to September 2018 in three locations in Mungyeong area. Blue and yellow trap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patterns and the degree of damage. As a result of the survey, Scirtothrips dorsalis(Hood) occurred first in flowering period in May, and then occurred in fruits.
The occurrence density was highest in Ju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ttractiveness of each trap color was blue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and yellow in the late st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hole.
파리목(Diptera) 집파리과(Muscidae)에 속하는 토마토어리줄기집파리(Atherigona orientalis)는 열대·아열대 지역에서 분포하며 고추, 토마토 등 기주 특이성이 없어 여러 식물에 흔히 발견되는 해충이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작물에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국외 사례로 볼 때 우리나라 작물에서도 큰 피해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되어 식물방역법상 관리해충으로 지정하여 관리하였다. 2016년 경상북도 의 성군에서 첫 국내 분포가 보고되었다. 우리는 이 종의 지역별 분포 현황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 4월부터 10월까지 전국 각지에 트랩을 설치하여 분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2,601개체가 전국적으로 조사되어 국내에 널리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속하는 나무좀은 일찍부터 산림의 주요 해충으로 다루어져 왔다. 최근 사과원에서 M.9 대목을 이용한 사과 밀식재배가 확산되고,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기상으로 사과나무 동해에 의한 2차 나무좀 피해가 늘어나고 있어 이들에 대한 관리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사과원에 발생하는 나무좀류의 발생 양상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약제 선발을 통해 효율적인 방제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사과원에 발생하는 나무좀은 암브로시아나무좀, 오리나무좀, 붉은목나무좀, 사과둥근나무좀 등 4종으로 암브로시아나무좀이 우점종으로 조사되었다. 암브로시아나무좀의 발생은 4월부터 시작하여 연 2회 발생하였다. 주간부에서 나무좀의 피해는 대부분 21~100cm 높이에서 발생하였으며, 야외 방제 시험에서 Phentoate EC, Chlorpyrifos WP, Thiacloprid SC 등이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Azuki bean beetle (ABB), Callosobruchus chinensis (L.) is a field-to-storage pest of legumes. It is ideal to estimate its field population before it invades the stored legume stuffs. The seasonal occurrence was monitored with rocket traps supplied with synthetic female sex pheromone and with sweep netting during 2015-2016. Harvest damage was evaluated by taking purposive samples of the pods at harvest. Over-wintering stage was identified from the pod samples of left over plants. The results ascertained that October was the peak season of ABB in the azuki bean field. Grain damage and weight loss of the harvested azuki bean were 2.7% and 2.4% respectively, which could be the inoculum for storage loss. The adult emergence only from live pupae collected from pods revealed for its most probable over-wintering stage. In all, this study provides insight into some field ecological parameters of ABB that could be helpful in adopting its management strategies.
Mythimna separata (Lepidoptera: Noctuidae) is a notorious migratory pestand has caused significant damage in NortheastAsia including South Korea. For this reason, predicting occurrence time and distribution area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for establishing early control plan. Because it cannot survive during the winter in South Korea and occurs seasonallydue to invasion from the southeast of China, general application of CLIMEX may not be adequate. Therefore, we appliedCLIMEX for analyzing seasonal occurrence M. separata of based on its growth index (GI) predicted in accordance withclimate. As a result, GI in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began to occur at the earliest time and showed the highestvalue from the end of April to the beginning of Sept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