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FE analysis was performed for characterising structural strength of a seat frame w.r.t. varying sectional shapes as well as different materials of the seat back frame based on the FMVSS 207 regulation in order to obtain the design outline of a lightweight seat frane structure. Four types of materials, i.e., SAPH440, Al7021, Al6082 and carbon/epoxy composites were applied to the seat back frame type beams and their bending behaviours were compared by three point bending FE analysis. Consequently, the lightweight structure of seat back frame with the equivalent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al frame was suggested.
        4,000원
        2.
        2013.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ntends to review possible application in the high strength area through compressive strength estimation of the simulated high strength concrete member using Rock Test Hammer and suggest it as a reference data for the strength estimation technique of the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in the future. From the results of test, in the low strength area less than 15MPa and normal strength area in 15∼60MPa, as shown on the existing studies, it is indicated that P Type Schmidt Hammer in the low strength area and N Type Schmidt Hammer in the normal strength area have high correlation of rebound-compressive strength. As the Rock Test Hammer indicated more or less reduced accuracy in the low strength area and the normal strength area but high correlation on the high strength area (50∼100MPa) defined on this test, it is determin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make the fastest and simplest compressive strength estimation on the site where the high strength concrete is applied. As was resulted above the experim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Rebound Hardness Method and Compressive Strength on the high strength area which is over 50MPa, the conclusion is drawn which is Fc=4.409e0.059R through regression analizing the relations of Compressive Strength which is based on Rebound Hardness Method.
        4,000원
        3.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umbrical muscles contribute to the intrinsic plus position, that is simultaneous metacarpophalangeal (MCP) flexion and interphalangeal (IP) extension. The strength of the lumbrical muscles is necessary for normal hand function. However, there is no objective and efficient method of strength measurement for the lumbrical muscles.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have not investigated the measurement of the cross-sectional area (CSA) of the lumbrical muscles using ultrasonography (U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umbrical muscle strength in the intrinsic plus position and the CS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asurement method of the CSA of the lumbrical muscles using U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ximal isometric strength and the CSA of lumbrical muscles. Nine healthy 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aximal isometric strength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lumbrical muscles was assessed using a tensiometer in the intrinsic plus position which isolated MCP flexion and IP extension. The CSA of the lumbrical muscles was measured with an US. The US probe was applied on the palmar aspect of the metacarpal head with a transverse view of the hand in resting 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ximal isometric strength of the lumbrical muscles, but the fourth lumbrical muscle was stronger than the others. The CSA of the lumbrical muscl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fourth lumbrical muscle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second lumbrical muscle. There was moderate to good correlation between maximal isometric strength and the CSA of the lumbrical muscles. Therefore, we conclude that maximal isometric strength of the lumbrical muscle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CSA of the lumbrical muscle in each finger, while the measurement of the CSA of the lumbrical muscles, using US protocol in this study, was useful for measuring the CSA of the lumbrical muscles.
        4,000원
        4.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C교량이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교각의 연성도가 목표연성도에 도달하기 전에 발생하는 전단파괴가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전단강도 평가식이 요구된다. 횡하중을 받는 RC기둥의 전단강도는 변위연성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 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전단강도 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변위연성도가 작은 구역에서의 초기전단강도와 연성도 증가에 따른 전단강도의 감소율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자들이 제안한 초기전단강도를 기본으로 하여 다른 연구자에 의해서 수행된 많은 기둥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변위연성도를 고려한 새로운 전단강도 평가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평가식은 다른 평가식과의 비교를 통해 정확도가 크게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4,200원
        5.
        201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횡하중을 받는 RC 기둥의 전단강도는 기둥의 변위연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성도의 증가에 따른 전단강도의 감소율은 초기전단강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므로 이를 합리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는 초기전단강도의 평가가 매우 중요하다. 기둥의 전단거동은 단면모양, 형상비, 축력, 축방향철근비, 연성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복잡하다. 본 연구에서는 형상비, 단면의 중공비, 축방향철근비, 중공 및 중실단면을 변수로 하는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전단거동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축방향철근이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형상비와 축력을 고려한 기존의 초기전단평가식을 보완하였으며,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4,000원
        6.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각의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내진설계를 위해서는 연성도에 기반한 내진설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전단평가가 필수적이다. RC 기둥의 전단거동은 휨거동과 달리 부재의 단면크기, 형상비, 축력, 연성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거동이 매우 복잡하다.따라서,이들 요인을 고려한 많은 설계식 및 경험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부재의 초기전단강도와 연성도에 따른 전단강도 저하를 평가하는데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상비,단면의 중공비, 복부면적, 하중패턴을 변수로 하는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여 중공단면 기둥의 초기 전단강도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는 기존의 다양한 전단평가식과 비교.검토하여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역학적 특성과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보다 합리적인 초기 전단평가식을 제안하고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4,600원
        7.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eel tubular member has been generally used for the offshore structure. Its stucutral performance can be decreased due to corrosion damage under severe corrosion environment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compression performance of steel tubular member depending on corrosion thickness, damaged ratio, FE analyses were conducted and compared.
        8.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hear buckling strengths of the trapezoidal and sinusoidal corrugated plates with the same self-load were compared,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were analyzed. In the preceding comparative study of corrugation shapes, the corrugation wave depth and the corrugation wave angle were the same. As these target, A linear buckling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differences in the shear buckling mode and the buckling stress were analyzed.
        9.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0년대에 콘크리트를 기반으로 지어진 많은 구조물과 빌딩은 안전성과 사용성을 고려하여 무수히 많은 연구를 현재까지 진행해 왔으나, 설계강도 보다 낮은 최대강도를 보이고 있다. 현재 노후화된 콘크리트 구조물들에 대한 다양한 보수․보강 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지만 기존 연구들은 구조물의 특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단지 기존 부재와 보수 재료의 부착에 관한 연구와 기존 부재를 효과적으로 보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수․보강 재료를 이용한 효율적인 강도증진 방법에 대한 연구, 보강 재료와 기존 부재 사이의 거동에 대해 부족했던 연구를 보완 하고자 한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는 높은 압축강도를 발현하기 때문에 부재의 단면을 축소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자중 또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거대한 구조물 건설에 사용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고강도 콘크리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에 대한 방법 연구 역시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에 대한 보수․보강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각단명 형상을 가진 기둥을 팔각단면으로 형상 변형을 통해 CFS로 보수․보강하여 단면 형상이 변함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고, CFS로 보강된 고강도 콘크리트(HSC) 기둥의 강도 증대 효과와 파괴 거동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