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Kori Unit 1 and Wolsong Units 1, commercial reactors in South Korea, were permanently shut down due to the expiration of their design lifetime. Therefore, nuclear power plants that have been permanently shut down must be dismantled, and the site must be finally released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radionuclides. Domestic regulatory standards for site remediation should not exceed 0.1 mSv per year based on effective dos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preliminary 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s (DCGL) to prove that the conditions are me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put factor considering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ite of Kori Unit 1 was investigated, and the preliminary Derived Concentration Guideline Level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60Co, 134Cs, and 137Cs, which are gamma-ray emitting radionuclides, had similar values to DCGL of previous studies A and B. However, 63Ni, a beta-rayemitting nuclide, was 5.94×104 Bq·g−1 in this study and 8.47×101 Bq·g−1in previous study B,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about 700 tim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90Sr, this study and previous study A were derived similarly, but this study was 5.34×101 Bq·g−1 and previous study B was 1.18×10−1 Bq·g−1,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about 450 times. This difference is judged to be because, unlike this study using only the industrial worker scenario, in the case of previous study B, the resident farmer scenario was mixed and used, which considers the internal exposure caused by ingestion of food produced in the contaminated area.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DCGL according to the change of geological factors of the sit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amma-ray-emitting nuclid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considering the intake of food affects the DCGL of beta-ray-emitting nuclid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nduct future studies applying intake input factors that meet domestic conditions.
        8.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응애류의 포식성 천적인 민깨알반날개의 실내사육에 필요한 몇 가지 생태적 특성 즉 산란 습성, 성충우화율, 저장온도 그리고 귤응애의 밀도억제효과를 시험하였다. 민깨알반날개 암컷성충은 유자잎 뒷면에 를 산란하였으며, 그중 를 귤응애의 탈피각이나 배설물로 알 표면을 피복하였다. 과수원 내 밭토양에서는 민깨알반날개의 우화율이 였는데, 밭토양 대신 원예용상토를 사용했을 때 로 향상되었다. 대부분의 유충은 지면으로부터 2 cm이내 깊이에서 번데기가 되었다. 성충 저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발육영점온도인 이며, 저장 10, 20, 30일 후에 생존율은 각각 96.7, 73.3, 였다. 유자에 발생한 귤응애 방제를 위한 효율적인 방사비율은 150:1 미만으로 방사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었다.
        4,000원
        9.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전 해체 이후 원전 부지의 제한적 또는 무제한적 이용에 대해서 미국 NRC는 NUREG-1757 문서를 통해 제한적 또는 무제한적 부지 이용에 관한 방사선학적 기준을 제시하였고 사업자가 제염 및 복원 후 이 선량 기준이 충족됨을 증명할 수 있어야만 부지가 제한적 또는 무제한적으로 해제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NRC는 운영허가종료계획서(LTP; License Termination Plan)에 방사선학적 부지 해제 기준 준수를 입증하기 위하여 부지 해제 기준, 부지 특성 평가, 최종 방사선 조사 계획에서 주요 방사선원항, 유도농도기준(DCGL) 등을 기재하도록 하고 있다. 이 논문은 국내 원전 해체에 있어서 참조사례가 될 수 있는 Rancho Seco 원전 해체 사례를 참고 및 절차를 분석함으로써 2017년 영구정지가 예정된 고리 1호기뿐만 아니라 향후 해체 원전 부지의 해제 기준 마련에 있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10.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적으로 수명을 다한 원자력발전소들이 증가하면서 노후화 된 원전의 해체에 대한 관심도 커져가고 있다. 특히 국토가 좁고 자원이 부족한 국내의 경우 원전을 해체하는데 있어 부지 재이용 문제는 하나의 중요한 사안이지만, 아직까지 부지 재이용을 위한 구체적인 법적 부지해제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지해제를 위한 IAEA의 국제적 안전기준(Safety Guide No. WS-G-5.1) 및 국내 관련기준, 미국·유럽 등 선진국들의 부지해제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선량기준 및 국내 부지해제 기준 수립 시 고려해야하는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이는 원전 해체 후 부지 재이용을 위한 국내 부지해제 기준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