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국은 이미 1991년에 형사사법법을 통하여 알콜중독범 치료 프로그램을 민간에 위탁한 것을 시작으로 2003년의 형사사법법의 개정 및 2007년의 범죄인관리법, 2009년의 검시관 및 사법법등을 통하여 사회내처우의 강화 및 그 민영화 작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해왔다. 나아가 모든 사회내처우 프로그램을 2015년부터 민간에 개방한다는 방침으로 형사사법의 민영화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영국의 사회내처우 정책은 신자유주의적 경향으로 작은 정부와 공공행정의 민영화, 그리고 회복적 사법의 이념의 실현 등이 그 배경이다. 특히 최근 영국은 사회봉사의 작업 대상 선정에 지역사회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사회내처우에 대한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징역집행정지 등을 도입하는 등 사회내처우를 확대함으로써 구금처우의 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재범률을 낮추는 등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에 비해 한국은 아직까지는 보호관찰소가 주도적으로 사회내처우를 집행하고 있고, 사회내처우 대상자의 재범률 분석 등도 정교하지 못하여 구금처우와 비교할 때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영국의 사회내처우 정책의 변화를 바탕으로 한국의 관련 정책의 진단 및 그 개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내처우 및 구금형의 처우방식 및 적용대상을 재조정하는 등의 형사사법정책의 변화를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범죄자처우와 교정비용의 절감,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등 사회내처우가 가지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사회내처우의 민영화를 체계적으로 준비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봉사는 자신의 범죄에 대한 참회, 성행교정, 지역사회에의 봉사, 그리고 구성원으로서의 지역사회에서의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기회부여 등의 목적을 살릴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주민들로 직접 봉사작업 신청을 받도록 하고, 봉사활동 동안 특별한 표식을 갖추도록 하여 범죄자가 지역사회에 대한 배상적 노동을 제공한다는 것을 인식토록 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내처우는 기본적으로 피해자에 대한 배상명령이 이행되는 것을 전제로 선고되어야 하며, 보호관찰 기간동안에도 그 이행여부를 지속적으로 감독함으로써 회복적 사법이념이 구현되도록 하여야 한다.
        6,400원
        2.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Kyu-hyun. 2004. A Conversation Analysis of Korean Sentence-Ending Modal Suffixes -ney, -kwun(a), and -ta: Noticing as a Social Action.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Drawing upon H. S. Lee's (1993) cognitively-oriented research on the functions of three sentence-ending modal suffixes in Korean that are used to express newly perceived information, -ney, -kwun(a), and -ta, this study analyzes the distinct meanings of these suffixes from a conversation-analytic perspective (Sacks et al. 1974). The suffix -ney is used in the context in which the speaker notices a referent/event and makes an assessment on the spot in such a way that the speaker's stance displayed through the action is formulated as something that is to be immediately oriented to and contingently taken up by the hearer. In contrast, the suffix -kwun(a) is used when the speaker is mainly oriented to displaying a stance congruent with the prior talk. The action it organizes is often limited to acknowledging a point of the prior talk or having the hearer acknowledge the speaker's observation, often with a salient topic-curtailing and sequence-terminating import. The suffix -ta tends to orient the hearer to the next stage of the speaker's action (e.g., suggestion, warning, offer, etc.) to whose directive force the hearer is variably implicated as a beneficiary/facilitator. The interactional account offered in this paper is shown to complement Lee's cognitive account, with emphasis placed on examining the ways in which these suffixes are used as resources for organizing distinct types of social action.
        8,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