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는 2009년 국내에 최초로 보고된 이후 남부지역 단감 과원을 중심으로 다양한 농작물에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미국선녀벌레는 기주 범위가 넓고 다양하여 농경지뿐 아니라 산림지역에도 존재하여 과수원 인근 산림에서 농경지로 유입되는 개체로 인하여 효율적인 방제를 위한 시간적, 공간적 범위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투명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단감원에서 미국선녀벌 레의 발생 양상과 유입 및 유출 경향을 조사하였고, SADIE(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를 사용하여 공간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 시점간 공간분포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분포의 패턴의 변화하는 시점들을 확인하였다. 단감원에서 미국선녀벌레의 발생 최성기는 5월 중 순과 8월 중순으로 5월에는 약충이, 8월에는 성충이 발견되었다. 10월 이후에는 발견되지 않았다. 5월 중하순경 부화한 약충은 임의분포 하였으나 포장 외부로 분산한 후 집중 분포하는 패턴을 보였다. 성충은 다시 포장으로 유입된 후 임의분포하였다. 트랩 높이별 채집 정도는 약충기에는 상대적으로 아래쪽 트랩에서, 성충기에는 위쪽 트랩에서 많이 채집되었다. 이러한 경향성은 포장 내부와 주변부의 밀도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 었고, 포장 내 단감에서의 미국선녀벌레 실제 밀도와도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000원
        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pidemiologic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ultry farms confirmed with avian influenza (AI) infection can help increase the efficacy of AI surveillance as well as AI control strategi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ultry farms confirmed with AI infection can provide insights on effective AI-surveillance and AI-control strategies to policymakers by providing a visualization of the geographical pattern of AI distribution. The goal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risk of a farm being AI-positive by using data from routine AI-surveillanc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2014–2015. To achieve this goal, we applied a spatial model because it improves the estimation of the relative risk by taking into account spatial dependence between epidemiological units. The results revealed there was a lack of dependency between districts in the risk of a farm being AI-positive. The estimates for the spatial auto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spatial model for chicken farms were 0.006 in 2014 (p = 0.9496) and -0.064 in 2015 (p = 0.6052) and for duck farms were -0.066 in 2014 (p = 0.4380) and 0.047 in 2015. Likewise, Moran’s I statistic estimates for chicken farms were 0.0243 in 2014 (p = 0.3183) and -0.0174 in 2015 (p = 0.5657) and for duck farms were -0.0342 in 2014 (p = 0.6678) and -0.0230 in 2015.
        4,000원
        5.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nochamus saltuarius Gebler are the insect vector of the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 Buhrer) mostly in the mid-northern areas of South Korea. In 2017, we installed sentinel logs to lure efficient parasitic wasps of the vector and to evaluat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itoids in prior to the development of biological control strategy for the PWN transmitting insect vector. As a result of the survey, we found Spathius verustus Chao (Hymenoptera: Braconidae) as a predominant parasitoid with the highest parasitism rate among six species of larval parasitoids. The parasitism rate was higher along the edge (0m of the forest depth) of the survey sites than the inner sides (20m and 40m of the forest depth). Also, the parasitoid showed highest parasitism rate in late-May at one of Gapyeong_sites, where was supposed to be the oldest infected areas. Lastly, the parasitism rate along the trap heights was higher at height of 0m than the 1.8m above the ground.
        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래해충 개체군은 중국 남쪽에서 제트기류를 타고 한국으로 유입되는 해충이다.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벼멸구(Nilaparvata lugens),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은 주요 비래해충 5종으로 주요 작물인 벼에 피해를 주기에 중요하다. 이 연구는 2016년 7월 하순에서 9월 상순, 2017년 7월에서 8월까지 전라도의 벼논에서 하였다. 멸강나방과 혹명나방은 페로몬 트랩을 사용하여 채집하였고,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는 육안 조사, 포충망 조사, 끈끈이 트랩을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비래해충을 분석 하기 위해 공간통계학 중 SADIE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를 사용하였다. SADIE는 사용하여 공간분포 및 집중지수 Ia를 분석 하였고, 클러스터지수 Vi, Vj를 사용하여 공간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클러스터지수는 red-blue plot를 사용하여 지도 위에 나타내었다. 멸강나 방과 혹명나방은 SADIE 공간 집중 분석, red-blue plot 분석에서 다른 분포를 보였다. 애멸구와 다른 멸구의 초기 공간분포는 표본 추출 위치와 시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4,300원
        7.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ive major migratory insect pest populations (Nilaparvata lugens, Sogatella furcifera, Laodelphax striatellus, Cnaphalocrocis medinalis, Mythimna separata) migrate from the southern China to Korea through jet stream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17 to August 2017 in rice paddy of Jeolla-province. C. medinalis and M. separata collected using pheromone traps, while N. lugens, S. furcifera and L. striatellus collected using 3 methods (visual surveys, sweeping surveys, sticky traps).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was used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and index of aggregation Ia, index of clustering Vi, Vj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Also, the clustering indices were mapped as red-blue plot.
        8.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understanding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is essential to assessing and managing the risk of introduction of HPAI virus (HPAIV). However, to date, local spatial clustering patterns of HPAI outbreaks in Korea has not been explicitly investigated. We compiled HPAI outbreak data (n=622 cases) from December 2003 to February 2016. Each reported case was geocoded and linked to a digital map of Korea according to its onset location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Kernel density estimation was used to explore global patterns of the HPAI outbreaks. We also applied the Getis-Ord G local spatial statistic to identify significant hot spots of high and low abundance by calculating Z-scores. Hot spot analysis revealed that HPAI cases are likely to be distinct clusters of HPAI outbreaks, with the highest risk being in the southwest of the country, specifically in Jeonnam and Jeonbuk provinces, where there are high density poultry populations. More than 16 Si-Gun-Gu (administrative province unit with bandwidth of 30 km) were involved in these high risk areas, indicating that there is likely to be a spatial heterogeneity of HPAI outbreaks within the country. Because of the existence of apparent hot spots, particularly in western regions, along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migratory birds in these areas, Korea is at high risk of HPAIV introduction. Taking this challenge into consideration, preemptive and effective targeted surveillance programs for wild birds and poultry farms are highly recommended. Future research should look at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poultry production systems to explain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HPAI outbreaks.
        4,000원
        9.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6 to March 2017 for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biologicalcontrol of the two spotted mite (Tetranychus urticae; TSSM) in the strawberry greenhouses. Natural enemy plot and conventionalplot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mean density of T. urticae. T. urticae was sampled by taking three leaflets (1 stalk)from each plant (3 three-leaflet) leaves from each sampling position. Natural enemy plot was released with Phytoseiuluspersimilis and conventional plot was sprayed with pesticides(abamectin, cyenopyafen, etc). Each stage of TSSM densitywas higher in conventional pesticides than natural enemy.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SADIE) was used toanalyze spatial distribution and index of aggregation   , index of clustering  ,  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patialdistribution. Also, the clustering indices were mapped as red-blue plot. As a resul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 urticaewas varied, particularly, feeding ability and density of P. persimilis caused regular spatial distribution of T. urticae.
        10.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말라리아는 1993년에 다시 등장했으며, 이후 증감을 반복하며 공간적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지리 공간의 인문·자연·지리적 요인들은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매개 모기의 생태와 말라리아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말라리아의 발생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조절하는 데 기여하고자 그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Getis-Ord의 Gi* 와 평균 중심점을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4년 사이 말라리아 발생의 공간적 분포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그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일반화 포아송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2001년, 2014년 말라리아에 영향을 미치는 인문·환경 요인을 비교·분석하고,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 변수를 이용하여 그 공간적 자기상관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 두수, 표준공시지가, 성비, 아파트 비율, 군사분계선 거리, 기후 요소, 논 비율이 말라리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4,800원
        1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concentrates on the status of ecological environment development in Shenyang, uses the remote sensing images and social statistics in different periods as the data base, establishes a dynamic monitoring system and model of urbanization and ecological security. Through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ecological security dynamic monitoring information, with the support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we have formed a key technology system which combines ecological security warning with ecological security structure optimization. Moreover, the spatial database of ecological key elements in Shenyang city was constructed. The vertical pattern, horizontal pattern and ecological function of urban ecological system is organically combined, which provides the basic data for the layout and regulation of green space and water system. With these efforts, a key technology system is formed, including the warning of urban ecological security- the space regul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the optimization of urban ecological security pattern - the regulation of urban elements' spatial layou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scientific and accurate data base for ecological planning and regulation in Shenyang City , carry out effective ecological secur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for the development of Shenyang, protect the ecological integrity of the system as well as the healthy development of the economy in Shenyang City during the urbanization process .
        4,000원
        12.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업집적의 공간적 패턴과 구조를 분석하여 고집적지(핫스팟)를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지식기반산업을 대상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및 538개 읍면동 단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이용된 방법은 대표적인 공간통계기법 중 고집적지를 찾는데 탁월하다고 알려진 Getis-Ord’s Gi *와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s)의 약점을 보완하고자 제시된 Flegg’s Location Quotients (FLQ)이다. 이 방법들로 찾은 고집적지는 공통적으로 비슷한 지역을 찾아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집적분석을 통해 산업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산업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경기도가 추구하는 지역혁신체계를 추구하기 위한 클러스터 정책을 펼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100원
        13.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네눈쑥가지나방 유충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산란처와 관련된 유충의 감귤원 내로 정착과정을 이해하고자 실시하였다. 노지와 하우스 모두 감귤나무에서는 알이 발견되지 않았고, 부지화 시설재배 하우스의 방충망에서 발견되었다. 시설재배 부지화에서 네눈쑥가지나방 유충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집중분포를 보였다. 온주밀감 노지재배원에서 분산지수(ID)는 전체적으로 1.0내외로 약한 집중 정도를 나타냈다. 하지만, 검정통계량인 d-값은 대부분 조사일에 -1.96에서 1.96 사이에 있어 임의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집중정도를 나타내는 GI 지수는 전체적으로 낮아 집중정도가 약하였으며, 집중분포로 검정된 경우에도 집중정도는 크지 않았다. 네눈쑥가지나방 유충수의 빈도분포는 포아송(임의분포)과 음이항 분포(집중분포)를 동시 만족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충 공간분포의 시간적 변화는 초기 정착지점에서 분산하는 양상이 아니라 무작위로 외부로부터 비산하여 새로 정착되는 양상을 보였다. 기타 시설과 노지감귤원에서 네눈쑥가지나방 유충 공간분포 양상의 차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000원
        14.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investig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 beetle species from the edge of secondary forests in Hwaseong-si, Gyeonggi-do. Nine secondary forests were selected, and 81 pitfall traps for collecting ground beetles were placed along forest interior―forest edge―forest exterior gradients during 14 June to 9 November, 2011. A total of 32 species belonging to 13 genera of 8 sub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3710 collected ground beetles. Ten dominant spec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ive species such as Chlaenius micans (ANOVA, with Tukey's test, F2, 78=3.11, P=0.0502), Chlaenius ocreatus (F2, 78=2.76, P=0.0692), Dolichus halensis halensis (F2, 78=9.80, P=0.0002), Harpalus eous (F2, 78=2.73, P=0.0712), and Harpalus tridens (F2, 78=6.74, P=0.0020) were abundant at forest exterior. Three species such as Synuchus cycloderus (F2, 78=7.91, P=0.0007), Synuchus nitidus (F2, 78=9.72, P=0.0002), and Synuchus sp.1 (F2, 78=4.50, P=0.0142) were abundant at forest edge and forest interior. Coptolabrus smaragdinus branickii (F2, 78=3.24, P=0.0444) was abundant at forest edge and exterior. Finally, Chlaenius naeviger (F2, 78=1.39, P=0.2542) showed a wide distribution in this study. This study showed a significant edge effect on dominant ground beetles. Many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rey items may be important factors for the spatial pattern of ground beetles. Because forest edges are generally important for many predaceous arthropods including ground beetles,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edges are important for maintaining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s.
        20.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에서 파밤나방 유충의 시기별 공간분포 양식을 충남 아산군 인주면 파 재배 단지에서 조사하였다. 유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중순과 9월 중하순으로 2회였고 유충의 공간분포 양식은 2가지 형으로 10월의 임의 분포를 제외하고는 모두 집중 분포를 하고 있었다. 유충의 영기별로 공간 분포 양식을 분석한 결과 각 영기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고 집중도는 영기가 낮을수록 높았다. 전남 광주와 무안 지방에서 기주 식물별로 파밤나방 유충의 공간 분포 양식을 조사한 결과 발생량이 많았던 고추, 대파 및 주기주 작물인 쪽파, 배추 무 등에서는 집중 분포를 하였고 녹두, 팥, 땅콩, 상치, 호박, 국화, 콩, 개비름 등 발생량이 적었던 작물에서는 임의 분포를 하였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