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PLC)를 이용하여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군집구조의 시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4월에서 12월까지 총 5회에 걸쳐 7개 정점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분석과 수온, 염분, 용존산소(DO), 영양염(DIN, DIP, Si(OH)4) 등의 환경요인 분석을 행하였다. 조사기간 중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Chl-a)은 7월 (평균 15.4±4.3 μg/L)에 가장 높았고, 12월(평균 3.5±0.6 μg/L)에 가장 낮았다. 보조색소의 경우 fucoxanthin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그 다음으 로 peridinin, Chl-b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월 변동은 Chl-a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분석결과, 규조류가 평균 70 %로 가장 우점하였으나, 일부 녹조류, 은편모조류, 와편모조류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우점종인 규조류는 특히 수온 및 N:P ratio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여름철 고온환경 및 육상으로부터의 영양염 유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또한 식물플랑크톤 색소 및 종조성은 전반적으로 계절에 따른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변화 및 지형적 특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강우로 인한 담수 및 영양염 공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8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epidemiological associations between the 2016/18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epidemics and spatial factors, including the distance from a poultry farm to the closest groundwater source, migratory bird habitat, eco-natural area, and poultry farm altitude. We included 14 spatial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variables were used in the original continuous measurement format. In total, 288 poultry farms (144 HPAI-confirmed and 144 non-confirmed) were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he variables’ continuous measurement was converted to a categorical measurement format by using a general additive model. For risk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continuous measurements of spatial factors, the non-graded eco-natural area distance (odds ratio [OR]: 1.00) and the grade one eco-natural area distance (OR: 0.99)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However, in the risk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categorical measurement format of the spatial factors, the non-graded eco-natural area distance (OR: 0.08) and poultry farm altitude (OR: 0.4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s in both a univariat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other words, when a poultry farm was located far from the non-graded eco-natural area or in a highland area, the likelihood of an HPAI epidemic would decrease. From an HPAI control perspective, it is recommended that the government apply increased levels of biosecurity measures, such as bird-nets, fences, intensive disinfection of equipment, and regular bird health monitoring, for poultry farms located near non-graded eco-natural areas or in a lowland area.
        4,000원
        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FMD)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는 발생 시 살처분 및 이동제한과 같은 방역조치로 인하여 막대한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우려되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FMD와 HPAI의 확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한데, 우리나라의 경우 축산차량의 빈번한 축산시설 방문과 고밀도 사육방식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의 경우 야생조류 서식처까지의 거리가 확산 위험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 역시 제기되고 있다. 축산차량의 방문목적별 방문빈도나 농가밀도와 같은 요인들이 질병발생 및 확산에 미치는 영향력 수준은 지역별로 공간적 편차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병원성 가축질병 발생빈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요인들의 지역별 영향력 수준을 가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발생한 구제역 및 조류인플루엔자를 대상으로 공간가중회귀모형(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된 요인들은 그 영향력에 있어서 뚜렷한 지역적 편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역별 상황을 반영한 정교한 방역정책 수립 및 지원을 위한 기초정보로 써 활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200원
        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ichness patterns of woody plants along a temperate altitudinal gradient on the Baekdudaegan ridge, South Korea. The effects of the spatial and climatic factors on the observed altitudinal richness patterns were evaluated. We also tested Rapoport’s altitudinal effect, which relates the distribution of a species’ altitudinal ranges to the patterns in species richness. Woody plant data were collected from 1100 plots on the Baekdudaegan ridge. A total of 248 woody plant species from 47 families and 99 genera were found. The altitudinal pattern of the woody plant species richness on the Baekdudaegan ridge exhibited a clear hump-shaped pattern with a peak around 800 m. Spatial factors(mid-domain effect and area) were the primary drivers in the simple linear models, whereas the climatic factors(mean annual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had lower explanatory power.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bined interaction between spatial and climatic factors affected the altitudinal richness patterns of the overall woody plants. Furthermore, the spatial and climatic factors were more important for large- and small-ranged woody plant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tevens’ method and the midpoint method do not support Rapoport’s altitudinal effect. The results suggest that a combined interaction between spatial and climatic factors influences the richness pattern of the total woody plant species. Furthermo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factors depends on the range size of the woody plants species along an altitudinal gradient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ridge.
        4,600원
        7.
        201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말라리아는 1993년에 다시 등장했으며, 이후 증감을 반복하며 공간적 변화를 거듭하여 왔다. 지리 공간의 인문·자연·지리적 요인들은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매개 모기의 생태와 말라리아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말라리아의 발생 양상을 이해하고 이를 조절하는 데 기여하고자 그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Getis-Ord의 Gi* 와 평균 중심점을 이용하여 2001년부터 2014년 사이 말라리아 발생의 공간적 분포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그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일반화 포아송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2001년, 2014년 말라리아에 영향을 미치는 인문·환경 요인을 비교·분석하고, 군사분계선으로부터의 거리 변수를 이용하여 그 공간적 자기상관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소 두수, 표준공시지가, 성비, 아파트 비율, 군사분계선 거리, 기후 요소, 논 비율이 말라리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4,800원
        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1년∼2013년 사이에 춘천시에 위치하고 종적으로 분포하는 2개 하천(공지천, 신촌천)을 대상으로 각각 2개의 조사 지점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계절 및 공간별 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에서의 인위적인 교란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상류구간인 신촌천(St.1, St.2)과는 달리 공지천 구간(St.3, St.4)은 공지천생태하천조성사업의 진행에 따른 인위적인 교란에 빈번하게 노출된 구간이었다. 이 사업 이후 물 흐름의 정체시간이 장기화됨으로 인하여 2012년 하절기에 신촌천 상류(St.1)와 공지천 하류(St.4) 사이에 커다란 수온의 차이(최대 9℃까지) 및 30℃ 이상 수온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매년 몬순강우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 그리고 종 다양도지수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분류군에 따른 우점 양상을 보면, 신촌천 상류에서만 날도래류가 우점하였을 뿐, 그 외의 지점들에서는 파리류가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시·공간적인 변동은 인위적인 하상의 교란(하상변화, 수온 증가) 및 몬순강우 등으로 인한 토사유입과 같은 물리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반영하는 지표생물로서 중요하다.
        4,000원
        9.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두루미류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환경요인(잠자리, 도로, 인가)의 영향범위와 영향력을 평가한 것이다. 조사는 2007년 1월에서 2월까지 4회에 걸쳐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분포를 거리측정기와 GPS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두루미류의 서식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된 지역은 총 76.9km2였으며, 두루미 Grus japonensis 와 재두루미 Grus vipio 555개 무리의 분포위치를 수집한 후 환경요인과의 거리별 밀도를 분석하였다. 두루미류의 취식분포는 특정지역에 밀집한 분포를 보였으며, 인근지역에서 취식하는 두루미류 취식무리 간의 개체수는 공간적자기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루미류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잠자리와의 거리에 따라 상관이 없었다. 하지만, 포장도로와 인가지역은 가까울수록 서식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포장도로의 경우 1,50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으며, 인가지역으로 부터 취식밀도는 1,75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다. 잠자리와 취식지간의 거리별 밀도변화는 취식무리수 밀도에서만 확인할 수 없었다. 포장도로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두 종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개체수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인가와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다. 잠자리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두루미는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재두루미의 경우 증감의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4,000원
        10.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1990~2005년 사이에 일본전국의 109개의 주요하천유역에서 조사된 어류, 식물, 조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생물종의 종수와 기후 및 지형의 환경인자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어류, 식물, 조류의 분포는 각각 연평균 기온, 유역면적, 연간 강수량에 의해서 가장 많은 부분이 설명되었다. 또한, 광범위 스케일에서의 환경인자데이터를 이용한 각 생물종에 대한 일반화가법모델을 이용하여 일본전국의 하천유역의 각 생물 종수의 값을 예측하고 그 값을 지도화하였다. 예측값을 지도화하는 것은 관리자가 생물종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호해야할 지역을 새롭게 설정하거나, 생물다양성 보호지역의 유효성을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1.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racter of spatial organization in rtaditional house is found through the analysis of field survey and measure of its micro climate in hot weather period of summer. The mean temperature of interior space is higher than outside space of the house. In the point of structural conditions, inside of Choga in caustal and mountain area is cooler than any other houses. In inland area, slate roof house is cooler than Choga. In mountain area, the thermal difference of inside and outside in Kyubjib is higher than Hotjib. In the point of spatial conditions, kitchen is the coolest space and very suitable for spatial organization. Anbang is the hottest space because of its centeral position in the house. In wind condition, mountain area is windy and caustal area is calm. Around the house the rear side of the house is windy and left side is calm.
        4,600원
        1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Youngil Bay as well as the effect of water physico-chemical parameters. Water samples at three stations were collected and measured monthly from May to November in 2010. The taxa of phytoplankton observed in this study were classified as 33 Bacillariophyceae, 23 Dinophyceae, 1 Euglenophyceae, 2 Crysophyceae and 1 Cryptophyceae. The highest biomass of phytoplankton was observed at inner station in September, which was characterized high concentration of dissolved inorganic phosphate(DIP) in surface water after rainfall. Nutrient concentrations, chlorophyll-a and phytoplankton biomass values showed the marked trend to decrease from the inner bay to the outer ba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alinity and other water parameters including chlorophyll-a, pH and DIP showed the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r=-0.82, r=-0.78 and r=-0.75 (p<0.01),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quality of Youngil Bay could be stimulated by nutrient enriched input from Hyeogsan River discharge, an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principally limited to DIP concentration from Hyeogsan river.
        13.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and prices reflect not only the uses of land, but the potential uses as well(Plantinga, 2002) so land values can be applied to very effective indices for deciding regional status and growing pot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determinant factors of regional land prices. Principal determinants of regional land prices are analyzed with a hedonic technique and spatial econometric models based on 2001 statistic data of Korea except large cities. The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s. 1. The spatial effect of rural regions are very little with adjacent regions. 2. The common index of land price is population density and other determinant factors are different depending on land uses.
        14.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ion in a large city such as Pusan has been increased every years due to the increase on fuel consumption at factories and by vehicles as well as the gravitation of the population.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NO2 concentration data and various data of meteorological factors during 1994-1997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O2 concentration and how the high NO2 concentration is generated under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According to the study, NO2 peak concentration at most sites occurred about 1h later after the rush hour. In the characteristics of emissions in sites, sinpyeong- dong was highly contributed to point source while the other sites were highly contributed to line source. The high NO2 concentration had high generation probability when temperature contained typical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wind speed was low.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daily average NO2 concentra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practice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daily average NO2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air temperature, solar radiation and wind speed,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daily average NO2 concentration was not so much high. Thus we have known that the daily average NO2 concentration is partially explained by meteorological factors.
        15.
        199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termining factors and temporal &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D(Chemical Oxygen Demand) at the sea surface in Jinhae bay have been examined by using seasonal data, taken at twenty six stations cver the whole bay during 1989∼1994 by NFRDA. The data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long term means, anomalously large values. Jinhae bay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based on the time mean : mouth of Jinhae bay, inner sea of Masan bay, western sea of Jinhae bay called region 1,2 and 3, respectively.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long term mean of COD at each station is similar to those of nitrogen and phosphorus. Characteristics of whole mean variation in the year shows high range of variation in region 2. It was appear to decreases every year in whole trend. Factors determining seasonal variation in whole COD mean are relative to salinity and nutrient, affected by precipitation in summer. Spatial variation shows high range of fluctuation in region 2 compare to other region. Factors determining of spatial variation of COD was appear to nutrient, affected by pollutant load of land area and bottom sediment. The long term mean of COD at each st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ats of nutrients. The coo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D and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was found to be high as 0.75, 0.78, respectively. Anomalously large COD was observed 14 times at 6 stations. These stations are located in inner sea of Masan bay(Region 2) and Songjeong bay(Region 1). The seasonal frequency of the observed anomalous COD is large in April, and other seasons are much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