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지질구조에 대한 공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지질 공간 방향 인식 및 공간 시각화 인식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에 소재하는 4개 고등학교 학생 6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학생들 중 4명을 대상으로 지질 공간개념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투입 결과, 학생들의 지질 공간개념 수준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 〈 0.05). 또한 4명의 학생들의 면담결과 공간 시각화 과정을 거치는 학생들의 지질 공간 능력이 향상되었다.
        4,200원
        2.
        199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on the spatial boundary of rural development protect by areal classification technique with spatial reference to searching of areal homogeneities in two hierachial administrative units, Ri Eup/Myun. In this study, a criterion for judging areal homogeneities is the degree of agriculture and urbanizing. Variables selected by these two criteria are analysed with the method of fator analysis. The results of are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enerally, the importance of agricultural factors in areal analysis is getting less. Second, areal classification by Myun, Ri in Ansong City is revealed variously because of urban factors. Urban factors make areal heterogeneities become greater, Therefore urban factors are important when analyzing areal characteristics. Third, lately, in areas near by Chung- cheong Do and areas with bad road's condition, areal heterogeneities have been also getting greater. The results of analysis about areal characteristics of Myun and Ri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urban factors are more influential on the areal characteristics than agricultural factor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 for inindle spatial boundary between Myun unit and Ri unit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