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e recipe of rice muffins with 3 concentrations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sugar and grape seed oil,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In addition, the mixing condition of rice muffins was optimized by subjecting it to sensory evaluation and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In regard to its antioxidant effects, Spergularia marina L. Griseb had a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17.03 mg/g, 5.13 mg/g and 17.2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mechanical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lightness, redness, yellowness, hardness, springiness, chewiness, gumminess, cohesiveness, height, volume, weight, specific volume, loss rate, pH, moisture, sweetness and saltiness (p<0.05), and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flavor, taste, softness, appearance and overall quality (p<0.05). As results, optimal sensory ratio was found to be 6.69 g of Spergularia marina L. Griseb, 41.89 g of sugar and 30.48 g of grape seed oil.
        4,600원
        2.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sponge cakes were prepared with replacement of 1, 3, and 5%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The specific gravity tended to increase as the ratio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increased. The control group had higher moisture content, volume, and specific volume than the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samples. As the amount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increased, L and b value increased.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Sponge cake levels of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increased as the amount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additive increased. In the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of 3% spergularia marina griseb powder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bove results, sponge cake, made by addition of 3% spergularia marina griseb could be helpful in improving physical quality as well as taste enhanc the functionality of the product.
        4,000원
        3.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발나물의 활용 범위를 다양화하기 위하여 생리활성이 우수한 동결건조 세발나물 분말을 각각 0%(대조군, C), 1%(SM1), 3%(SM3) 및 9%(SM9) 첨가한 쿠키를 제조한 후, 관능검사 및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세발나물쿠키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의 함량은 세발나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C)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고,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SM9군이 4.27%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며,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세발나물 첨가량에 관계없이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쿠키의 퍼짐성 지수는 세발나물 분말 첨가군들(SM1, SM3, SM9)이 대조군(C)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쿠키의 색도는 세발나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과 적색도(a값)은 낮아지고, 황색도(b값)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쿠키의 경도는 대조군(C), SM1군 및 SM3군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세발나물 분말 첨가군 중 SM9군이 큰 폭으로 증가하여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쿠키의 향미, 맛, 조직감에 있어서는 세발나물 분말 3%(SM3), 9%(SM9) 첨가군이 높은 점수를 받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는 3% 첨가군(SM3)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쿠키 제조 시 세발나물 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향미,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조건을 잘 만족시킬것으로 판단된다.
        4.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서남해안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갯개미자리의 염농도에 따른 발아와 생장반응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1.갯개미자리의 염농도 및 온도별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NaCl 0~1.0%에서는 15℃에서 발아율이 90% 이상으로 높았고, NaCl 2.0%에서는 모든 온도에서 발아가 되지 않았다. NaCl 0%에서 발아율은 10℃에서 20℃까지는 90% 이상을 보였지만, 25℃에서는 51.7%로 급격히 낮아졌다. 또한 15℃에서 NaCl 농도별 발아율이 80% 이상 되는 시기는 NaCl 0%와 0.3%에서는 5일, NaCl 0.5%에서는 7일, NaCl 1%에서는 9일이었고, NaCl 2%에서는 발아하지 못하였다.2.염농도별로 8주 동안 양액재배한 결과, 염농도가 NaCl 0, 50, 100, 200, 300, 400 mM에서는 NaCl 50 mM 처리구가 초장 12.5 cm, 건물중 0.73 g로 생장이 가장 좋았다. 또한 해수 0, 12.5, 25, 50, 100%에서는 해수 12.5% 처리구가 초장 20.9 cm, 건물중 0.72 g으로 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이들 염농도는 모두 NaCl 0.3% 수준이었다.3.염농도에 따른 무기성분 함량은 NaCl 농도가 높을수록 Na+ 함량은 높아졌지만, K+과 Ca+, Mg+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Na+ 함량과 K+ 함량이 대조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들은 NaCl 50 mM에서 함량이 급격히 변화한 다음 NaCl 400 mM까지 완만한 함량 변화를 보였다. 4.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갯개미자리는 안정적인 발아를 위해 NaCl 1.0% 이하에서 15℃ 유지가 필요하고 재배에서는 NaCl 0.3% 수준이 적정 염농도로 생각 된다.
        5.
        201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by blanching.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 free amiao acid, organic acid, vitamin and mineral composition of raw and blanching Spergularia marina Griseb were compared. After blanching treatment, the moisture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increased, but th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contents decreased. Total free sugar content decreased by 62.50% compared with raw Spergularia marina Griseb after blanching, and the reduction of galactose was the largest in free sugars. The raw and blanched Spergularia marina Griseb contained all the essential amino acids, except tryptophan. The total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s were reduced by blanching, but the essential amino acid ratios of the raw and blanched Spergularia marina Griseb were similar. The amounts of all the detected organic acids were reduced by blanching, except acetic acid. Spergularia marina Griseb was found to contain high levels of vitamin C, vitamin E, and minerals, but these were reduced by blanch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nutrients contained by Spergularia marina Griseb are decrease by blanching. Therefore, the blanching conditions that can reduce nutrient loss of Spergularia marina Griseb must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