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대-가치 모델(Eccles et al., 1983)을 스포츠에 적용하여 운동 정체성과 성취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또한 스포츠 종목과 운동경력 간 경로 동등성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454명의 남자 대학 운동선수들이며, 자료는 구조방정식모델과 다집단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의 결과 운동 정체성은 네 가지 가치(내적, 달성, 유용성, 지각된 비용)와 성공기대를 예측하는 변수이며, 달성 가치를 제외한 기대-가치 변인들이 운동 정체성과 성취행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의 결과 운동 정체성이 달성 가치에, 성공 기대와 지각된 비용이 성취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팀스포츠와 개인종목 선수들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운동정체성이 내적 가치에, 지각된 비용과 달성 가치와 유용성 가치가 성취행동에 미치는 경로도 운동경력수준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대학 운동선수들의 동기와 성취행동을 예측하는 변수로서 긍정적인 운동 정체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2.
        200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인이 소유한 가치나 가치관은 삶의 목표와 기본 원리를 제공함은 물론 행동을 선택하고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이다. 본 연구는 가치의 개념적 틀에 기초하여 청소년 스포츠 참가자들이 내면화하고 있는 다양한 스포츠 가치의 영역과 개념적 구조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성과 학교급 및 참가수준(선수와 체육특기적성)에 따른 가치체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소재 운동선수 및 체육특기적성 교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한 내용분석(87명)을 실시하였으며, 여기에서 도출된 29항목의 스포츠 가치에 대한 적절성 평정(137명)을 거쳐 최종적으로 선택된 27항목의 가치에 대한 상대적 중요성을 알아보았다(465명). 분석 결과, 가장 중요한 스포츠 가치는 ‘끝까지 최선을 다하는 것’과 ‘즐거움과 재미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치들의 상대적 중요성인 가치체계는 성별과 학교급 및 참가수준에 따라 부분적으로 차이가 발견되었다. 특히, 스포츠 가치체계의 차이는 운동선수와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참가자 간에 두드러지게 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의 제한점과 더불어 스포츠 가치가 일반적인 삶의 가치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 그리고 스포츠 가치의 문화적 보편성과 특수성 관점에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