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athmooda masinissa is one of the most serious lepidopteran pests which damaging the furit of persimmon. Its pheromone composition has been idetified as (E4,Z6)-4,6-hexadecadienyl acetate (E4,Z6-16Ac) and (E4,Z6)-4,6-hexadecadien-1-ol (E4,Z6-16OH). We evaluated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 of (E4,Z6)-4,6-hexadecadienal (E4,Z6-16Ald) and attractivenss of E4,Z6-16Ald by combination of two pheromone components. E4,Z6-16Ald evolked electrophysiological responses as same to that of two pheromones. The lure combined with E4,Z6-16Ald and two pheromone components attracted more male S. masiissa.
        3.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감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현재까지 주로 화학 살충제가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화학 살충제의 과다 사용은 해충 저항성과 농약 잔류 문제라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의 주요 단감 해충 인 감꼭지나방과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활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 유기농자재 11 종을 실험실 조건에서 대상 해충에 분무 처리하였다. 대조 약제는 화학 살충제인 buprofezin+dinotefuran (20+15) 수화제를 사용하였다. 감꼭지나방에 대한 유기농자재의 살충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감꼭지나방 유충의 개체수 부족 문제로 인하여 배추좀나방 유충을 1차 실험충으로 사용하였으며, 세 종류의 친 환경 유기농자재를 사전 선발하였다. 선발된 친환경 유기농자재는 목초액 (EFOP-1),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aizawai NT0423 (EFOP-11)이었으며, 선발된 유기농자재의 감꼭지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력 실험 결과, EFOP-2 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7.7% (5 일차), 13.3% (7 일차), 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 대한 살충 효과 평가에서는 회화나무, 양명아주, 멀구슬나무의 혼합추출물 (EFOP-2, EFOP-9)과 고삼, 데리스의 혼합추출물 (EFOP-10)이 높은 살충 효 과를 보였다. 특히 EFOP-2의 처리구에서 생충율이 20.0% (5 일차), 16.7% (10 일차)로 가장 높은 살충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친환경 유기 농자재인 EFOP-
        4,000원
        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to control persimmon pests, however the overuse of the pesticides caused insect resistance. Herein we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eco-friendly organic pesticides (EFOP) on the control persimmon pests, Stathmopoda masinissa and Riptortus pedestris. Eleven commercially available EFOP were sprayed on the target insects in laboratory conditions. The chemical pesticide, buprofezin+dinotefuran wettable powder served as a positive control. In the bioassay against persimmon fruit moth, the mixture of Chinese scholar tree, goosefoot and subtripinnata extracts (EFOP-2)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7.7% (5 days) of survival rates. In the bioassay against bean bugs, the EFOP-2 showed the highest control efficacy: 20.0% (5 days) of survival r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of three plants extracts (EFOP-2) has high and multiple potential in the management of the persimmon pests.
        5.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ex pheromone of Stathmopoda masinissa (Lepidoptera: Stathmopodidae) [감꼭지나방], an important pest of persimmon in Korea, was studied. Two pheromone components which known from Japanese population were detected in the gland extracts of females by mass spectral analysis of the gland extracts and comparisons of retention time with authentic compounds. Those were (E4,Z6)- 4,6-hexadecadienyl acetate (E4,Z6-16Ac) and (E4,Z6)-4,6-hexadecadien-1-ol (E4,Z6-16OH) in the ratio of 10:90. In a persimmon orchard, a single compound of E4,Z6-16Ac and E4,Z6-16OH was attractive to S. masinissa. However, the mixture of E4,Z6-16Ac and E4,Z6-16OH (1:1) caught significantly more males than each single component. In addition, the traps baited with E4,Z6-16Ac attracted significantly more Oedematopoda ignipicta (Lepidoptera: Stathmopodidae) [붉은꼬마꼭지나방] than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of the E4, Z6-16Ac and E4,Z6-16OH are needed to attract S. masinissa
        6.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itochondrial COI gene has proven successful for identifying the lepidopteran species. In addition, this gene has been applied to recognize cryptic species and confirm a polyphagous species as one species. However, it has been also reported misidentification in the COI gene. As a result, some researchers have suggested the use of additional genes in species identification, especially, nuclear gene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a nuclear EF1agene is better than the mitochondrial COI gene in recognizing Stathmopoda species. For example, among the all species, 47 individuals of nine species, a large intraspecific pairwise difference were detected, up to 15.0% in universal barcoding regions of the COI gene, 22.0% in other part of the COI gene; however, 2.0% in EF1a. In contrast, Stathmopoda sp2 and S. commoda were separated into several clusters in each different COI regions, and some individuals of S. auriferella and S. commoda, were closer to each other separating from the cluster of the same species. But, we get clear results from the EF1a, Stathmopoda species well clustered and could be distinguished.
        7.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ex pheromone of Stathmopoda auriferella (Walker) (Lepidoptera: Stathmopodidae), an important pest of kiwifruit in Korea, was studied. Two candidate pheromone components detected in the gland extracts of females were identified as (E)-5-hexadecenyl acetate (E5-16:OAc) and (E)-5-hexadecenol (E5-16:OH) in a ratio of 75:25 by mass spectral analysis of natural pheromone components and dimethyldisulfide adducts, and retention index comparisons with synthetic standards. In the kiwifruit orchards, E5-16:OAc alone was attractive to S. auriferella males and caught significantly more males than live virgin females. However, addition of E5-16:OH strongly inhibited attraction to E5-16:O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ajor component of the female-produced sex pheromone of S. auriferella is E5-16:OAc. This hexadecenyl acetate is a novel moth sex pheromone component.
        8.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꼭지나방의 온도별(15, 20, 25, 3)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2에서 96.1일, 에서 43.2일, 3에서 34.6일이 걸렸다. 15에서는 유충기간중 모두 사망하였다. 발육영점온도는 알, 유충, 번데기, 알~성충이 각각 12.2, 13.5, 13.8, 13.4였다. 유효적산온도는 알, 유충, 번데기, 알~성충이 각각 74.0, 331.3, 160.5, 569.9일도 이었다. 부화율, 용화율 및 우화율은 에서 가장 높았다. 산란전 기간과 성충수명은 2에서 12.6일과 29.3일이며, 에서는 3.8일과 8.6일, 3에서 2.5일과 7.0일이었다. 1세대에 요하는 평균기간(T)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았으며, 순증식률(R )은 2와 3에서 낮았다. 내적자연증가율(r )은 에서 0.066로 가장 크게 나타내었다.
        3,000원
        10.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충북 영동의 감나무 가로수에서 감꼭지나방(Stathmopodamasinissa)을 태집하여 온도 , 광주기 16L:8D,상대습도 85%의 실내조건에서 이들의 발육생태를 조사하였다. 각 충태 별 발육일수는 알기간 7.4일, 유충기간 34.8일, 번데기기간이 15.5일이었다. 1령에서 5령의 영기간 은 각각 3.5일, 4.2일, 5.2일, 6.5일, 15.4일이었으며, 유충의 두폭은 각각 0.20, 0.40, 0.65, 0.87, 1.07mm이었다. 용화율과 우화율은 각각 68.0%, 59.9%이었다. 성충 수명은 수컷이 6.2일, 암컷이 10.1일이며, 암컷 한마리당 평균 산란수는 24.4개였다.
        3,000원
        14.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1~1993년에 참다래 집단 재배지역인 전남 남부해안지방을 중심으로 참다래를 가해하는 해충과 우점종인 열매꼭지나방의 가해특성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해충은 총 12과 13종이 조사되었으며 그중 열매꼭지나방과 뽕나무깍지벌레가 우점종이었다. 열매꼭지나방 의 태별크기는 난이 0.12mm, 종령유충이 9.8mm, 용이 5.9mm 그리고 성충의 날개편 길이는 12.3mm이었다. 열매꼭지나방에 의한 피해과율은 평균 45.9%이었으며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성충은 연 2회발생하며 1회는 5월하순~7월중순 , 2회는 8월중순~9월상순으로 최성기는 각각 6월상중순, 8월하순이었다. 시기별 유충과 용의 비율은 7월상순에서 100:0이었다. 중순은 96.1:3.9, 하순은 64.9:35.1 이었고 8월 상순에는 19.8:80.2, 중순은 0:100이었다. 또한 피해과는 7월상순에 4.6%로 처음 발견되었으며 7월중순 이후에는 40%이상으로서 이 시기의 피해가 당년의 피해정도를 결정하였고 가해하는 부위는 과정부가 70%, 과경부가 11.1%이었으며 품종별로는 국내 주 지배품종인 헤이워드 32.2%, 몬티 22.2% 향록 13.9%, 아보트 9.3%. 브로노 6.0% 이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