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05.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ries of reinforced G109 type specimens was fabricated and cyclically ponded with a15 w/o NaCl solution. The concrete mix design included cements of two equivalent alkalinities (0.32 and 1.08) and water cement ratio 0.50. Potential and macro-cell current between top and bottom bars were monitored as indicators of the onset of active corrosion. The specimens were subsequently autopsied, and the number and size of air voids along the top half of the upper rebar trace were counted, both at the corrosion site and where the steel remained passive. Also, chloride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from powder samples taken from passive locations along the upper rebar trace. The observations and data indicated that both cement alkalinity and air voids aftected occurrence of active corrosion. The results are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better understanding factors that cause loss of passivity and active corrosion of steel in concrete.
        4,000원
        2.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강-콘크리트 슬립실험으로 결정된 계면 계수값을 휨 하중을 받는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 실험의 결과예측에 적용하여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의 계면거동과 구속효과를 규명하였다. 원형단면의 콘크리트가 전단면압축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충전강관에 웨브와 플랜지를 추가한 콘크리트 충전강관 합성보를 사용하여 휨 거동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가 전단면 압축을 받는 단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충전합성강관의 경우에는 구속효과에 의해 약 16%의 강도증진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단부를 폐쇄하여 구속효과가 커진 콘크리트충전 합성강관의 경우에는 35% 정도의 큰 강도증진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얻은 이러한 결과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이용한 교량의 상부 거더나 아치리브에 대한 단면 결정에 적용되는 적용성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