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남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12주간 근파워 및 민첩성 트레이닝이 체 력요인과 등속성근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남자 축구선수 12명을 대 상으로 근파워와 민첩성 트레이닝 프로그램 6개를 구성하여 12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근파워, 민첩성 트 레이닝 전과 후 운동에 대한 체력요인들을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파워의 제자리멀 리뛰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둘째, 근파워의 제자리높이뛰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다(p<.05). 셋째, 민첩성의 사이드스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이상의 결과로 12주간의 근파 워 민첩성 트레이닝은 초등학교 남자 축구선수들의 순발력과 민첩성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 며, 상해 예방과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superimposed technique (ST) involves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during voluntary muscle action. The physiological effects attributed to each stimulus may be accumulated by the ST. Although various EMS devices for the quadriceps muscle are being marketed to the general public,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whether ST training can provide significant advantages for improving quadriceps muscle strength or thickness compared with EMS alone. Objective: To compare the effects of eight weeks of ST and EMS on the thicknesses of the rectus femoris (RF) and vastus intermedius (VI) muscles and knee extension strength. Methods: Thirty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ST or EMS groups. The participants underwent ST or EMS training for eight weeks. In all participants, the thicknesses of the RF and VI musc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8-week intervention by ultrasonography,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the Smart KEMA tension sensor (KOREATECH Co., Lt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thicknesses of the RF and VI muscles as well as the quadriceps muscle strength in both groups (p < 0.05). RF thicknes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ST group (F = 4.294, p = 0.048),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 thickness (F = 0.234, p = 0.632) or knee extension strength (F = 0.775, p = 0.386). Conclusion: EMS can be used to improve quadriceps muscle strength and RF and VI muscle thickness, and ST can be used to improve RF thickness in the context of athletic training and fitness.
        4,000원
        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이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배근력, 서전트 점프, Y- 자 검사 및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14명의 프리스타일 선수를 무작위로 운동군 7명과 통제군 7명으로 분류하였다. 훈련군은 8주간의 코어 훈련을 하였고, 통제군은 일반적인 훈 련을 하였다. 연구 결과 배근력과 서전트 점프에서 효과를 보였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Y-자 검사의 경우 좌측 앞쪽에서 효과를 보였고, 좌·우측 좌측 후방 안쪽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종합점수의 경우 운동군은 사전의 좌·우 차이 7.5cm, 사후에서 1.66cm로 감소하였으나 통제군은 사전 3.73cm에서 사후 7.01cm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감각 조절 능력에서는 조건 2, 5, 6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나 집단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8주간의 코어 훈련은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들의 자세 조절 능력에서 유익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6주간의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카누 선수의 심폐기능(Cardiorespiratory Function), 체간 등속성 근력(Isokinetic Trunk Strength) 그리고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9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의 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의 핵심은 무산소성 훈련 프로그램으 로 기존 1RM의 퍼센트(%)를 나누어 훈련하던 방식과는 달리 횟수에 대한 100%의 중량을 가지고 하는 훈련이며, 유산소성 운동과 짐볼운동은 보조적인 개념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신체구성에서 신장과 근육량은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체중, 체지방율, BM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기능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과 총 운동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간 등속성 근력의 경우, 각속도 30°/sec에서는 Flexors 운동시 Peak Torque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속도 120°/sec에서는 Extensors 운동시 Total Work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성 파워의 경우, Peak Power, Average Power, Peak Drop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심폐기능에서는 유의한 개선효과가 있었지만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 항목에서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수 개개인의 근력과 파워가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을 고려하면 훈련기간을 6주 이상으로 구성하고 사례수가 보강된다면 체계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은 카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on the gait speed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Twenty one patients diagnosed with stroke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the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group (TPRSTG, n=7), the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ES group (TPRSTFESG, n=7), and the control group (CG, n=7). The length of intervention for each session in all groups was 30 minutes, and was performed once a day,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6 weeks. The gait speed was measured using 10m walking velocity Test (10MWT) and the ADL was measured using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PRSTFESG demonstrate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pse in 10MWT (p<.05). While post-interven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L (p<.05), further analysis between each group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ost-interv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pplication of both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with FES i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in improving gait speed.
        4,000원
        6.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iratory Muscle Strength Training (EMST) on the suprahyoid muscle activation and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Methods : This study randomly assigned 21 stroke patients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ur-week EMST was performed at resistance of 70% of the maximum expiratory pressure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at resistance of 20% of that with the control group.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VDS), and Penetration-Aspiration Scale (PAS) based on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ation of the suprahyoid muscles using sEMG of the experimental group (p<.05)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of the control group. Bot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aryngeal phase of VDS and PAS. Also in the comparison of variation in VDS and PA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tatistically.Conclusion : Finding from this study confirmed that EMST applied 70% maximum expiratory resistance would be a remedial method which could help activate pharyngeal dysphagia patients’ suprahyoid muscles and improve swallowing function.
        4,500원
        7.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간 실시된 혀의 저항 운동 프로토콜이 혀의 근력과 전반적인 연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75명의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두 군 모두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시행 받았으며 실험군은 아이오아 구강 수행도구를 이용하여 혀의 저항 운동을 추가적으로 시행 받았다. 혀의 근력 변화는 아이오아 구강 수행척도(Iowa Oral Performance Instrument; IOPI)를 사용하였으며 전반적인 연하기능과 식이단계의 변화는 비디오 투시 조영검사(Video Flu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를 기반으로 비디오 투시 연하장애척도(Videofluoroscopic Dysphagia Scale; VDS)와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merican Speech–Language- Hearing Association National Outcome Measurement System; ASHA NOMS)를 사용하였다.결과:본 연구 결과 혀의 저항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혀의 근력, 연하의 기능과 식이단계에 있어 효과에 대한 명확한 차이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혀의 전방과 후방의 근력 변화는 실험군,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연하기능의 변화와 식이단계 변화 역시 두 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두 그룹 모두 중재 전과 후의 변화량 역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본 연구는 연하장애를 동반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혀의 저항운동이 혀의 근력 향상, 연하기능과 식이단계의 변화에 있어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그 효과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중재 기간과 횟수가 수정된 프로토콜을 이용한 효과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4,600원
        8.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case study highlights the effects of a novel Comprehensive Hand Repetitive Intensive Strengthening Training (CHRIST) on morphological changes and associated upper extremity (UE)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in a child with spastic quadriplegic cerebral palsy (CP). The Child, a 10-year-old girl with spastic quadriplegic CP, was treated with CHRIST for 60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5 weeks. The CHRIST was designed to improve motor function and strength. Clinical tests including the modified Wolf Test,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and Pediatric Motor Activity Log questionnaire were used to determine motor function. Ultrasound imag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cross-section area (CSA) of the extensor carpi radialis (ECR) and triceps brachii (TRI).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with a dynamometer at pretest, and post-test, and 3-month follow-up. Ultrasound imaging data showed that the CSAs of both ECR and TRI muscles were enhanced as a function of the intervention. These changes were associated with muscle strength and motor performance and their effects remained even at a 3-month follow-up test.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HRIST was effective at treating muscle atrophy, weakness and motor dysfunction in a child with spastic quadriplegic CP.
        4,200원
        9.
        200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tested whether repeated measurement of median frequency (MDF)-related variables could express the muscle power changes during a 12-week DeLome strengthening program, by using consecutive overlapping FFT (Fast Fourier transformation) and integrated EMG (IEMG) from surface EMG data for isometric and isotonic exercise.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ining, the following were recorded every 3 weeks for the elbow flexors and knee extensors of 5 healthy male volunteers: MVC, lRM, limb circumference, and surface EMG during isometric MVC or isotonic contraction at 10RM load. From the EMG data, IEMG and variables from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DF and time were obtained. MVC, lRM, IEMG, and initial MDF increased linearly over the training period. The fatigue index and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increased temporarily until the 6th week and decreased thereafter. From these results, there appeared to be enhanced neural recruitment of fast twitch fibers in the first 6 weeks and continued enhancement in the recruitment and hypertrophy of fast twitch fibers, which led to increased fatigue resistance, over the last 6 weeks. Accordingly, the MDF and IEMG analysis technique could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detect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isometric and isotonic contractions. EMG analysis method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electro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in skeletal muscles during a strengthening program.
        5,500원
        10.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the strength and balance ability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After 8 weeks exercise training, knee muscle strength showed a significant increment. 2) After exercise training, forward functional reach and balance index of KAT 2000 showed a significant increment. Results indicate that strengthening exercise can result in improved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the elder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show long-term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the elderl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