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9

        10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완곡추적 안구운동과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의 결합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발병 후 6개월 이상 지난 3명의 뇌졸중 편측무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 ABAC디자인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기초선(A1) 1주, 중재기(B) 2주, 기초선(A2) 1주, 그리고 중재기(C) 2주로 총 6주간 진행되었으며, 중재기(B)에서는 완곡추적 안구운동(Smooth Pursuit Eye Movement; SPEM)의 단일중재를, 중재기(C)에서는 경부신전근 진동자극법(Neck Muscle Vibration; NMV)과 SPEM의 결합중재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매회기 선 나누기 검사와 벨 테스트(Bells test)를 실시하였으며, 한국판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Catherine Bergego Scale; K-CBS)와 한국판 일상생활활동 중심 작업기반 신경행동 평가(Korean version of ADL-focused Occupation-based Neurobehavioral Evaluation; K-A-ONE)를 기초선(A1)의 첫 회기와 각 중재기의 마지막 회기에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SPEM과 NMV를 단일 또는 결합하여 적용하였을 때 편측무시의 지필검사(선 나누기 검사와 벨 테스트)와 관찰적 검사(K-CBS와 K-A-ONE)에서 편측무시가 개선됨을 확인하였고, 특히 결합중재시에 더 효과가 좋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편측무시가 개선됨에 따라 일상생활활동의 수행(K-A-ONE)에서도 향상을 보였는데, 편측무시 환자의 일상생활을 저해하는 신경행동 손상은 편측무시 뿐만 아니라 공간관계나 마비와 같은 손상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신경행동 손상의 중재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재활프로그램을 계획해야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SPEM과 NMV의 결합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 활동 수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4,500원
        102.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작업치료사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인지재활 접근법을 분석하여 효과와 임상 중재의 실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uideline(PRISMA guideline)을 이용하여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 KISS, RISS를 통하여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는 “Stroke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뇌졸중 그리고 작업치료 그리고 인지재활”을 사용하였다. 포함기준과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총 17개의 연구가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결과 : 결과는 연구의 질적 분석 및 계량적 메타분석, 인지재활 접근법의 분류, 국내 임상 실용성을 위한 FAME 등급 분류, 중재 후 측정도구로 분석하였다. 교정적 접근법, 적응적 접근법과 역동적 상호작용 접근법은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고, 기능적 접근법은 작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작업치료사에 의해 실시되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인지재활 접근법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국내 임상에 즉시 적용 가능한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는 많은 접근법이 보완되고 다양한 접근법이 국내 임상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5,400원
        10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인지ᆞ신체기능에 따른 활동수준과 생활만족도를 알아보고, 상관성 및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15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MoCA), 신체기능평가(Outpatient Physical Therapy Imporvement in Movement Log; OPTIMAL),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 생활만족도를 평가하였고, 피어슨 상관분석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전체 활동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지기능 중 시공간/집행기능, 지남력, 주의력, 추상력, 신체기능 중 하지 기능으로 나타났다. 활동수준 하위영역의 수단적 일상생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지기능 중 시공간/집행기능, 주의력, 지남력, 신체기능 중 하지 기능으로 나타났다. 여가생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지기능 중 지남력과 추상력, 신체기능 중 체간과 하지 기능으로 나타났다. 결론 : 인지ᆞ신체기능이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환자의 활동수준 및 생활만족도와 상관성이 있으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영역의 참여가 요구되는 지역사회 거주 뇌졸중 클라이언트의 활동수준 향상을 위해 관련된 인지ᆞ신체기능 요소를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4,300원
        104.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responsible for physic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ir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self-exercise programs were developed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ir therapeutic exercise.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a customized self-exercise program (CSP) to walking function on improving stroke survivors’ muscle strength and ambulation function. Method: To test the effect of the self-exercise program, the following tests were conducted: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FAC), Tinetti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gait part (POMA-G), timed up and go (TUG), 10-meter walk, and 2-minute walk. The study included 161 consenting stroke patients (FAC score>1) from a randomized, screened sample of 217. The CSP group participated in a 30-minute CSP each day for 10 weeks in addition to completing a routine rehabilitation program. The control group received only a routine rehabilitation program. All the subjects were monitored by a therapist once a week and had to submit an exercise checklist at the end of each session. Result: The strength of the participants’ upper and lower extremity musc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SP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FAC score and POMA-G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UG, 10-meter walk test, and 2-minute walk test (p<.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SP may improve gait-related function in stroke survivors.
        4,600원
        105.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Numerous studies have used smartphone applications to measure the range of motion in different joints. In addition, studies measuring the active range of motion (AROM) of the craniocervical joint have revealed high reliability. However, the subjects in these studies were all healthy subjects. No study has yet been conducted to measure the inter-rater reliability for the AROM of the craniocervical joint in stroke patient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AROM of the craniocervical joint using a smartphone.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21 subjects who had strokes (17 males and 4 females). Two raters evaluated six types of craniocervical AROM, including flexion, extension, lateral flexion to the hemiplegic side, lateral flex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rotation to the hemiplegic side, and rotat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using a goniometer and a smartphone to investigate inter-rater reliability.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zed by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Results: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martphone was good for extension, lateral flexion to the hemiplegic side, lateral flex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and rotation to the hemiplegic side [ICC(2,k)=.86∼.88] and excellent for flexion [ICC(2,k)=.95]. The inter-rater reliability for rotation to the non-hemiplegic side was moderate [ICC(2,k)=.7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martphone offers high inter-rater reliability for measurements of the craniocervical AROM in patients with stroke.
        4,200원
        10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stretching exercise and joint mobilization on ankle joint range of motion (ROM), plantar pressure, and balance in subjects with stroke. Thirty patients (n=30) were organized into three groups, each of which received different treatments: PNF stretching (n=10), joint mobilization (n=10), and joint mobilization and PNF stretching combined (n=10). Each group received three exercise session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ankle ROM was measured using a goniometer, and plantar pressure and balance ability were measured using BioResque static posturography. In comparison within each group, the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the joint mobilization with PNF stretching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nkle ROM, plantar pressure, and balance ability (p<.05). In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ECS change between the PNF stretching group, joint mobilization group and the joint mobilization with PNF stretching group. This study found demonstrates that the joint mobilization and joint mobilization with the PNF stretching method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ankle ROM, plantar pressure, and balance ability in stroke patients.
        4,000원
        10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roke can cause leg weakness, sensory abnormalities, and balance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astic taping on postural sway in patients with stroke. This study randomly applied elastic taping to 20 patients with stroke in two ways. The center of pressure (COP) distributio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elastic taping. The measurement variables were COP area and length, an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aping. The elastic taping on tibialis anterior muscl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P area and length compared to that without elastic taping. The elastic taping on gastrocnemius muscl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P area and length compared to that without elastic tap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P area and length between the elastic taping on tibialis anterior muscle and gastrocnemius muscles. Our results suggested that applying elastic taping on the ankle joints is effective in decreasing postural sway after in patients with stroke.
        4,000원
        10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gularly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is known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body composition in elderly with stroke. However, comparatively less physical activity is performed by the stroke survivors. The factors related to inactivity in elderly female stroke survivors have not been elucida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factors and limb compositions between the active and inactive elderly female stroke survivors. Forty nine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65 to 75 years were selected from the KNHANES data between the years 2009 to 2011. In addition, 186 agematched healthy peers were also selected for limb composition comparisons. The subjects were groups based on walking days per week: walkers; 3 days or more, non-walkers; less than 3 days per week.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within the obesity ranges for both the non-walkers and walkers. As results, the trend for greater fat (±10%) and lean mass (±30%)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non-walker and walkers, respectively. Significantly greater reasons for function limitation by stroke and hypertension were reported with significantly greater self-care difficulty was shown by the walkers. In conclusion, elderly female stroke survivals may require customized motivation and continuous support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regularly.
        4,000원
        10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의 효과를 인지 평가와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평가를 통해 비교하고, 두 가지 훈련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뇌졸중 환자 21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N=11)과 Dynavision 훈련 집단(N=10)으로 분류하고 각각 15회기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측정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터 시나리오 시스템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 Trail Making Test-A, Trail Making Test-B 그리고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은 모든 인지 능력평가와 대부분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Dynavision 훈련 집단은 Trail Making Test-A를 제외한 모든 인지 능력 평가와 브레이크 페달 반응시간, 중앙선 침범 평균 시간 및 비율, 차선이탈 비율의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그리고 두 가지 훈련의 변화량은 도로주행평가의 결과 예측 지수와, 충돌사고 및 위험상황 발생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변수들의 변화량은 두 가지 훈련방법의 적용 차이에 따라 모든 변수가 20% 이상의 인과적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훈련 방법으로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은 모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운전 시뮬레이터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 능력 전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이며, Dynavision 훈련과는 20%의 설명력으로 훈련효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5,100원
        111.
        2018.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중재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자데이터 베이스인 한국 학술 연구 정보 서비스(RISS), Google scholar, 국가 전자 정보 도서관(NDSL)에서 2009년부터 2017년까지 게시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가상현실’, ‘뇌졸중’으로 검색하였고 각 전자데이터 베이스 763건에서 최종 7건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7개의 연구는 PICO 분석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연구는 신체기능 중재와 심리 및 인지기능 중재로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신체기능을 위한 연구 중 상지에서는 손의 기민성 및 전반적인 상지기능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하지에서는 균형능력, 보행기, 근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심리 및 인지기능에서는 스트레스와 몰입, 우울감, 실행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중재를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의 결과를 신체기능과 심리 및 인지기능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뇌졸중 환자의 가상현실 중재결과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임상적인 중재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1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using manual wheelchairs. Twenty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a wood chair group (WCG, n=10), a wheelchairs group (WG, n=10), and a kinesio taping with wheelchairs group (KWG, n=10). Taping with wheelchairs group was applied kinesio taping on back muscles (vertical paraspinal strips and oblique strips). All three groups were trained in upright seated posture for 30 minutes.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with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orced vital capacity and peak expiratory flow as spiromete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and forced vital capacity only in KWG.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kinesio taping has an immediat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using manual wheelchairs.
        3,000원
        11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 7월 3일부터 2018년 4월 30일까지 전북 익산 소재의 W 대학병원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 1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두 군 모두 일반적인 물리·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실험군에는 동작관찰 체간훈련을, 대조군은 풍경관찰 체간훈련을 각 1일 1회 30 분, 주 5회, 총 3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체간 손상 척도 (Trunk Impairment Scale; TIS),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M-FRT)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된 바델 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을 사용하였다. 결과 : 3주 중재 후, 두 그룹에서 중재 전·후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중재 후 두 그룹 간 변화량의 차이는 TIS와 M-FRT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동작관찰 체간훈련이 급성기 뇌줄중 환자의 체간조절능력, 균형, 일상생활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립 훈련기에서 동작관찰 체간훈련은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능동적이고 동적인 체간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1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인지 중재 비율을 조절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에 대한 상지기능 변화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중재 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1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7명의 실험군은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을, 7명의 대조군은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을 주 3회, 30분씩, 4주간 실시하였고 각 군은 기존에 실시하던 전통적 작업치료 및 물리치료 역시 시행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사전, 사후 평가는 울프운동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상지기능장애 설문지(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를 사용하였고, 각 군의 중재 전과 후의 차이는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 두 군 간의 중재 후 효과 비교는 맨 휘트니검정(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군은 모두 WMFT, DASH, BB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군의 상지기능 변화량 비교에서는 WMFT의 소요시간과 DASH의 점수에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이 더 많은 변화 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중재기간에 따라 인지 중재 비율을 고려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이 기존의 동작관찰훈련보다 상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동작관찰훈련의 중재 시 인지비율을 고려한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4,300원
        11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41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성별·연령별 동질성을 확보하여 분류한 후 실험군은 매일 양손훈련도구와 일반작업치료를 각각 15분간 실시하고, 대조군은 일반작업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훈련 제공기간은 주 5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는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와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를 활용하여 모든 집단에 실시하고 실험군은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수행능력 측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총 3회(훈련 전, 3주후, 6주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에 대한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평가결과 수행시간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5) 수행시간은 평가 주차별로 감소하였으며, 오류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MVPT –3에서 실험군은 훈련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p<.05)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인 훈련기간은 3주후와 6주 후 훈련이었다. CMDT에서는 집단과 훈련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 및 평가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상지 기능향상에 효과적인 훈련도구로서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향후 병실이나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4,200원
        11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upper thoracic mobilization on cervical alignment in stroke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stroke pati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and a cervical curve angle (four-line Cobb's method; FLCM) less than 40°. The intervention, central posterior-anterior (PA) mobilization, was applied to the T1-T4 vertebrae (upper thoracic spine) following the Maitland concept. This mobilization was applied thre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In the results, the cervical curve angle (FLCM) increased for both subject 1 and 2. However, Jochumsen method score was decreased in subject 1, while it was increased in subject 2.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upper thoracic mobilization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cervical curve angle but not on Jochumsen method sc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 mobilization on the upper thoracic spine could correct cervical curve angle measured by FLMC in stroke patients with FHP.
        3,000원
        11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McKenzie lumbar support on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wenty subjects (n=20)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McKenzie lumbar support group (MLS group=10), a control group (n=10). Pulmonary function was performed to assess its effectiveness. A spir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1), peak expiratory flow (PEF).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In the MLS group, FEV1, FVC, and PEF were increased after McKenzie lumbar support. (p<0.05),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were found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between the MLS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0.05). Our findings suggest that applying Mckenzie lumbar support may be an alternative maneuver to improve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3,000원
        11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negative pressure soft tissue therapy on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In total, 20 patients with stroke and assigned to the negative pressure soft tissue therapy group (NPST, n=10) or, placebo-negative pressure soft tissue therapy group(Placebo-NPST, n=10). Both groups underwent NPST or placebo-NPST once a da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MyotonPRO was used to assess the parameters for muscle tone and stiffness. Biorescue was used to assess the parameters for balance. Each group showed improvements in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and balance ability (p<.05). Especially,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and anterior length in the limit of stability wer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n NPST group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NPST is effective in improving muscle tone, muscle stiffness, and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4,000원
        11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ynamic neural mobilization program on the changes in muscle activity and nerve conduction velocity (NVC) in stroke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sampled and randomly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I (n=12) who underwent arm neural mobilization and experimental group II (n=13) who underwent arm dynamic neural mobilization. As the pretest, peripheral NVC of the radial, median, and ulnar nerves were measured using the Viking Quest; the biceps brachii, brachioradialis, flexor carpi radialis, and extensor carpi radialis activities were measured with sEMG. Each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10 trials per set and three sets per session. The intervention programs were performed once daily for four weeks (four days/week). Posttest measurements were taken equally as the pretest measure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pheral NVC in all sections of the radial and median nerves and wristbelow elbow and below elbow-above elbow areas of the ulnar nerve, as well as in muscle activity of all muscles except the biceps brachii.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ynamic neural mobilization was effective in increasing peripheral NVC and altering the muscle activity.
        4,000원
        12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연하재활치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연하재활치료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연하장애 증상과 치료의 효과에 따른 연하재활치료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체크리스트 및 흐름도를 이용하여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Medline Complete(EBSCOhost), 국회도서관(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을 이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문헌의 수는 총 18편이었고,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였다. 문헌에서 사용한 연하재활치료들은 치료의 효과와 연하장애 증상에 따라 각각 분류하였다. 결과 : 분석된 논문에서 병변 부위는 대뇌반구와 뇌간 부위가 혼합된 연구 10편, 대뇌피질 부위 연구는 6편, 뇌간 부위 연구는 1편이었고, 병변 부위가 기록되지 않은 연구가 1편이었다. 발병 시기는 급성과 만성이 혼합된 연구 13편, 3개월 미만의 급성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3편, 3개월 이상의 만성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1편이었고, 발병 시기가 기록되지 않은 연구가 1편이었다. 총 14가지의 치료방법 중 인두기에 효과를 보인 치료가 14건, 구강기에 효과를 보인 치료와 식이 단계에 효과를 보인 치료가 각각 1건이었다. 연하장애의 임상 증상에 따라 치료방법을 분류하였다. 가장 많은 치료방법이 적용된 증상은 구강인두 기능저하로 총 7가지의 치료 방법이 제시되었다. 설골과 후두의 앞-위쪽 움직임 저하는 6가지, 흡인과 침습은 4가지, 삼킴반사 지연은 3가지, 혀의 근력 약화, 후두개 잔여물, 음식덩이의 인두 통과시간 지연, 그리고 삼킬 때의 통증은 각각 1가지의 치료 방법이 제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이 뇌졸중 환자의 연하장애 증상에 따라 다양한 치료방법을 적용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연하재활치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