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 the astronomical phenomenon records of Sukjong’s 𝐶ℎ𝑢𝑛𝑏𝑎𝑛𝑔-𝐼𝑙𝑔𝑖 made by 𝑆𝑖𝑔𝑎𝑛𝑔𝑤𝑜𝑛 (Royal Educational Office of the Crown Prince) at which King Sukjong was the crown prince (i.e., 1667 January 24–1674 September 22). From the daily records of 2,799 days, we extract the astronomical records of 1,443 days and classify them into 14 categories. Then, we group the records of each category into five phenomena (Atmosphere, Eclipse, Daylight Appearance, Apparition, and Appulse) and compare them with the results of modern astronomical computations wherever possible. Except for Atmosphere group comprising records of meteorological events, such as solar halo, lunar halo, and unusual clouds, the significant findings in every other group are as follows: In Eclipse group, the solar eclipse that occurred on 1673 August 12 was unobservable in Korea, which is in contrast to the record of 𝐽𝑜𝑠𝑒𝑜𝑛𝑤𝑎𝑛𝑔 𝑗𝑜-𝑆𝑖𝑙𝑙𝑜𝑘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states that the sun was in eclipse around sunset time, as observed at 𝑁𝑎𝑚 mountain. From the lunar eclipse records, we verify that the Joseon court did not change the date of the events observed after midnight. In Daylight Appearance group, we confirm that this phenomenon was observed during the daytime and not during twilight. We further suggest that if observation conditions are met, a celestial body brighter than −2.3 mag could be seen during the daytime with the naked-eye. In Apparition group, we find the possibilities that the Orionid meteor shower had influence on the meteor records and the seasonality on the aurora records. We also find that the Korean records in which the coma of comet C/1668 E1 was located below the horizon were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Finally, we find that the records of Appulse group generally agree with the results of modern calculations. The records of 𝐵𝑒𝑜𝑚 (trespass in literal) and 𝑆𝑖𝑘 (eating in literal) events show average angular separations of 1.2◦ and 1.0◦, respectively. In conclusion, we believe this work helps study the astronomical records of other logs of 𝑆𝑖𝑔𝑎𝑛𝑔𝑤𝑜𝑛, such as Sunjong’s 𝐶ℎ𝑢𝑛𝑏𝑎𝑛𝑔-𝐼𝑙𝑔𝑖.
        4,8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Joseon royal family considered the act of burying the placenta very important for various reasons. Accordingly, they developed their own ritual culture of burying the placenta based on the geomancy(Pungsu). In 1661, The King Sukjong's placenta chamber was built in Gong-ju, and later stone objects were added in 1683. Since its establishment, the King Sukjong’s placenta chamer have been continuously managed by the Joseon royal family, bu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lacenta chamber was partially destroyed, and now only some stone objects remain in the original sit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original style and structure of King Sukjong's placenta chamber by focusing on the stone objects which were discovered through recent field surveys. In addition to that, the stylistic review of Joseon Dynasty's royal placenta chamber was conducted to secure a literary data basis and acquired data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s a result, Some of the original style and structure of King Sukjong's placenta chamber could be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restore the authenticity of the royal placenta chamber damag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re expected to be a good example in the research methodology of historical evidence of other damaged royal placenta chambers.
        4,600원
        3.
        2013.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도 수토제도는 안용복사건으로 1694년 시작되어 1894년 12월 종료될 때까지 201년간 조선 중앙정부의 깊은 관심 속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왔다. 본 논문은 수토의 주기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료, 수토기, 각석문, 울릉도도형, 대 풍헌자료, 문집 등을 검토하여 숙종 때부터 영조 때까지 울릉도 수토가 이루어진 해와 횟수를 파악해 보았다. 숙종 때는 7회(1차~7차)의 울릉도 수토가 있었고, 1697~8년, 1708~10년, 1717~8년 등 7회의 수토정지가 있었으며, 삼척영장의 수토까지 3년 1차 윤회수 토가 이루어졌다. 경종 때는 한 차례의 수토(8차)가 있었다. 영조 때는 1745년 월 송만호 박후기의 수토(14차)까지는 3년 1차 윤회수토가 시행되었고, 1747년 삼척 영장의 수토부터는 2년 1차 윤회수토가 시행되었다. 영조 1년부터 21년까지 3년 1차 윤회수토 6회(9차~14차), 수토정지 5회가 있었고, 영조 23년부터 50년까지는 2년 1차 윤회수토 14회(15차~27차), 수토정지 3회가 있었다. 숙종 20년부터 영조 50년까지 27차에 걸쳐 울릉도 수토가 실시되었다. 이러한 지속적인 울릉도 수토제도의 운영은 1,500년 이상 울릉도와 독도를 생활 공간으로 살아온 우리나라 연안주민들의 생활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울릉도 수토제도는 독도에 우리나라의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 영유권을 증명하는 핵심적인 증거라 할 수 있다. 201년간 수토의 전모를 밝히기 위해서는 정조 즉위년부터 고종 31년(1894년)까지의 분석이 더 필요하다.
        9,000원
        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management and architectural space composition of Honjeon during the reign of Sukjong. Also it purposes to inspect how to affect management of the Royal Palace. The study is based on each Binjeon․Honjeon Dogam Eugwe between late 17C and 18C. And the data on management of the Royal Palace is based on Joseonwangjosillok and Seungjeongwon Ilgi. Because Sukjong used ChangDeokgung and GyeongDeokgung alternately, Honjeon located at Munjeongjeon of ChangGyeonggung during Sukjong stayed at ChangDeokgung and located at Gyesangdang of GyeongDeokgung during Sukjong stayed at GyeongDeokgung. At that time, often movement of the King modified procedure of moving Honjeon. Between the first year of Hyenjong and the 9th year of Sukjong, architectural space of Honjeon was settled. In 1659, territory of Jeongjeon was settled. Also between 1674 and 1684, Goklimcheong was built. Construction of Goklimcheong is noticeable character. As Munjeongjeon was being used as Honjeon continually, it was recognized as Honjeon. Due to its long utilization as Honjeon, several gonvernment offices were transferred. Also it influenced utilization of Myeongjeongjeon.
        5,400원
        5.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이의 대표적인 저술인 󰡔聖學輯要󰡕는 일각에서 帝王이 학문하는 교범으로 높이 평가되었으나 그가 초년에 出家했다는 혐의로 인해 정계의 관심 대상이 되지는 못하였다. 󰡔성학집요󰡕는 庚申換局에 이어 숙종 7년에 이이의 문묘 종사 가 실현된 것을 계기로 吳道一과 朴世采 등은 이이의 학문을 선양하며 󰡔성학집 요󰡕의 진강을 적극적으로 건의하였으나 서인 집권 당시라는 상황을 감안하면 정계 일반의 논의는 활발한 편은 아니었으며, 진강 또한 실현을 보지 못하였다. 이이는 己巳換局으로 그에 비판적인 남인이 집권한 뒤 문묘에서 黜享되었으 나 甲戌換局으로 서인이 재집권한 뒤 復享되었다. 당시 숙종은 유생들의 상소 나 대신들의 논의를 거치지 않고 특명으로 복향을 결정하였다. 이는 자신의 처 분을 거듭 뒤집는 데 따르는 명분적 부담을 피하는 한편 公論이 당론에 따라 움 직이는 것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한 국왕의 정책 주도권을 천명한 것이었다. 이와 함께 이이의 학문적 성과를 국가적으로 공인하여 이이의 위상을 처음 종 향보다 한 차원 높임으로써 從祀의 당위를 확증하기 위하는 조치가 수반되었는 데, 그 산물이 바로 󰡔聖學輯要󰡕의 進講이었다. 기사환국 이후 󰡔성학집요󰡕의 가 치를 주장하며 이이의 복향을 청하다 옥사한 延最績이 갑술환국 후 복권된 것 은 󰡔성학집요󰡕에 주목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성학집요󰡕는 숙종 23년부터 27년까지 진강되었는데, 이 작업은 宣祖에 대 한 繼述로 평가되었으며, 숙종은 이이의 학설을 聖賢의 謨訓으로 평가하여 그 의 위상을 확증하였다. 한편 현전하는 󰡔성학집요󰡕 중 숙종 22년 9월에 進善 權 尙夏와 侍講院에 내린 內賜記가 적힌 것이 있다. 이것은 숙종 자신이 󰡔성학집 요󰡕 진강을 통해 경연관들과 군신의 관계를 확인하고 있다면, 시강원 관원들에 게 󰡔성학집요󰡕를 내려줌으로써 어린 세자에 대해 동일한 의미를 표상하고자 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