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비점수차 보정렌즈(Test lens)와 비점수차를 보정하지 않은 일반 렌즈(Control lens)로 제작된 비 정시용 스포츠 선글라스의 임상 성능을 평가하였다. 방 법: 등가구면 굴절력이 -0.50D~-5.00D 이하인 성인남녀 55명을 대상으로 일반 렌즈와 비점수차 보 정렌즈로 가공된 스포츠 선글라스를 각각 착용시켰다. 10분과 60분 후에 원거리 정지시력(고/저대비), 동체 시력, 입체시력 및 사위도를 측정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선명도, 편안함, 만족도 등 자각증상을 조사하였다. 두 렌즈는 모두 8 curve의 Polycarbonate(n=1.59) 재질로, SOMO Optical(Korea)에서 제작하였다. 비점수 차 보정렌즈는 Thin-Tech 프로그램(Thin-Tech Lens Technologies, USA)을 이용하여 설계하였으며, 선글 라스 프레임은 SWANS WARRIOR 6(Yamamoto Kogaku, Japan)를 사용하였다. 결 과: 착용 10분 및 60분 후 일반 렌즈와 비점수차 보정렌즈에 의한 원거리 단안 및 양안의 정지시력(고 /저대비)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동체시력은 착용시간이 증가할수록 두 렌즈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 하였지만(p<0.05), 두 렌즈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저도 근시군(SE≤-2.00D)에서 일반 렌즈 보다 비점수차 보정렌즈를 착용했을 때 동체시력이 높았다(p=0.03). 일반 렌즈 및 비점수차 보정렌즈 착용 후 10분과 60분의 자각증상을 비교한 결과, 비점수차 보정렌즈는 선명도, 편안함 및 만족도 모두 10분 후보 다 60분 후 더 높았다(p<0.05). 또한 착용 후 10분 및 60분에서 선명도, 편안함 및 만족도 모두 비점수차 보 정렌즈가 일반 렌즈보다 더 높았다(p<0.05). 비점수차 보정렌즈 착용 후 10분과 60분 모두 굴절이상도와 설 문점수 사이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p<0.05). 결 론: 저도 근시(SE≤-2.00D)에서 동체시력은 비점수차 보정렌즈가 일반렌즈보다 더 좋았으나, 원거리 정지시력과 입체시력 및 사위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각적 만족도는 비점수차 보정렌즈가 일반 렌즈보 다 우수하였다. 이로부터 중등도 근시(SE≤-5.00D)까지 비점수차가 보정된 곡률이 큰 스포츠 선글라스를 비 교적 만족스럽게 착용할 수 있고, 저도 근시(SE≤-2.00D)에서 비점수차 보정효과를 더 크게 느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500원
        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urpose: The study surveyed current customers’ sports sunglasses purchasing and wearing habits in order to evalu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ocular side effects of wearing sports sunglasses. Methods: The study surveyed 147 customers who had been using sports sunglasses. We investigated the customers’ motivations for wearing sunglasses, their vision correction method, purchasing store, brand selection, the awareness of warnings about the use of sports sunglasses, and the ocular side effects. We used SPSS version 18 (SPSS INC., Chicago, IL, USA)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and χ2 test (chi-square tes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73.5% of the customers wore sports sunglasses for glare reduction, which was the top motivation. 10.2% of them wore them for eye protection, 9.5% for visibility, 2.7% for the aesthetic effect, and 4.1% for other purposes. 43.5% usually purchased their sports sunglasses from online stores, while 25.3% bought them from optical stores, 12.2% from specialized shops for goggles, 10.2% from duty-free shops, and 4.1% from others. 44.5% of the customers who wore sports sunglasses had experienced side effects, while 55.5% had not experienced any side effects. 40.4% of the customers had read and been informed of the risks and care instructions for wearing sports sunglasses. However, 59.5% had not read or been informed of the risks and precautions by sellers. The survey shows that 53.5% of the customers who had been informed and had read the warnings about the use of sports sunglasses had purchased them from an optical store. Conclusions: Many customers had experienced side effects from the use of sports sunglasses. The majority of the customers had purchased sports sunglasses from online stores and had received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risks of wearing sports sunglasses. Customers who had purchased their sports sunglasses from an optical store had been informed of the risks of wearing sports sunglasses by an optician, and had experienced fewer side effects.
        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선글라스용 렌즈의 착색농도에 따른 시력 및 망막의 대비감도 변화를 확인하여 선글라스의 생산 및 유통 관리의 선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나안 또는 교정시력이 0.7 이상이고 안질환이 없는 평균 22±3세의 대학생 30명(60안)을 대상으 로 80cd/㎡의 검사실에서 5m용 란돌트 고리 시표를 이용하여 회색 및 갈색의 선글라스용 렌즈의 착색농도 를 80%, 60%, 40%로 하여 각 단안의 시력검사를 실시하였고 F.A.C.T.(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Stereo Optical, USA) 시표를 이용하여 대비감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착색렌즈를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시력이 착색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더 좋았으며 착색농 도가 진해짐에 따라 시력의 감소가 나타났다(P=0.000). 80% 착색농도의 회색렌즈에서는 착색렌즈를 착용하 지 않은 경우에 대하여 0.28±0.03, 갈색렌즈에서는 0.28±0.04의 시력감소가 나타났다. F.A.C.T. (Functional Acuity Contrast Test., Stereo Optical, USA)를 사용한 대비감도 검사에서도 회색 및 갈색렌 즈 모두에서 80% 착색농도의 렌즈에서는 전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60% 착색농도에서는 1.5 cpd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고 40% 착색농도에서도 6 cpd 이상의 공간주파수에서 정상범위에 미치지 못하였다. 회색 및 갈색렌즈 모두에서 1.5 cpd를 제외한 공간주 파수에서 대비감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선글라스의 착색렌즈의 농도는 미용적인 요소에 의하여 선택되어지고 있으므로 안경사의 처방 시 착색농도에 의한 시력 및 대비감도의 감소를 고려하여 선글라스의 용도에 따른 착색농도가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spectral transmittance of signal lights (red, green, and yellow) through each colored lens was measured in other to examine changes in color sense of traffic lights according to color (red, yellow, green, blue, brown, and black) and coloring time (30 sec, 1 min, 5 min, 10 min, 20 min, and 30 min) of plastic tinted le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Spectral transmittance distribution of a red light through lenses having different coloring time for each color (red, yellow, green, blue, brown, and black), study at the lowest value in the range of wave length 580-585 nm through red, yellow, green and blue lenses. The minimum value through brown lens was found at 55 0-600 nm, and at 570-590 nm through black one. Spectral in transmittance distribution of a yellow light through lenses with various coloring time for each color (red, yellow, green, blue, brown and black) stood at the minimum value showed at wavelength 540 nm through red, yellow, and green lenses and at 540- 670 nm through blue, brown, and black lenses. In the examination on spectral transmittance distribution of a green light through lenses having diverse coloring time for each color (red, yellow, green, blue, brown, and black), results appeared similar regardless of color and transmittance was lower less than 15% at the long-wavelength part over 600 nm. The dominant wavelengths of traffic lights according to each tinted lens were calculated as follows. The dominant wavelength of a red light was measured at 665-669 nm in red and yellow lenses, at 669-679 nm in green and blue lenses, at 664-676 nm in brown lens, and at 672-677 nm in black lens. The dominant wavelength of a yellow light showed at 565-558 nm in red lens, at 548-535 nm in yellow lens, at 540-576 nm in green lens, at 549-579 nm in blue lens, at 518 - 575nm in brown lens, and at 566-576 nm in black lens. The dominant wavelength of a green light appeared at 484-472 nm in red lens, at 487-485 nm in yellow lens, at 491-479 nm in green lens, at 490-484 nm in blue lens, at 490- 476 nm in brown lens, and at 483-477 nm in black lens.
        5,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