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08.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esent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amorphous silicon suboxide (a-SiOx) films grown on indium tin oxide glass substrates with a radio frequency magnetron technique from a polycrystalline silicon oxide target using ambient Ar. For different substrate-target distances (d = 8 cm and 10 cm), the deposition temperature effects were systematically studied. For d = 8cm, oxygen content in a-SiOx decreased with dissociation of oxygen onto the silicon oxide matrix; temperature increased due to enlargement of kinetic energy. For d = 10 cm, however, the oxygen content had a minimum between 150˚ and 200˚. Using simple optical measurements, we can predict a preferred orientation of liquid crystal molecules on a-SiOx thin film. At higher oxygen content (x > 1.6), liquid crystal molecules on an inorganic liquid crystal alignment layer of a-SiOx showed homogeneous alignment; however, in the lower case (x< 1.6), liquid crystals showed homeotropic alignment.
        4,000원
        2.
        200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뻗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팔과 체간의 움직임에 있어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책상 위에서의 팔뻗기 과제 수행시 거리에 따른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움직임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의 팔의 길이에 비례하여 다양한 거리에서의 팔뻗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상지에 선천적인 기형, 심각한 외과적 혹은 신경학적 질환이나 지난 1년 동안 상지의 외상이나 통증을 경험했던 사람은 제외한, 우세 손이 오른손인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상지움직임의 변화는 실시간 삼차원 동작분석 장치인 CMS-HS를 사용하였다. 팔길이에 대한 50%, 70%, 90%, 110%, 130% 거리의 작업수행시 체간의 움직임이 측정되었고, 단일 표식자에서 얻어진 속도와 움직인 거리 그리고 체간과 상지의 최대속도시간을 나누어 처리하였다. 결과 : 거리가 증가하는 동안 체간의 움직임은 팔의 길이의 90%의 거리에서부터 체간의 움직임이 유의하게 증가됨을 보였다(p.<05).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회전은 팔길이의 70% 거리에서부터 유의한 회전을 나타내기 시작했다(p.<05). 팔과 체간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은 팔길이의 70%, 90% 110%의 거리에서는 팔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이 먼저 나타났고, 팔길이의 130%의 거리에서는 체간의 최대속도 도달시간이 팔보다 먼저 나타남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거리에 따라 팔의 움직임에 대한 체간의 회전과 굴곡이 유의하게 일어나는 거리를 알 수 있었고, 거리에 따른 체간의 운동속도에 있어서의 움직임 패턴을 예측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지 손상이 있는 환자들의 책상 위에서의 작업 수행이나 작업치료시 작업이 일어나는 거리에 따라 체간의 올바른 움직임을 위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200원
        3.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술수준과 목표거리에 따라 나타나는 골프 퍼팅 동작의 제어 특성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력 8년 이상이고 핸디 3 이하인 남자 골프 숙련자 4명과 경험이 전혀 없는 남자 골프 초보자 4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고, 1m, 2.5m, 4m 거리의 홀에 최대한 정확하게 공을 넣도록 하였다. 골프 퍼팅 동작의 분석을 위해 비디오 촬영을 통한 영상분석으로 클럽헤드의 좌표를 산출하였으며, KWON3D(권영후, 1993)를 사용하여 분석한 뒤 본 실험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클럽헤드의 저크(Jerk) 및 저크코스트(Jerk-Cost)를 산출하였다. 결과에 대한 운동학적 변인을 기술수준별, 거리조건별로 분석한 결과 숙련된 수행은 동작의 형태가 일정하고 일관적이었으며, 초보자의 수행은 힘의 배분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필요 이상의 힘을 사용해 클럽헤드를 움직여 동작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거리조건별 기술수준에 따른 저크코스트의 경우, 모든 거리조건에서 숙련자는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동작의 수행에 필요한 양의 힘만을 적절히 배분하여 초보자에 비해 일반적으로 낮은 값의 저크코스트를 나타냈으며, 기술수준별 거리조건에 따른 저크코스트의 경우, 초보자는 거리조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이 비교적 높은 값을 가졌으나, 숙련자의 경우 목표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높은 값을 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