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아베 내각이 2006년 「개정 교육법」이래로 2018년 「고교 학습지도요령」을 공포할 때까지 시행해 온 영토교육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분석의 주 대상은 『학습지 도요령』과 『학습지도요령해설』에 있는 영토교육 관련 내용들이다. 아베 내각은 ‘일본의 교육 재생(再生)’을 위해 ‘평화헌법에 기초한 「구 교육기본법」을 개정’하고, ‘공공 정신 존중과 전통 계승’을 교육의 주요한 목표로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아베 내각은 일본교육정책을 국가주의적이고 우경화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법적 정당성을 마련하였다. 아베 내각은 「교육기본법」을 개정한 2년 후 ‘일본 교육 재생’이라는 기치 아래 「교육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한다. 이 계획에 따라 일본의 왜곡된 영토 교육도 강화되어 간다. 「교육진흥기본계획」제1기(2008~2012)에 개정된 『학습지도요령 및 해설 」에서는 ‘독도의 일본 영유권’을 직접 명기가 아닌 간접적인 방식으로 주장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육진흥기본계획」제2기(2013~2017)에 들어서자 ‘독도라는 표현을 직접 명 기’하여 영토교육을 통해 애국심 강화를 극대화하려는 방식을 취하고, 「2014 중⋅고등학 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에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를 명기한다. 마지막 「교육 진흥기본계획」제3기(2018~2022)에 공포된 『2017 소⋅중학교 학습지도요령』과 「2018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에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를 고스란히 명기한다. 그 리하여 일본 내 고등학교 이하의 모든 학생들이 ‘독도와 관련한 왜곡된 교육’을 반드시 받아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이 ‘독도와 관련한 3가지 영토교육 논리’는 심각한 논리적 모순을 지니고 있으며, 이 모순을 차치하더라도 그 논리는 사실이 아니다. 왜냐하면 독도는 지리적, 역사적,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대한민국의 영토이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에서 진행되는 영토교육은 왜곡된 것이며, 아베 내각의 ‘국가주의적이고 군국주의적인 행보’를 도와주는 장치일 뿐이다.
본 연구는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 대한 분석 준거 틀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진행된 수업에서 학생들이 학습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영역과 학습하기 용이한 영역을 조사하여,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지역 3개 대학에서 교직 교육과정 수업을 수강한 학생 96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설문 결과에 대한 보다 유의미한 해석을 위하여 1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에서 다루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기초 영역은 다른 내용이나 영역으로의 전이가가 높은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한다. 둘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의 교육과정 개발 영역에서는 실제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절차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직 교육과정 수업의 수업 내용 선정에 있어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의 가치성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에 유의하여 수업을 진행하면 학생들에게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대학교 교육대학원 중등학교(미술) 교직과정과 문화예술교육사(미술) 교 직과정을 동시에 이수하는 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현재 문화예술교육은 학교 교육과 사 회 교육의 경계가 없어지고 통합되는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그래서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서 중등학교 교직과정(미술)과 문화예술교육사(미술) 교직과정을 통합 운영하여 원생이 직접 체험한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에서 중등학교 교직 과정과 문화 예술교육사 교직 과정 통합이 부정적인 효과보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더 많이 가져왔다. 긍정적 인 효과는 크게 외적 효과와 내적 효과로 구분할 수 있다. 외적 효과는 문화예술교육사의 전문 성 확보와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전문 성 신장과 통합적 접근은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시대적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내적 효과는 교 육대학원에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을 동시에 제공했을 때 원생이 교육대학원 학업에 더 적 극적으로 참여하여 궁극적으로 교육대학원 중등학교 교직과정 자체에 활력을 주었다. 그 이유 는 첫째는 원생이 중등학교 교사보다도 문화예술교육사가 더 현실적 직업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등교사 교직과정만이 운영했을 경우보다 두 가지 교직 과정이 개설되었을 경우 학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두 번째는 중등학교(미술) 교직 교과목과 문화예술교육 사(미술) 교직 교과목이 서로 중복되고 유사하다. 원생은 문화예술교육사(미술) 공부를 하였지 만, 이것은 곧 중등학교(미술) 공부와 연관되기 때문에 미술교육 전반에 대한 공부로 귀결되었 다. 세 번째는 원생이 문화예술교육사 과정을 통해 역설적으로 미술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정체 성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해양리터러시는 우리에게 바다가 미치는 영향 그리고 우리의 삶이 바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해양리터러시 개념에 기반한 부산지역 23개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해양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7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개발하였다. 7 개의 해양교육 모델코스는 실내이론, 실내체험, 현장탐방, 현장체험 등 4가지 형태의 교육방법이 다양하게 조합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해양교 육을 학생과 일반인들이 쉽게 구분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76cm*56cm 크기의 해양교육 안내지도를 제작하였다. 이는 부산지역의 지리적 여건 과 관광지가 결합된 형식이며, 교육기관, 교육내용, 교육시간 등 상세한 내용이 포합되어 있어서 수요에 따라 계절적 변화요인 또는 기호에 맞 게 피교육생들이 탄력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해양교육 모델코스를 이용한 해양교육 안내지도의 제작은 해양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해양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해양의식 함양과 바다와의 친숙화를 통한 해양전문인력 육성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해양교육용 교재 및 부교재의 개발, 교육보조재를 활용한 실내교육의 단점보완, 동영상 콘텐츠 개발을 통한 사이버 해양교육 개발 등을 통한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pla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developing guidelines to build up roads in rural villages. Drawing the construction elements necessary for building up roads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relevant experts in order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each plan element of route plan, design & construction and operation & management. The result determined total 105 cont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The study on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as a strategy to vitalize rural areas means universal roads that connect each village with rural amenities in various values like walking tour road, visit roads and observation roads. It is considered that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building up roads in rural villages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to build up roads where nature, culture and history of rural areas can be effectively experienced and enjoyed.
본 연구는 ‘내암의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의 텍스트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고 찰하였다. ‘내암의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은 내암 관련 구비전설의 대부분을 차 지하고 있는 유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암의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으로 분류 한 텍스트가 남명전설이 아닌 내암의 인물전설로서 존재하는 양상과 그 의미를 밝히고, 내암전설의 유형적 성립 조건 및 방식을 규명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사 에서 남명전설의 일부로 분류해 왔던 내암전설의 실체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내암전설의 존재양상을 검토하고 그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내암의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이 내암전 설의 하위유형의 하나로 존재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둘째, ‘내암의 상사구렁 이 퇴치 유형’의 서사 구조적 특징과 텍스트의 분화 및 성립 방식을 고찰하였다. ‘내암의 상사구렁이 퇴치 유형’이 남명의 인물전설이 아니라 내암의 인물전설 로 존재하는 양상을 서사 구조적인 측면에서 입증하였다. 한편 ‘내암의 상사구 렁이 퇴치 유형’이 남명 중심적인 서술시각으로부터 분립하여 내암 중심적인 서술시각을 성립시키는 분화의 단계를 미시적으로 고찰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effective and well functioning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floral decoration course as a social education at institutes of life long education, by assessing & analizing the result of question are investigation measuring the degree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bout the course. we came to following conclusion b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Firstly, as for composition, 91%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55% wer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48.5% were university students or graduated from universities.
As for their occupations, the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students(48%), house wives(27%) and office workers (17.6%) in order.
Secondly, Even though 80% of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the course, various modalities of teaching were required because only 48% of the lectures were performed with us age of various educational modalities.
Thirdly, the primary reason for choosing the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university was due to their expectation for qualified and variously talented instructor.
Therefore, to commensurate with their expectation, the institutes and the instructors should develop good contents and good teaching skills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modalities. Fourthly, to manage highly qualified lecture and motivate active participation and effort to learn, proper test metho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should be developed.
As a conclusion, to meet with the demand of students and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course, the institutes should provide with highly qualified and specialized course with good contents by qualified and talented instructors utilizing various educational media and proper test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느끼는 갈등을 유형별로 나누어 갈등의 정도가 어떠하며,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지를 파악해보는 데에 있다. 연구결과 유아교육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과정에서 전체적으로 보통 정도의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자신과의 갈등’과 ‘유아와의 갈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관과의 갈등’과 ‘지도교사와의 갈등’이 다음으로 높았으며, ‘동료실습생과의 갈등’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andling performance of a vessel is greatly related with her steering characteristics which consist of two kinds of motion characteristics ; namely course stability and turning ability. The correct prediction of the qualities, especially the steering characteristics is as much important in ship handling as in ship design.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provide ships handlers better understanding of steering characteristics and then to help them in safe controlling and maneuvering of vessels presenting distinct inherent steering characteristic difference that lies between a fine-form vessel and full-form vessel. The authors calculated dynamic course stabilities of two kinds of ideal models, one of which represents a fine-form ship and the other a full-form ship, based on hydrodynamic data of forces and moments obtained by model tests in maneuvering tanks. The result of calculations indicated that a ship of full-form configuration has inhernet course instability. Though significant nonlinearties affect ship montions in maneuvers, application of linear theory is sufficient for prediction of the maneuvering characteristics of vessels on calm waters for handling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