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T. S. 엘리엇의 신학사상에 대한 최근 연구들 을 엄밀하게 검토함으로써 그의 신학사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한 ‘지도’ 를 그리고자 한다. 검토 대상이 된 연구서들은 『“종교는 앵글로-가톨 릭”: T. S. 엘리엇과 기독교, 『T. S. 엘리엇과 기독교 전통』, 『신에 대한 지도 제작』, 『모더니즘 시대의 시와 신학』이다. 스퍼의 연구서는 엘리엇의 기독교 사상에 끼친 앵글로-가톨릭주의의 지속적인 영향을 최초로 세밀하게 분석하고 있지만 성육신과 같은 앵글로-가톨릭주의의 교리 라는 ‘고정된 눈’을 가지고 지나치게 좁게 엘리엇의 작품들을 들여다보는 경향이 있다. 『T. S. 엘리엇과 기독교 전통』의 경우에는 지금까지 간과되었던 프랑스 작가들과 신토마스주의 영향을 해명하고 있지만 엘리엇의 신학사상의 형성에 있어서 칼 바르트와 다른 개신교 신학자들의 중요성을 놓치고 있다. 도메니스코는 칼 바르트의 신정통주의에 대한 엘리엇의 증대되는 관심에 대해 통찰력을 지니고 설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엇의 기독교사상의 ‘지도’에서 이를 정확히 자리매김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도메니스코와 달리 수드는 엘리엇의 『네 사중주』에서 바르트 신학의 흔적의 파고들지만 이 지난한 탐사는 설득력 있는 분석이 결여된 채 두 사상가를 기계적으로 병치하는데 머무르고 있다.
        2.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espite his popularity, the Rev. James S. Gale has not been given sufficient scholarly attention. How could it be? It appears that while Gale has been known as a missionary and a scholar of Korean studies, this two-fold identity has not been appreciated in a comprehensively way: scholars tend to interpret two aspects of his identity as contradictory ones or simply juxtaposed ones rather than as mutually interacted ones. In this context, in the area of Korean studies, they have seen him mainly as a Korean expert, without paying attention to his being a missionary; on the other hand, in the realm of Korean Christian studies, they have largely viewed him as a missionary, without properly relating this to his expertise in Korean studies. This article aims to overcome this discrepancy in the understanding of Gale in the contemporary studies, secular and Christian, in Korea. The thesis of this article is that the mutually integrated two-fold identity of Gale is the key to the understanding of his thought and work; that is, he was a scholar of Korean studies as a missionary. Such characteristics of his being a scholar of Korean studies as a missiona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 prepared himself as a missionary in Korea through cultural identification, through which he gradually overcome his paternalism; second, he equipped himself with expertise in Korean studies, which enabled him to be a first-class cultural missionary, namely, a theologian of missionary indigenization; and last, he bequeathed his legacy as a missionary scholar, which paves the way for Korean studies as mission. Thus, he challenged the understanding of both missionary works and a missionary.